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대회일정

목차

공동 주제 발표 : 이주의 고고학 7

고고학에서 이주의 개념과 물질문화의 변이 -개념 및 서구사례를 중심으로- / 김종일 8

I. 머리말 8

II. 이주의 개념과 연구사 9

1. 이주의 개념과 정의 10

2. '이주'를 이해하기 위한 몇 가지 전제 11

3. 이주의 사례연구-유럽의 예를 중심으로 15

III. 맺음말 25

참고문헌 26

공동 주제 발표 토론문 : 한국고고학과 이주 -김종일 교수의 발표문에 대한 토론문- / 김장석 31

1. 미는 요인(push factor)과 당기는 요인(pull factor) 32

2. 이주의 고고학적 식별 32

3. 이주민과 재지민 사이의 역관계 33

4. 이주는 사실인가, 해석의 결과물인가 33

5. 한국고고학과 계통론 33

참고문헌 34

한국 빗살무늬토기의 확산과정 / 송은숙 35

I. 머리말 35

II. 선빗살무늬토기문화의 파급 36

1. 신암리식 융기문토기문화 36

2. 오산리식 평저토기문화 37

3. 영선동식 압인문토기문화 38

III. 빗살무늬토기문화의 성립 40

1. 빗살무늬토기문화의 등장 40

2. 조 농경의 도입 41

IV. 빗살무늬토기문화의 확산 42

1. 동해안 중부지역 42

2. 남해안지역 43

3. 남부 대륙지역 44

V. 맺음말 45

참고문헌 47

공동 주제 발표 토론문 : 〈한국 빗살무늬토기의 확산과정〉에 대한 몇 가지 의문 / 하인수 51

송국리문화의 일본 전파와 수용 / 유병록 55

I. 머리말 55

II. 한반도 송국리문화의 종언과 일본 송국리문화 56

1. 한반도 송국리문화의 종언 56

2. 일본의 송국리문화 57

III. 송국리문화의 일본 전파문제 63

1. 이주냐 교역(교류)이냐? 63

2. 일본 송국리문화의 원류지 64

3. 송국리문화 집단의 이주시기와 원인 65

4. 이주민의 규모와 이주문화의 수용과정 67

IV. 맺음말 69

참고문헌 70

공동 주제 발표 토론문 : '송국리문화의 일본 전파와 수용'에 대한 토론 요지문 / 이홍종 73

낙랑에서 삼한으로 -원삼국시대의 이주에 대한 사례 검토- / 김무중 75

I. 머리말 75

II. 이주에 대한 사례 검토 77

1. 가평 대성리유적 77

2. 화성 기안리유적 78

3. 김해 구산동유적 79

4. 사천 늑도유적 79

III. 맺음말 80

참고문헌 81

공동 주제 발표 토론문 : 「낙랑에서 삼한으로 -원삼국시대의 이주에 대한 사례 검토-」에 대한 토론문 / 정인성 96

참고문헌 99

백제 물질문화의 변동과 주민의 이주 / 이성준 100

I. 머리말 100

II. 백제고고학에서 이주·교류·전파에 대한 시각 101

III. 백제로의 주민 이주 108

IV. 맺음말 117

참고문헌 118

공동 주제 발표 토론문 : "백제 물질문화의 변동과 주민의 이주"에 대한 토론 요지 / 김성남 119

신라·가야의 이주자료와 이주유형 / 홍보식 124

I. 이동과 이주 124

II. 이주의 고고학적 사례 125

1. 이주의 근거 125

2. 가야 권역 126

3. 신라 내의 이주 자료 128

III. 이주유형과 변화 131

1. 이주와 생활유형 131

2. 이주와 권력 135

IV. 맺음말 136

참고문헌 137

공동 주제 발표 토론문 : 「신라·가야의 이주자료와 이주유형」에 대한 토론요지 / 박승규 148

유적 조사 발표 150

울진 죽변리유적 / 하영중 152

I. 조사개요 152

II. 유적의 위치와 환경 153

III. 조사내용 153

1. 신석기시대 유물포함층 154

2. 신석기시대 생활면 154

3. 수혈유구 155

IV. 조사성과 및 의의 155

참고문헌 156

진주 평거 4지구(I구역)유적 / 윤호필 ; 고민정 ; 황인천 ; 정익환 165

I. 조사개요 165

II. 유적의 층위 및 유구 분포 양상 165

III. 조사내용 166

1. 신석기시대 166

2. 청동기시대 167

3. 경작유구 168

IV. 조사결과 및 의의 171

인천 운북동유적 / 이길성 ; 조순제 178

I. 조사개요 178

II. 조사내용 179

1. 신석기시대 179

2. 원삼국시대 181

3. 고려시대 182

III. 조사성과 183

참고문헌 183

화성 쌍송리 환호취락 -평택-시흥 고속도로구간내 17지역 발굴조사- / 김용 189

I. 조사개요 189

II. 조사지역의 환경 189

III. 조사내용 190

1. 환호 190

2. 주거지 191

3. 기타 194

IV. 조사성과 194

참고문헌 195

광주 역동 e-편한세상 아파트신축부지내 유적(가·마지점) 문화재 발굴조사 / 박천택 202

I. 머리말 202

II. 유적의 위치와 환경 202

III. 조사내용 203

1. 청동기시대 주거지 203

2. 청동기시대 분묘 206

IV. 조사성과 207

