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인사말 / 최영창 4

[행사일정] 5

목차 6

기조강연 : 조선시대 경상도 자기 요장의 조사와 연구의 향후 과제 / 한성욱 7

1) 관심의 미흡과 연구자의 부족 7

2) 窯場의 체계적 이해와 조사 7

3) 역사적 배경과 성격 7

4) 지방 官窯에 대한 인식 8

5) 자기의 유통 구조 8

6) 그릇의 용도 8

7) 對日 관계 8

8) 연구의 심화와 공유, 국가유산 지정 9

9) 주변 도자의 이해 9

참고문헌 20

주제발표 ① 경산 사기리 가마유적의 조사성과와 의미 / 남효정 27

I. 머리말 27

II. 경산 사기리 자기가마 조사현황과 입지 28

III. 경산 사기리 자기가마의 구조와 특징 31

IV. 경산 사기리 자기가마의 출토유물과 시기 35

1. 출토유물 35

2. 시기 37

V. 경산 사기리 자기가마의 생산과 유통 39

VI. 맺음말 42

참고문헌 43

주제발표 ② 김해 상동 자기가마터 조사성과와 의의 / 김재홍 45

I. 머리말 45

II. 상동지역 자기가마터 현황과 입지양상 46

1. 상동지역 자기가마터 현황 46

2. 상동지역 자기가마터 입지양상 52

III. 상동 자기가마의 구조와 특징 54

IV. 상동 자기가마터 출토유물 59

1. 상동 분청사기가마터 출토유물과 제작시기 59

2. 상동지역 내 백자가마터 출토유물과 제작시기 61

V. 상동지역 자기의 생산과 유통 70

VI. 맺음말 74

참고문헌 75

주제발표 ③ 조선 전기, 경주지역 분청사기 가마터와 자기공납 - 경주 래태리 891번지 유적 출토품을 중심으로 - / 조윤주 77

I. 머리말 77

II. 경주지역 분청사기 가마터 현황 79

1. 경주지역 분청사기 가마터 현황 79

2. 경주 래태리 891번지 유적과 출토유물 개요 81

III. 경주지역 분청사기의 제작시기와 자기공납 85

1. 경주지역 분청사기의 제작시기 85

2. 경주지역 분청사기와 자기공납 90

IV. 맺음말 94

참고문헌 95

주제발표 ④ 조선 전기 경상도 분청사기 자기소의 생산과 유통 / 김아정 97

I. 머리말 97

II. 자기소의 생산양상 98

1. 자기가마 구조 분석 99

2. 출토유물 분석 101

3. 자기소의 단계별 특징과 전개 양상 103

III. 자기소의 유통양상 105

1. 자기소 위치 비정 106

2. 권역별 자기소 유통 네트워크 설정 108

IV. 맺음말 115

참고문헌 116

주제발표 ⑤ 조선전기 영남지역 출토 분청사기 제기의 특징과 의미 / 심지연 117

I. 머리말 117

II. 조선전기 국가의례의 성립과정과 주현제의 제사 118

III. 조선전기 영남지역의 주현제 시행과 분청사기 제기 122

1. 조선전기 영남지역의 주현제 122

2. 조선전기 분청사기 제기의 제작 배경 123

IV. 조선전기 영남지역 출토 제기의 특징과 의미 125

V. 맺음말 131

참고문헌 132

주제발표 ⑥ 영남지역 자기가마로 본 조선시대 후기~근대 가마구조의 변화 / 김태홍 134

I. 머리말 134

II. 조선 후기 영남지역의 자기가마 현황과 가마구조 135

1. 영남지역 자기가마의 현황 135

2. 영남지역의 자기가마 구조 138

III. 영남지역 자기가마의 운영시기와 타 지역 자기가마와 비교 142

1. 영남지역의 자기가마 운영시기 142

2. 타지역 조선 후기 자기가마와 구조비교 145

IV. 맺음말 153

참고문헌 154

토론 156

종합토론 1. / 차순철 156

종합토론 2. / 김귀한 161

판권기 166

[뒷표지] 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