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기조강연 01] 중원문화권 조사연구의 회고와 전망 / 장준식 5
Ⅰ. 중원지역 문화재 조사 片鱗 6
Ⅱ. 중원문화권의 序幕 7
Ⅲ.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開所 11
[부록 1] 단양 신라적성비와 충주 고구려비 12
[부록 2] 남한강 답사 관련 신문기사 15
[부록 3] 남한강 답사 관련 유적 세부 17
[부록 4] 증평 이성산성에서 사적 증평 추성산성 21
[기조강연 02] 중원문화권 관방유적 조사ㆍ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 / 백종오 22
Ⅰ. 머리말 23
Ⅱ. 관방유적 조사ㆍ연구 성과와 古代 景觀 25
Ⅲ. 관방유적 조사ㆍ연구 성과와 中原文化圈域 30
Ⅳ. 관방유적 조사ㆍ연구의 向後 課題 33
Ⅴ. 맺는말 38
참고문헌 39
[주제발표 01] 남한강 본류역 성곽 조사ㆍ연구 현황과 과제 - 충주 탄금대토성, 장미산성을 중심으로 / 이솔언 45
Ⅰ. 머리말 46
Ⅱ. 남한강 본류역 성곽 조사ㆍ연구현황 47
Ⅲ. 남한강 본류역 주요 성곽 분석 52
Ⅳ. 남한강 본류역 성곽 조사ㆍ연구 성과와 과제 69
Ⅴ. 맺음말 76
참고문헌 78
[토론 01] 「남한강 본류역 성곽 조사ㆍ연구 현황과 과제」에 대한 토론문 / 김영관 79
[토론 02] 「남한강 본류역 성곽 조사ㆍ연구 현황과 과제」에 대한 토론문 / 안성현 81
[주제발표 02] 남한강 상류역과 영동, 섬강유역의 성곽 조사ㆍ연구 현황과 과제 - 영월 정양산성, 강릉 강문동토성을 중심으로 / 김진형 83
Ⅰ. 머리말 84
Ⅱ. 조사연구현황 85
Ⅲ. 핵심유적검토-유구(성벽) 92
Ⅳ. 핵심유적검토-유물 110
Ⅴ. 맺는말(향후 과제 및 조사연구방향) 118
참고문헌 119
[토론 03] 「남한강 상류역과 영동, 섬강유역의 성곽 조사ㆍ연구 현황과 과제」에 대한 토론문 / 유재춘 122
[토론 04] 「남한강 상류역과 영동, 섬강유역의 성곽 조사ㆍ연구 현황과 과제」에 대한 토론문 / 전혁기 124
[주제발표 03] 남한강 지류역 성곽의 조사ㆍ연구 현황과 과제 - 이천 설봉ㆍ설성산성을 중심으로 / 황보경 126
Ⅰ. 머리말 127
Ⅱ. 조사 및 연구 현황 128
Ⅲ. 설봉산성과 설성산성의 구조적 특징 137
Ⅳ. 설봉산성과 설성산성의 특성과 과제 157
Ⅴ. 맺음말 166
참고문헌 167
[토론 05] 「남한강 지류역 성곽의 조사ㆍ연구 현황과 과제」에 대한 토론문 / 서영일 171
[토론 06] 「남한강 지류역 성곽의 조사ㆍ연구 현황과 과제」에 대한 토론문 / 박중균 173
[주제발표 04] 한강 본류역 성곽 조사ㆍ연구 현황과 과제 - 고양 멱절산토성, 서울 양천고성을 중심으로 / 윤성호 175
Ⅰ. 서론 176
Ⅱ. 한강유역의 관방시설 조사 현황 177
Ⅲ. 고양 멱절산토성과 서울 양천고성의 조사 성과와 의미 180
Ⅳ. 한강유역의 관방유적의 연구과제 187
Ⅴ. 결론 190
참고논저 191
[토론 07] 「한강 본류역 성곽 조사ㆍ연구 현황과 과제」에 대한 토론문 / 양정석 196
[토론 08] 「한강 본류역 성곽 조사ㆍ연구 현황과 과제」에 대한 토론문 / 권순진 198
[주제발표 05] 금강/낙동강 상류역 성곽 조사ㆍ연구 현황과 과제 - 세종 이성, 문경 고모산성을 중심으로 / 백영종 199
