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행사일정]
인사말 / 김상태
목차
제144차 한국국어교육학회 전국학술대회 9
주제 발표 9
발표 1. 초등학교 문학 기반 융합 수업의 기제로서 서사적 사고 / 김태호 10
I. 들어가며 10
II. 초등학교 문학교육의 보편성과 특수성 12
III. 초등학교 문학 기반 융합 교육의 기제로서 서사적 사고 16
IV. 나오며 21
참고문헌 22
토론 1. 〈초등학교 문학 기반 융합 수업의 기제로서 서사적 사고〉에 대한 토론문 / 오윤주 23
발표 2.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쓰기 자동 채점 및 피드백 방안 - ChatGPT 4o를 중심으로 / 권태현 25
I. 서론 26
II.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쓰기 평가 현황 27
III. 연구 방법 30
IV. 연구 결과 33
V. 결론 37
토론 2.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쓰기 자동 채점 및 피드백 방안'에 대한 토론문 / 박종임 39
발표 3. 이주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교육 정책 분석 / 정다운 41
I. 서론 41
II. 이주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교육 정책의 변화 42
III. 이주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교육에 대한 제언 51
IV. 결론 52
참고문헌 53
토론 3. 〈이주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교육 정책 분석〉에 대한 토론문 / 손다정 54
제5회 국어교육학자대회 56
기조 강연 : '세계인의 한국어' : 현상의 이해와 연구 / 박인기 57
I. '세계인의 한국어', 가능한 개념인가. 57
II. '세계인의 한국어', 그 불완전성 이해하기 59
III. '세계인의 한국어' vs '한국인의 한국어' 61
IV. 새로운 '한국어 현상(세계인의 한국어)'을 위하여 64
주제 발표 70
제1분과 : 사회 변화와 (한)국어교육의 대응 70
발표 1. 진화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 - 교육과정 내용 탐색을 위한 언어정책사적 고찰 / 주세형 71
I. 문제 제기 71
II. 연구 방법 72
III. 근대계몽기 이전 76
IV. 근대계몽기 79
IV. 결론 및 남은 문제 87
참고문헌 89
토론 1. "진화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에 대한 토론문 / 강남욱 90
발표 2. AI 시대, 언어적 상상력과 문법 교육 / 고춘화 93
I. 왜 언어적 상상력인가 93
II. 언어적 상상력이란 무엇인가 94
III. 언어적 상상력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97
IV. 문법 교육에서 언어적 상상력을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100
V. 결론 : 언어적 주체에서 언어적 창조자로 나아갈 것인가 106
참고문헌 108
토론 2. "AI 시대, 언어적 상상력과 문법 교육"에 대한 토론문 / 최소영 109
발표 3.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 대화 교육의 과제와 지향 / 김승현 112
1. 서론 113
2. 언어교육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의 현황 116
3. 대화 교육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을 위한 과제 119
4.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대화 교육의 지향 120
토론 3.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 대화 교육의 과제와 지향'에 대한 토론문 / 최영인 123
제2분과 : 디지털 시대와 (한)국어교육의 미래 125
발표 1.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국어교육 실행상의 쟁점과 전망 - 디지털 기초소양(DL) 함양을 위한 '매체 영역 외' 국어과 내용 선정 문제를 중심으로 / 남민우 126
I. 상황 맥락 126
II. 주요 쟁점 -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차원에서 130
III. DL 함양을 위한 매체 영역 외 국어과 내용 선정 문제 134
IV. 전망과 향후 과제 140
참고문헌 141
토론 1.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국어교육 실행상의 쟁점과 전망'에 대한 토론문 / 옥현진 142
발표 2. '문학 교육'에서의 '이미지' 개념에 대한 고찰 / 강정화 146
I. 들어가며 : '문학 교육'에서의 '이미지' 개념에 대한 물음 146
II. '모방(模倣)'에서 '심상(心象)'으로 : 철학과 문학적 의미의 '상(像)' 148
III. 국어과 교육과정과 문학 교과서에서의 '이미지' 153
IV. 나가며 161
참고문헌 163
토론 2. 「'문학 교육'에서의 '이미지' 개념에 대한 고찰」에 대한 토론문 / 장보미 164
발표 3. 디지털 시대 한국어교육의 명과 암 논고 / 조형일 167
