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1

인사말 / 김상태 2

[행사일정] 3

목차 5

기조강연 : 다양성의 시대 (한)국어교육 : 학생 / 염은열 7

1. '다양성'이라는 숙제 8

2. 다양성의 관점으로 본 (한)국어교육의 장 9

1) 학생은 어떻게 존재하는가 : 자기 삶의 주인으로 대접받고 있는가 10

2) 소수자 혹은 약자는 어떻게 존재하는 가 : 다문화 학생을 예로 12

3. 다양성의 시대, 국어교육의 책무와 윤리적 과제 15

1) 환대와 윤리적 학습 16

2) '언어'에 대한 사유 : '언어'에 대한 감수성 함양과 철학적 성찰 18

3) 사람과 사람살이에 대한 경험의 확장 20

5. 결론 21

참고문헌 22

주제발표 1분과 24

1. 학습자 다양성과 학교 밖 국어교육 - 고교 전환학년 교육기관 오디세이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 서명희 25

I. 서론 25

II. 전환학년과정 오디세이학교를 선택하는 학습자들 27

III. 오디세이학교의 국어교육과 학습자의 경험 32

IV. 학습자 다양성에 대한 대안적 관점 36

V. 결론 39

토론 / 오윤주 40

2.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과제 수행 양상 - 독서 활동을 중심으로 / 이창근 42

I. 서론 42

II. 연구 방법 43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45

IV. 결론 50

참고 문헌 51

토론 / 최건아 52

3. 학습과학(Learning science) 연구 소개 및 동향 / 권가진 54

토론 / 장성민 78

주제발표 2분과 79

1. 내가 만난 학습자들 - 한국어교육의 시작과 끝 - / 이미향 80

I. 교원이 성장한다는 것 80

II. 학습자에게서 교육을 배우다 81

III. 학습자가 교원을 성장시키다 83

IV. 학생의 역할, 다시 보기 84

참고 문헌 86

토론 / 김정현 87

2. 다문화/다언어 시대의 한국어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소고 / 심상민 89

I. 들어가기 89

II. '다양성'과 관련된 몇 가지 개념 90

III. 한국어 교육에서 '다양성'과 학습자 92

IV. '다양성'에 기반한 한국어 교육의 지향점 94

V. 결론 97

참고 문헌 98

토론 / 윤지원 99

3. 학습 다양성을 고려한 교실 수업의 쟁점 논의 / 조형일 101

I. 디딤, 다양성, 학습 다양성 개념과 정책 양상 101

II. 뻗음, 2024년~2030년 한국어 교실에서 학습 다양성의 쟁점 106

III. 닫음 - 교사의 역할과 책무 108

참고 문헌 110

붙임6. 다문화교육 지원 정책 추진경과 111

토론 / 강남욱 112

개인발표 1분과 114

1. 문학 향유를 위한 AI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진솔 115

I. 들어가며 115

II. 문학 감상에서 AI 기술의 활용 가치 119

III. AI를 활용한 문학의 향유 방식 122

IV. 나오며 128

참고 문헌 130

토론 / 김지은 131

2. 글 이해 과정에서 작동하는 독자의 '응집성 기준'에 대한 개념적 고찰 / 이채윤 ; 조병영 133

I. 서론 133

II. 응집성의 개념 확장 134

III. 응집성 기준의 개념과 읽기에서의 작용 양상 142

IV. 결론 145

참고 문헌 147

토론 / 이윤희 150

3. 고등학교 교사의 비문학 독해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실행 양상 조사 연구 / 허모아 ; 편지윤 153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54

2. 연구 방법 155

3. 결과 분석 157

4. 논의 및 제언 166

참고 문헌 167

토론 / 어영준 168

4. 해외 자국어 교육과정에 구현된 미디어 문해력 교육 내용 분석 - 호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자국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김연지 170

I. 서론 170

II. 해외 자국어 교육과정에서 미디어 문해력 교육의 위상 171

III. 해외 자국어 교육과정의 미디어 문해력 교육 구현 양상 분석 175

IV. 결론: 교육적 시사점 193

참고 문헌 195

토론 / 최진영 198

개인발표 2분과 200

1. 읽기 따라잡기 학교 모델 연구의 성과와 전망 / 김은희 ; 이소일 201

I. 서론 201

II. 읽따 학교 모델 연구의 역사 202

III. 읽따 학교 모델 연구의 새로운 모색 204

IV. 결론 208

참고 문헌 210

토론 / 진영준 211

2. 초기 문해력 개별화 수업의 실제 : 문해 자산 확충을 위한 지도 전략을 중심으로 / 유부름 ; 민경효 ; 박신희 213

1. 초기 문해력 개별화 수업과 문해 자산 214

2. 문해 자산을 확충하기 위한 지도 사례 216

사례1. 음운 인식 지도 사례 216

사례2. 통사적 감각 지도 사례 219

사례3. 배경지식 지도 사례 222

사례4. 구어 발달 지도 사례 225

사례5. 재미있는 읽기 경험 지도 사례 229

3. 시사점 232

토론 / 노들 233

3.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 형성 지원을 위한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 내용 분석 -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 / 변은지 234

I. 서론 234

II. 이론적 배경 235

III. 연구 대상 및 방법 241

IV. 연구 결과 241

V. 결론 및 제언 247

참고 문헌 248

토론 / 김형성 250

4. 책의 리좀과 읽기의 리좀 - 들뢰즈와 과타리의 『천개의 고원』 1장 '리좀'을 중심으로 / 김도남 252

I. 서언 252

II. 책의 리좀 254

III. 읽기의 기좀 261

IV. 결언 268

참고문헌 270

"학습 다양성을 고려한 교실 수업의 쟁점 논의"에 대한 토론문 / 김상한 271

[뒷표지] 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