Ⅰ. 머리말 200
Ⅱ. 금강, 낙동강 상류 유역 조사ㆍ연구 현황 201
Ⅲ. 핵심유적 분석 206
Ⅳ. 특성과 과제 217
Ⅴ. 맺음말 220
참고문헌 221
[토론 09] 「금강, 낙동강 상류 성곽 조사ㆍ연구 현황과 과제」에 대한 토론문 / 최병화 223
[토론 10] 「금강, 낙동강 상류 관방유적 조사ㆍ연구 현황과 과제」에 대한 토론문 / 심종훈 227
[종합토론] 229
판권기 230
[주제발표 01] 남한강 본류역 성곽 조사ㆍ연구 현황과 과제 - 충주 탄금대토성, 장미산성을 중심으로 / 이솔언 52
〈그림 1〉 충주 탄금대토성 전경과 위치도(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2002 전재) 52
〈그림 2〉 충주 탄금대토성 실측도 및 발굴조사현황도(중원문화재연구원 2009 수정) 53
〈그림 3〉 충주 탄금대토성 동벽 시굴갱 조사 평면도(중원문화재연구원 2009 수정) 54
〈그림 4〉 충주 탄금대토성 동벽 외측 시굴갱 토층(중원문화재연구원 2009 수정) 55
〈그림 5〉 충주 탄금대토성 동벽 내측 시굴갱 토층(중원문화재연구원 2009 수정) 56
〈그림 6〉 충주 탄금대토성 1ㆍ2호 주거지 조사 후 전경(중원문화재연구원 2009 전재) 57
〈그림 7〉 충주 탄금대토성 저수시설과 출토유물(중원문화재연구원 2009 수정) 58
〈그림 8〉 충주 장미산성 원경과 주변유적 위치도 58
〈그림 9〉 충주 장미산성 현황 및 조사경과 59
〈그림 10〉 충주 장미산성 외측 성벽 기저부 조성방식 61
〈그림 11〉 충주 장미산성 내측 성벽 기저부 조성방식 61
〈그림 12〉 충주 장미산성 성벽 입면도 및 단면도 62
〈그림 13〉 충주 장미산성 외측 성벽 안쪽 채움석 양상 62
〈그림 14〉 충주 장미산성 내측 성벽 안쪽 다짐층 64
〈그림 15〉 충주 장미산성 북서ㆍ북동회절부 목책치성 65
〈그림 16〉/〈그림 15〉 충주 장미산성 배수시설 현황 65
〈그림 17〉/〈그림 16〉 충주 장미산성 석환 보관용 석곽 현황 66
〈그림 18〉/〈그림 17〉 충주 장미산성 기저부 보축시설 현황 67
〈그림 19〉/〈그림 18〉 충주 장미산성 출토 백제 유물(스케일 부동) 68
〈그림 20〉/〈그림 19〉 충주 장미산성 출토 고구려, 신라 유물(추정) 69
〈그림 21〉/〈그림 20〉 서천 봉선리유적 벽심시설 현황(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0 수정)과 비교 70
〈그림 22〉/〈그림 21〉 충주 탄금대토성과 칠금동제철유적(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0 수정) 71
〈그림 23〉/〈그림 22〉 중원문화권 성곽 개축(토성→석성)사례(백종오 2019 수정) 73
〈그림 24〉/〈그림 23〉 충주 장미산성 성벽과 고구려 석성 축조방식 비교(강현숙 외 2020 전재) 74
〈그림 25〉/〈그림 24〉 남한강 본류역 석축성벽 축조방식 비교 75
〈그림 26〉/〈그림 25〉 충주 장미산성과 충주산성 배수시설 비교 76
[주제발표 02] 남한강 상류역과 영동, 섬강유역의 성곽 조사ㆍ연구 현황과 과제 - 영월 정양산성, 강릉 강문동토성을 중심으로 / 김진형 86
〈그림 1〉 남한강 상류역, 섬강유역 성곽 분포도 86
〈그림 2〉 영동지방 성곽 분포도 86
