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기조강연] 금정도 찰방시절의 다산 정약용 / 박석무 5

Ⅰ. 승지에서 금정도 찰방으로 6

Ⅱ. 금정도 찰방으로 외보(外補)되다 8

Ⅲ. 금정에서의 학문 활동 9

Ⅳ. 동적인 다산, 정적인 퇴계를 만나다 12

Ⅴ. 「금정일록」에 보이는 학자들과의 교유 13

Ⅵ. 금정 생활의 정리 16

[발표 1] 조선시대 금정역(金井驛)의 연혁과 운영 실태 - 「금정역사례(金井驛事例)」를 중심으로 / 조병로 18

Ⅰ. 머릿말 19

Ⅱ. 금정역의 유래와 금정도의 편성 20

Ⅲ. 금정역의 위치와 역사(驛舍) 건물 26

Ⅳ. 금정역 운영 실태 38

Ⅴ. 맺음말 54

[발표 2] 금정역과 금정찰방 역임자 분석 / 곽호제 56

Ⅰ. 머리말 57

Ⅱ. 금정역(金井驛)의 위치와 변화 59

Ⅲ. 금정찰방(金井察訪) 역임자(歷任者)의 분석(分析)과 행적(行蹟) 64

Ⅳ. 맺음말 76

[발표 3] 조선후기 금정역(金井驛)의 역사적 경관고증과 문화재적 가치 검토 / 김회정 90

1. 시작하면서 91

2. 조선시대 금정역 관련 자료의 검토 92

3. 금정역과 찰방 다산 정약용 101

4. 근대기 자료를 통한 금정역 위치 비정 105

5. 마무리하면서 : 금정역의 문화재적 가치 112

참고문헌 114

[발표 4] 청양군과 금정역(용곡역) 일대의 장소성과 지역이야기 그리고 다산과 금정역의 콘텐츠화 활용에 관한 연구 / 복권승 115

Ⅰ. 머리말 116

Ⅱ. 청양군과 화성면, 용곡 일대의 장소성 117

Ⅲ. 청양의 이야기와 민담들(금정역과 인근지역 중심) 131

Ⅳ. 지역의 현실과 향후 방향성 그리고 활용 142

Ⅴ. 맺음말 162

참고문헌 164

판권기 166

표목차

[발표 1] 조선시대 금정역(金井驛)의 연혁과 운영 실태 - 「금정역사례(金井驛事例)」를 중심으로 / 조병로 23

〈표 1〉 세종대의 충청지역의 역도 조직 23

〈표 2〉 성종대 충청지역의 역도 조직 24

〈표 3〉 금정도 속역의 변천 과정 25

〈표 4〉 조선시대(朝鮮時代) 역사(驛舍)의 구조 34

〈표 5〉 금정도 속역별 역민 (「여지도서」 각 군현 역원조) 40

〈표 6〉 금정도 속역의 역리(驛里) 호구ㆍ인구 현황 (「여지도서」 각군현(各郡顯) 방리조(坊里條)) 41

〈표 7〉 충청도 각 역도별 역노비, 역마 보유 현황 43

〈표 8〉 금정도 속역별 역마 현황 (「여지도서」 각 군현 역원조(驛院條)) 43

〈표 9〉 금정도속역별 역마와 마호 44

〈표 10〉 관원(官員)의 급마규정(給馬規定) 47

〈표 11〉 지방수령(地方守令)의 급마규정(給馬規定) 47

〈표 12〉 역(驛)의 토지지급(土地支給) 규정 48

〈표 13〉 금정도 속역별 역마(驛馬) 및 마위전(馬位田) 현황 49

〈표 14〉 금정역의 세입 현황 51

〈표 15〉 금정역의 세출 현황 52

[발표 3] 조선후기 금정역(金井驛)의 역사적 경관고증과 문화재적 가치 검토 / 김회정 93

〈표 1〉 조선전기 「경국대전(1460)」에 나타난 충청도의 역도편제 93

〈표 2〉 조선후기 「만기요람(1808, 순조8년)」에 나타난 충남지역 역원 현황 94

〈표 3〉 금정역 소속 구성원 및 마필현황 97

〈표 4〉 『1872년 지방지도』 「직산현지도」 성환역 부분과 『성환역지』에 나타난 역사건물규모현황 99

[발표 4] 청양군과 금정역(용곡역) 일대의 장소성과 지역이야기 그리고 다산과 금정역의 콘텐츠화 활용에 관한 연구 / 복권승 119

〈표 1〉 청양군 3개 지역의 과거 경제와 생태 문화적 특성표 119

〈표 2〉 내포지방 금정도와 시흥도의 역도와 역 소재지 129

〈표 3〉 충청 유학과 화성지역 유학 간 관계의 평택임씨 인물 계보 132

〈표 4〉 최근 1920-1960년대까지 금정역 인근 청양지역의 호랑이 출현 기사 136

〈표 5〉 21세기 관광 형태의 변화 145

〈표 6〉 청양군 관광지별 방문객 통계 147

〈표 7〉 청양의 역사인물 인지도 조사 - 2021년 8월 11~13일 조사응답 115명 대상 통계 150

그림목차

〈그림 1〉 1872년 지방지도 홍주목지도와 청양현지도에 표기된 금정역 관련 내용(부분확대) 95

〈그림 2〉 금정역의 연혁(원문불량) 96

〈그림 3〉/〈그림 4〉 금정역 동헌지 추정위치와 주변 식생(대나무군락) 현황 100

〈그림 4〉/〈그림 5〉 조선후기 금정도 관할 구역(붉은색: 금정도 관할 역, 푸른색: 시흥도 관할 역) 101

〈그림 5〉/〈그림 6〉 금정도 찰방비석군 현황 104

〈그림 6〉/〈그림 7〉 금정역 찰방비석군 정면 상세사진(2016년 촬영) 104

〈그림 7〉/〈그림 8〉 근세한국오만분지일지형도 용곡마을 주변(좌: 원본/우: 분석도) 107

〈그림 8〉/〈그림 9〉 용당리 지적원도 표제지와 분석대상 지적원도 108

〈그림 9〉/〈그림 10〉 지적원도 분석(청양군 화성면 용당리 용곡마을 부분 조합 분석도) 109

〈그림 10〉/〈그림 11〉 지적원도(1910년대 제작)와 항공사진(2015년 국토지리정보원소장자료) 중첩분석도 111

지도목차

〈지도 1〉 환경부, 금강수계도, 2009 119

〈지도 2〉 환경부, 금강수계도, 2009 120

〈지도 3〉 화성면의 선사 유적 유물 분포 121

〈지도 4〉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누리집, 1861 122

〈지도 5〉 서해안지역의 지질도 123

〈지도 6〉 항공지도, 국토지리정보원, 1948 / 경사도, 흙토람(soil.rda.go.kr) 124

〈지도 7〉 내포지방 장시의 위치 및 역도 128

〈지도 8〉 시기별 지도로 본 용곡과 청양읍의 변성과 쇠퇴 130

〈지도 9〉 충청남도 종합계획 관광개발 구상도 142

〈지도 10〉 2020년 청양군 공간별 대규모 공모사업 및 시설조성 사업 143

〈지도 11〉 청양군 서부지역의 향후 3년 내 서비스 예정인 교통관련 변화 144

〈지도 12〉 실.천.의.길 (실학과 천주교, 의로움을 배우는 암행 길)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