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2

프로그램 3

[기조강연] "환대란 무엇인가?": 탈경계적 질문의 고찰 / 메건 모리스 7

초록 7

개요 8

들어가며 8

그렇다면 '정책'이란 무엇인가? 10

환대의 부재 11

경계와 선물 12

희망, 주거, 환대 13

희망 메커니즘으로서의 교육 15

참고문헌 16

주요용어 16

[영어원문] 17

[주제강연] 우리 안의 아시아: 청소년들의 탈경계적 감수성과 다중 정체성 / 와카바야시 치요 27

초록 27

주요용어 27

변화하는 세계 28

방법으로서의 아시아 30

엘리트주의 31

전형과 연속성 34

우리 안의 아시아 36

[영어원문] 38

[특별강의 1] 회귀, 경멸의 사슬 및 아시아 지역 내 감정 / 치밍 왕 52

개요 52

주요용어 52

쉬찬위안의 감정섞인 눈물 53

경멸의 사슬 55

불안정과 감정: 나마위의 "연약한 마음"에 대하여 58

결론: 자기 눈으로 세상을 보기 60

[영어원문] 64

[세션 1] 가족과 공동체 79

[주제강연 1] "불완전한 우리" 속의 "주부화" - 퍼즐과 페다고지 / 나이페이 딩 79

초록 79

퍼즐 80

비고대적/고대적 82

불완전함 85

교훈? 86

주요용어 87

참고문헌 88

[영어원문] 90

[주제강연 2] 폐쇄적 가족주의를 넘어 상호공존하는 청소년-시민되기로 / 김순남 102

들어가며 102

단일한 청소년의 현재와 미래는 없다 103

생존의 세계를 만들어 가는 존재들 105

나가며 108

참고문헌 109

[영어원문] 110

[세션 2] 기술혁신시대, 일과 미래 119

[주제강연 1] 드러누워서 미래를 맞이할 수 있을까? / 루오 샤오밍 119

"드러눕기"와 "내권": 일, 삶, 꿈(미래)의 불안정한 균형 120

절름발이가 '드러눕는' 방법: 더우반(Douban)의 '파이어족의 삶(가난한 버전)' 그룹 사례 연구를 기반으로 한 토론 122

체계적 탈구 속에서 "드러눕기"의 재배치: '미래'의 부재 131

그 후의 여파: 좋은 소식은 이제 막 시작되었다 135

[영어원문] 137

[주제강연 2] 인공지능과 우리 아이들의 미래 직업 / 이광석 161

기술 폭주의 딜레마 상황과 청소년의 직업 미래 162

첨단 기술 폭주와 청소년의 직업관 딜레마 상황 162

청소년 직업 미래의 불투명성 162

AI 시대 청소년 직업 미래의 본질적 물음 163

직업 미래의 현실 오독과 테크노 낙관주의 163

주류 질서의 AI 시대 직업 미래 1 163

주류 질서의 AI 시대 직업 미래 2 163

동북아 국가들의 AI 자동화 열광 164

자본주의 미래 일자리의 비판적 위상 읽기 164

AI 자동화와 부상하는 노동/일자리 문제 164

플랫폼 (아바타) 긱노동(Platform labor) 165

AI 유령노동(Ghost Work) 165

미세노동(microwork) 166

IT 하류 독성 노동(Undergigs) 166

일반 시민들의 데이터 무급노동(Unpaid data work) 167

청소년의 올바른 직업관을 위한 하나의 방법, AI 비판적 리터러시 167

청소년의 AI 비판적 리터러시(critical literacy) 배양 167

[영어원문] 168

[세션 3] 인권, 공정, 민주주의 175

[주제강연 1] 타인의 고통: 대만의 Z세대를 대상으로 한 팔레스타인 교육 / 이헝 리우 175

초록 175

주요용어 175

맥락의 중요성: "대만인으로서 우리는 어느 쪽을 지지해야 하는가?" 177

미디어 편견: "그럼 하마스의 성폭력은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179

