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1
프로그램 2
목차 4
개회식 6
개회사 / 김수언 7
환영사 / 김준형 9
축사 / 윤상현 10
축사 / 김창진 11
축사 / 정영순 13
제1부 유라시아 비즈니스 성공스토리: 시련을 넘어 재도약의 희망으로! 15
발제 1. 한-러 지역간 협력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 김주휘 16
제1장 우리나라 대러 수출입 현황 17
1. 대러무역통계 (1992년~2024년 3분기) 18
2. 우리나라 항만별 러시아 수출 현황 : 2024년 1~3분기 18
3. 우리나라 항만별 러시아 수입 현황 : 2024년 1~3분기 19
4. 동해항 : 러시아 관련 주요 현황 (화물) 19
5. 동해항 : 환동해 지역 화객선 항로 (여객) 20
6. 동해항 : 국제 여객 현황 20
제2장 한-러 지자체 교류협력 : 동해시 21
1. 광역, 기초지자체 협력 21
2. 환동해거점도시회의국 22
3. 환동해거점도시회의 22
4. 동해시와 연해주 지역 교류 23
5. 비즈니스 발굴 사례 23
발제 2. 카자흐스탄 희소금속 산업소재 공급망 협력 및 고도화 ODA 사업 추진 현황 - 지속 가능한 글로벌 공급망 구축을 위한 협력 - / 박경태 25
희소금속과 산업소재의 중요성 26
희소금속 밸류 체인 예시 (티타늄) 27
카자흐스탄의 희소금속 자원 현황 27
카자흐스탄의 희소금속 기술 현황 28
카자흐스탄의 희소금속 생산 능력 29
ODA 사업 추진 배경 29
카자흐스탄 ODA 사업의 필요성 30
ODA 사업 주체 32
ODA 사업 비전 33
ODA 사업 목표 33
ODA 사업 내용 34
ODA 사업 추진 경과 34
기대 효과 35
발제 3. 중앙아 Data center 사업현황과 전망 / 이백희 36
I. 중앙아시아 투자사례 : East Telecom 37
II. 개도국 4대 투자전략 38
II. 왜 Data center 사업인가?[내용없음] 37
III. 중앙아 Data center 사업 Challenge 41
IV. Data 24 프로젝트 추진계획 42
1. Data 24의 BM & Value 42
2. Data 24 프로젝트 개요[안] 42
발제 4. 톈산을 넘어 광활한 땅으로 : 태양광발전사업 / 김원창 44
회사소개 45
Kazakhstan 개요 47
Kazakhstan 역사 48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관계 50
지도로 보는 Kazakhstan 51
Silk Road 55
Flight to Almaty 56
Project 소개 58
Field Trip 58
난관/극복 71
소요자금/수익성 75
후속사업 76
기대효과 77
진출시 유의사항 78
발제 5. 카자흐스탄 15년 화장품 판매법인 대표의 마케팅 노하우 : 라라잇츠(LALAITS) / 윤현숙 80
발제 6. 왜 키르기스스탄인가? : 태고의 신비와 숨결을 간직한 키르기스스탄 / 조용필 93
키르기스스탄 94
키르기스스탄의 자랑, 천혜의 자연 95
인문학으로 접근하는 키르기스스탄 95
키르기스스탄의 여행 프로그램 96
키르기스스탄 여행의 특징 96
한국인 여행객 확대를 위한 피드백 97
한국 여행객 확대 유입을 위한 피드백 97
한국 여행객 확대 유입을 위한 개선방안 98
발제 7. 유라시아 고려인 기업인의 대한국 투자 성공 비결 : ROYAL FOOD COMPANY / 장순재 104
회사 소개 106
우리의 경쟁력 106
우리의 스펙 108
우리의 비전 109
문화행사 / 최영화 110
공연 내용 111
프로그램 111
출연진 111
제2부 유라시아 국제정세 분석 및 한국의 대응 방안 113
발제 1. 트럼프 재집권 이후 러-미 관계의 변화 가능성과 한-러 관계 전망 / 박병환 114
요약문 114
1. 들어가는 말 115
2. 러-미 관계의 변화 가능성 116
3. 한-러 관계 전망 118
4. 맺음말 119
발제 2. 미 신정부 출범과 국제사회의 대러 제재 전망 / 김영옥 120
요약문 120
1. 경제제재의 법률적 의의 120
2. EU 및 미국의 대러시아 경제제재 122
3. 우리나라의 대러 경제 제재와 러시아의 대응 126
4. 트럼프 신정부 출범과 국제사회의 대러 제재 전망 129
발제 3. 러북관계의 진화: 경로, 특성, 전망 / 장세호 135
요약문 135
I. 문제제기 135
II. 러북관계 진화의 경로와 특성 136
III. 러북의 기대 이익과 향후 양자관계 발전 전망 141
IV. 고려할 변수들과 정책적 시사점 145
발제 4. 중앙아시아의 재발견과 한-중앙아시아 협력의 미래 / 성동기 147
요약문 147
I. 들어가며 148
II. 본론 149
III. 결론에 대신하여 177
[뒷표지] 178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