〈그림 3〉 영월 정양산성 발굴조사 현황 92
〈그림 4〉 정양산성 발굴조사 후 성벽 모습 95
〈그림 5〉 신라성곽 기저부 모습 96
〈그림 6〉 정양산성의 보축성벽 97
〈그림 7〉 하강배수 장치의 사례 98
〈그림 8〉 석심토축의 모습 99
〈그림 9〉 강릉 강문동 토성 전경 및 현황도 102
〈그림 10〉 AㆍB지구 축성 모식도 103
〈그림 11〉 강문동 토성 기단석렬(좌:C지구 발굴조사 Tr.1, 표본조사 Tr.1, 표본조사 Tr.5) 104
〈그림 12〉/〈그림 11〉 표본조사 Tr.5 토층도 105
〈그림 13〉/〈그림 12〉 표본조사 Tr.6 북벽 토층도 106
〈그림 14〉/〈그림 13〉 표본조사 Tr.6 서벽 토층도 106
〈그림 15〉/〈그림 14〉 C지구 E성벽 축조과정 107
〈그림 16〉/〈그림 15〉 강릉 강문동 토성 C지구 판축모습 107
〈그림 17〉/〈그림 16〉 전면분할 및 단부조정(격자타날) 114
[토론 09] 「금강, 낙동강 상류 성곽 조사ㆍ연구 현황과 과제」에 대한 토론문 / 최병화 223
그림 1. 문경 고모산성(2007) 남벽 내외벽 종단면 및 토층도 223
그림 2. 이성산성 동벽 외벽 및 내벽, 차수벽, 집수시설 토층 및 단면도 224
그림 3. 백제 석축성벽 축성법 변화 모식도 225
[도 1] 금강 및 낙동강 상류 유역 관방유적 배치도(번호는 표 1의 연번과 동일) 203
[도 2] 고모산성 서문지와 남문지 207
[도 3] 고모산성 서문지 전경과 출토된 확쇠 207
[도 4] 남동곡성과 성벽 축조 상태 208
[도 5] 목곽 저수시설 평면도 및 입ㆍ단면도 208
[도 6] 석축 집수시설 전경 209
[도 7] 도수로와 입수구 209
[도 8] 서벽과 보축성벽 210
[도 9] 목곽 저수시설 출토유물 210
[도 10] 통일신라 석축 저수시설 출토유물 211
[도 11] 이성 유단식 평탄지 종단면도 212
[도 12] 부석시설, 외벽(보축성벽), 내벽(수구), 차수벽, 집수시설 토층 및 단면도 213
[도 13] 외벽과 부석시설 214
[도 14] 기단보축성벽과 차수벽 214
[도 15] 1단 12각 다층건물지와 2단 방형 건물지 214
[도 16] 3단 집수시설(목곽고)과 4단 건물지 215
[도 17] 이성 출토 토기류와 3단 집수시설 출토 토기류 216
[도 18]/[도 17] 이성 출토 토기류와 3단 집수시설 출토 토기류 217
[도 19] 석축산성에서 토축이 확인된 성곽(이성산성, 적성, 삼년산성) 218
[도 20] 고모산성 서벽 성내 시설물의 단면도 219
[도판 1] 한강유역 주요 고대 관방유적 배치도(○ 백제, □ 고구려, △ 신라) 179
[도판 2] 고양 멱절산토성, 서울 양천고성의 위치와 주변 관방유적 180
[도판 3] 고양 멱절산토성 유구 배치도 및 토성부 3ㆍ4TR 토층 단면도 181
[도판 4] 고양 멱절산토성 내부 2ㆍ8호 수혈 182
[도판 5] 고양 멱절산고성 출토 토기 ① 8호 수혈 고배, 삼족기, ②~⑤ 토성 Tr출토 토기편 182
[도판 6] 양천고성 발굴조사 현황 평면도 184
[도판 7] ① 양천고성 남벽 및 남치성 서벽, 북치성동벽과 보축성벽 185
[도판 8] 양천 고성 출토 유물 ①~④ 단각고배 ⑤~⑦ 완 186
[도판 9] 파주 육계토성 ① 2Tr 성벽 단면도, ② 11Tr 성벽 단면도 ③ Tr배치 현황 및 직상방 사진 ④ 2~4Tr 평면에서 확인되는 토루별 축조단위, 4Tr 토낭 성토부 187