타인을 생각하라: "하지만 상황이 변화될 수는 있는 것인가?" 181

[영어원문] 183

[주제강연 2] 보이지 않는 아이들: 학교-일터 이행과 사회적 성원권 / 김현경 191

보이지 않는 아이들 191

감추어진 집합 192

학교에서 일터로 193

예외적 시간 195

참고문헌 196

[영어원문] 197

[특별강의 2] 뉴미디어 시대의 지구촌 감수성 / 백원담 205

디지털 플랫폼과 포스트 글로벌리티 정동 205

재난자본주의와 불안/혐오 정동 206

한류의 팝 글로벌리즘과 지구적 연대의 정동 208

해금 그리고 연루 210

나가며 212

[영어원문] 213

[세션 1] 생태와 디지털 감수성 225

[주제강연 1] 가치 있는 스토리텔링: 인공지능과 디지털 내러티브 / 니샨트 샤 225

초록 225

주요용어 225

두 가지 진실과 한 가지 거짓: 알고리즘 이야기 226

당신과 AI 227

정보 분리 및 알고리즘적 의미 생성 228

개별화 및 네트워크화된 정보 228

예측 시스템 229

가치 있는 스토리텔링: AI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230

참고문헌 232

[영어원문] 233

[주제강연 2] 기후위기 대응을 넘어 좋은 삶의 비전으로 / 조효제 242

위기를 해석하는 방식 242

'생존이냐 파국이냐'를 넘어서 243

위기 앞에서 '좋은 삶' 상상하기 245

나오면서 246

참고문헌 247

[영어원문] 248

[세션 2] 다양성, 성인지, 다문화 정동 255

[주제강연 1] 기술을 매개로 한 성적 피해와 젠더 기반 폭력에 대한 인식: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훈 / 미셀 호 255

초록 255

주요용어 255

들어가며 256

포럼 주제 고찰: 다중 정체성과 탈경계적 감수성 256

기술을 매개로 한 성적 피해 및 젠더 기반 폭력에 대한 사례 연구 257

교육 정책을 위한 권장 사항 261

참고문헌 263

[영어원문] 266

[주제강연 2] 다문화ㆍ성인지 감수성 증진과 확장적 민주주의 / 김현미 280

발표 개요 281

학교와 다문화 사회 281

'학교'라는 문화접촉지대(contact zone) 282

학교 문화기술지(School Ethnography)의 필요성: 사례 282

배제 283

'골칫거리' 문제 학생 되어가기 283

다문화학생의 '전시화' 283

교사의 '어려움' 284

국민 중심 규범의 학교 284

차별의 연쇄고리: 다문화청소년부터 '다문화' 장병까지 284

다문화가정 자녀 동반입대 복무제도 285

"스쿨 미투" - 피해자가 나섰다 286

"스쿨 미투" 이후 286

차이와 '문화적 시민권'(cultural rights) 287

문화시민권의 확장 287

문화적 차이의 수용과 오용 288

Diversifying diversities (다양성을 다양화하기) 288

토론 289

[영어원문] 290

[세션 3] 한류와 지속 가능한 문화교통 300

[주제강연 1] 한류 20년과 일본 - 픽션과 현실 사이 어딘가에서 미래를 바라보다 / 유키에 히라타 300

일본에서 한류의 시작 301

일상화된 한국 302

픽션과 현실 사이 어딘가에서 미래를 바라보다 303

나가며 304

참고문헌 304

[영어원문] 305

[주제강연 2] 한류를 조망하는 새로운 시각: 포스트지구화와 어셈블리지 / 이기웅 311

들어가는 말 311

지구화 vs. 포스트지구화 312

한류 어셈블리지 313

경험적 전환? 314

한류와 포스트지구화의 시공간 315

포스트국민적 엔터테인먼트? 317

[영어원문] 318

판권기 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