I. 디딤 : 디지털 시대와 한국어교육 167
II. 뻗음 : 교육, 기술의 항존성을 묻다. 168
III. 닫음 : AI 시대, 언어교육의 생존을 말하다. 171
참고문헌 173
토론 3. '디지털 시대 한국어교육의 명과 암 논고'에 대한 토론문 / 유해준 174
제3분과 : 문학 교육과 (한)국어교육의 학습자 175
발표 1. 한국 문학의 특질과 전통 문제를 통해 본 지식의 본질과 국어교육의 향방 - 사회적 실재론과 확장학습을 중심으로 / 최홍원 176
I. 문제의식 및 논의의 출발 : 역량의 시대에 지식 문제를 살피는 배경과 까닭 176
II. 한국 문학의 특질과 전통의 교육적 수용사와 이력 180
III. 문제의 진단과 지식의 본질에 대한 교육적 물음 184
IV. 지식 구성의 측면 : 사회적 실재론에 따른 지식의 소환과 전환 190
V. 지식 교육 방법과 활용의 측면 : 교육생태계와 활동 체계로서 확장학습 195
VI. 결론을 대신하여 199
참고문헌 201
토론 1. "한국 문학의 특질과 전통 문제를 통해 본 지식의 본질과 국어교육의 향방"에 대한 토론문 / 이상일 204
발표 2. 카를로 콜로디의 『피노키오의 모험』과 아동용 '피노키오 이야기' 비교 연구 / 박치범 207
I. 서론 207
II. 약속 이행을 통한 성장의 서사, 카를로 콜로디의 『피노키오의 모험』 211
III. 아이들은 어떤 '피노키오'를 읽는가? 219
IV. 결론 229
토론 2. 카를로 콜로디의 「피노키오의 모험」과 아동용 '피노키오 이야기' 연구에 대한 토론문 / 임인화 232
발표 3. 2022 개정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 프로젝트 수업 사례 - 시가 있는 우리 동네 가게 / 구본희 234
I. 2022 교육과정 개정 방향 235
II. 평가 설계하기 235
III. 시가 있는 우리 동네 가게 236
IV. 〈시와 가게〉 평가 설계 238
V. 〈시와 가게〉 수행과제1 세부 평가 설계 239
VI. 〈시와 가게〉 수행과제2 세부 평가 설계 240
토론 3. '2022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 프로젝트 수업 사례 - 시가 있는 우리 동네 가게'에 대한 토론문 / 윤호경 269
제4분과 : 독서·작문 교육과 (한)국어교육의 과제 272
발표 1. 교육과정 도전의 시기, 국어과 교육 내용의 점검과 표상 방식에 대한 고찰 / 김혜정 273
I. 문제 의식 273
II. 지금이 교육과정에 대한 도전의 시기인가? 275
III. 교육과정의 '내용'을 어떻게 선정하고, 사회적으로 합의할 것인가? : 교육 내용(체계)의 비교 280
IV. 교육과정을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 : 사실 가장 중요한 문제 295
V. 마무리 제언 : 생략 298
참고문헌 300
토론 1. "교육과정 도전의 시기, 국어과 교육 내용의 점검과 표상 방식에 대한 고찰"에 대한 토론문 / 장성민 301
발표 2. 초등 필자의 온·오프라인 쓰기 활동 사례 / 최건아 303
I. 서론 303
II. 선행연구 검토 304
III. 연구 방법 306
IV. 연구 결과 308
V. 결론 및 제언 320
참고문헌 322
토론 2. 초등 필자의 온오프라인 쓰기 활동 사례에 대한 토론문 / 곽수범 324
발표 3. 인적 자원 측면에서 본 기초학력 보장 정책의 한계 - 문해 전문가의 자격 및 양성, 연수를 중심으로 / 이경화 326
I. 서론 326
II. 미국의 〈문해 전문가 표준〉 2017버전의 특징 328
III. 한국의 문해 전문가의 자격 및 양성의 문제점 333
IV. 한국의 문해 전문가 연수의 문제점 335
V. 국가의 책무성을 위한 제언 337
참고문헌 340
토론 3. "인적 자원 측면에서 본 기초학력 보장 정책의 한계 - 문해 전문가의 자격 및 양성, 연수를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문 / 김지영 342
제5분과 : 문법 교육과 (한)국어교육의 내용 344
발표 1. 국어사 교육 자료로서 '훈민정음 언해본'에 대한 검토 / 박형우 345
I. 서론 345
II. 교육 자료로서 『언해본』 자체의 특징 346
III. 교육 자료로서의 활용에서 나타나는 『언해본』의 특징 354
IV. 결론 364
참고문헌 365
토론 1. "국어사 교육 자료로서 '훈민정음 언해본'에 대한 검토"에 대한 토론문 / 이규범 366
발표 2. '-어서'의 과거 시제 선어말어미 결합 가능성 고찰 / 유민애 369
I. 서론 369
II. '-었어서'의 사용 분포 양상 370
III. '-었어서'의 의미와 수용성 376
IV. '-었어서'의 문법 교육 방안 380
V. 결론(생략) 381
참고문헌 382
토론 2. '-어서'의 과거 시제 선어말어미 결합 가능성 고찰에 대한 토론문 / 박민신 383
발표 3.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음운 교육의 변천과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 구성의 방향 / 박종관 386
I. 서론 386
II. 분석 방법 387
III. 명시적인 음운 교육 내용의 변천 388
IV. 결론 390
참고문헌 391
토론 3.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음운 교육의 변천과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 구성의 방향'에 대한 토론문 / 최선희 394
[뒷표지] 40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