[도판 10] ① 양천고성 1Tr 성벽 단면, ② 불암산성 북벽 기저부, ③ 양천고성 3Tr 추정 보축성벽, ④ 행주산성 1-1구역 보축성벽, ⑤ 아차산성 북벽 보축성벽, ⑥ 양천고성 동벽 결구부 189
[기조강연 02] 중원문화권 관방유적 조사ㆍ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 / 백종오 25
삽도 1. 임진강ㆍ한탄강유역 관방유적 분포도 25
삽도 2. 한강유역 관방유적 분포도 26
삽도 3. 축성 금석문 자료와 거대 석축산성 현황 28
삽도 4. 남한내 고구려 유적과 신라 거대 석축산성 현황 30
삽도 5. 조영원리에 따른 축성 공정 34
삽도 6. 임진강~한강유역 고대 관방체계 계통도 36
[주제발표 03] 남한강 지류역 성곽의 조사ㆍ연구 현황과 과제 - 이천 설봉ㆍ설성산성을 중심으로 / 황보경 137
〈삽도-1〉 설봉산성 외벽 기저부 137
〈삽도-2〉 설봉산성 외벽 설치 주공 138
〈삽도-3〉 남벽의 외벽 축성상태 138
〈삽도-4〉 서벽 Ⅰ구간의 외벽 축성상태 139
〈삽도-5〉 동벽과 북벽의 외벽 축성상태 139
〈삽도-6〉 성벽Ⅰ구간 토층도(2차) 140
〈삽도-7〉 내벽 현황 141
〈삽도-8〉 동벽과 북벽의 뒤채움 142
〈삽도-9〉 동벽과 북벽 보강 및 보축시설 142
〈삽도-10〉 서문지 관련 도면 143
〈삽도-11〉 서문지의 수구지 144
〈삽도-12〉 북벽 계곡부 암거와 출토유물 144
〈삽도-13〉 저장시설과 출토유물 145
〈삽도-14〉 토광 현황과 주요 출토유물 146
〈삽도-15〉 설성산성 외벽 기저부 148
〈삽도-16〉 동벽구간 기저부 입단면도와 사진 149
〈삽도-17〉 서문지 외벽과 내벽 150
〈삽도-18〉 서문지 남쪽 편축 성벽 150
〈삽도-19〉 동벽 외벽과 내벽 151
〈삽도-20〉 동벽(6차) 외벽과 내벽 151
〈삽도-21〉 기단보축 및 보축성벽 현황 153
〈삽도-22〉 서문지 1~3차 문지와 등성시설 154
〈삽도-23〉 육각형 주거지와 출토 유물 155
〈삽도-24〉 백제 토광 156
〈삽도-25〉 목곽고와 출토 유물 156
〈삽도-26〉 서문지 및 수구지 토층 출토유물 비교 161
〈삽도-27〉 백제 토기 훼기 및 폐기 토광 163
〈삽도-28〉 설봉산성과 용인 언남동 유적 수혈 및 보습 164
〈삽도-29〉 인장 출토 현황 164
〈삽도-30〉 설성산성 인장와 및 인장 비교 165
〈삽도-31〉 설성산성 출토 '九'자 명문기와 166
[기조강연 01] 중원문화권 조사연구의 회고와 전망 / 장준식 7
사진 1.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 정혜원융탑 복원 직후(정용호, 김예식, 장준식) 7
사진 2/사진 3. '남한강 뱃길 천리' 한국일보 1981년 6월 9일 첫기사 9
사진 3/사진 4. 단양 온달산성 조사 모습 10
[토론 04] 「남한강 상류역과 영동, 섬강유역의 성곽 조사ㆍ연구 현황과 과제」에 대한 토론문 / 전혁기 125
사진 1. 추성산성 남성 외성 남수문지 및 도수시설(① 성 안에서, ② 성 밖에서, ③ 1호 도수시설) 125
사진 2. 강릉 강문동 신라토성 남동문지 및 배수시설(①성 안에서, ②성 밖에서) 12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