참고문헌 208

여수 GS칼텍스공장 확장예정부지내 여수 월내동 상촌·적량동 상적 지석묘군 / 강진표 219

I. 머리말 219

II. 유적의 환경 220

III. 조사내용 220

1. 적량동 상적 지석묘군 I 220

2. 적량동 상적 지석묘군 II 220

3. 적량동 상적 지석묘군 IV 221

4. 월내동 상촌 지석묘군 II 221

5. 월내동 상촌 지석묘군 III 222

IV. 조사성과 223

경주 석장동 876-5번지 다가구주택 신축부지내 유적 / 박영호 231

I. 머리말 231

II. 유적의 입지 및 주변 문화재 현황 231

III. 조사내용 232

1. 묘역식 지석묘 232

2. 석축유구 233

IV. 조사성과 및 의의 234

참고문헌 235

경부고속철도 울산역 역세권 부지내 유적 / 정현석 ; 성민호 ; 김나영 243

I. 조사 개요 243

II. 유적의 입지 및 주변 유적 현황 244

III. 조사 내용 244

1. 청동기시대 245

2. 삼한시대 248

IV. 조사 성과 253

참고문헌 254

행정중심복합도시 지방행정지역 생활권 3-1·2내 C지점 연기 대평리유적 / 이창호 ; 김현일 261

I. 조사개요 261

II. 유적의 위치와 환경 262

III. 조사내용 262

1. 가·나구역 262

2. 다·라구역 267

3. 라구역 267

IV. 조사 성과 267

연기 대평리유적 B지점 / 양지훈 274

I. 조사개요 274

II. 유적의 위치와 환경 275

III. 조사내용 275

1. 청동기시대 주거지 275

2. 원삼국시대 276

IV. 조사성과 278

완주 신풍유적 발굴조사 성과 / 한수영 ; 송종열 ; 이진희 289

I. 조사개요 289

II. 유적의 환경 289

III. 조사내용 290

1. 토광묘 290

2. 출토유물 292

IV. 조사성과 292

참고문헌 296

연천 삼곶리 철기생산 마을유적 발굴조사 성과 및 향후과제 / 장인경 ; 김기룡 ; 배기동 303

I. 들어가는 글 303

II. 유적 개요 304

1. 위치 304

2. 지형 및 층위 304

3. 유구 개요 305

4. 유물 개요 306

III. 철기생산관련 유구 및 유물 307

1. 유구 307

2. 유물 309

IV. 연대 및 문화특성 311

1. 문화특성 311

2. 연대 312

V. 유적의 의의와 향후 연구과제 313

참고문헌 313

충주 문성리 유적 / 조순흠 ; 최관호 318

I. 머리말 318

II. 유적의 위치와 주변유적 318

III. 조사내용 319

1. 유구 319

2. 부장품 320

IV. 조사성과 321

참고문헌 321

연기 석삼리 원삼국시대 분묘유적 / 박소연 ; 김도연 ; 이동휘 ; 엄혜미 328

I. 머리말 328

II. 유적의 위치 및 환경 329

III. 조사내용 329

1. 주구토광묘 329

2. 토광묘 330

3. 옹관묘 331

4. 매납유구 331

IV. 조사성과 331

참고문헌 332

합천 삼가고분군 유적 / 이춘선 342

I. 조사개요 342

II. 조사지역의 위치와 환경 342

III. 조사내용 343

1. 청동기시대 석관묘 344

2. 원삼국시대 목관묘 344

3. 삼국시대 345

IV. 조사성과 347

경주 황성동 590번지 일원 공동주택 건립부지내 유적 / 황보은숙 353

I. 조사개요 353

II. 유적의 위치와 환경 354

III. 조사내용 354

1. 목곽묘 354

2. 적석목곽묘 356

3. 석곽묘 360

4. 석실묘 362

IV. 조사진행에 따른 간략한 이해 364

참고문헌 367

연천 강내리 유적 / 안성민 ; 박성남 371

I. 머리말 371

II. 유적의 위치와 조사내용 371

1. 유적의 위치 371

2. 조사내용 372

III. 조사결과 376

참고문헌 376

서산 예천동유적 / 최봉균 384

I. 조사개요 384

II. 조사내용 385

1. 청동기시대 385

2. 초기철기시대 385

3. 원삼국~백제시대 386

III. 조사성과 390

보성 도안리 석평유적 / 김진영 399

I. 조사개요 399

II. 유적의 위치 및 환경 399

III. 조사내용 400

1. 주거지 400

2. 수혈 402

3. 토기가마 402

4. 지상건물지 및 구상유구 402

IV. 조사성과 402

신녕-영천 국도확장공사구간내 화남리 유적 / 김희철 409

I. 머리말 409

II. 유적의 위치와 환경 409

III. 조사내용 410

1. 목곽묘 411

2. 수혈식석곽묘 412

3. 석실묘 415

IV. 유적의 편년 416

V. 맺음말 417

참고문헌 418

의성 대리리 2호분 / 권혜인 434

I. 머리말 434

II. 유적의 위치와 환경 435

III. 조사방법 435

IV. 조사내용 436

1. 봉토 436

2. 매장주체부 437

V. 맺음말 438

울산 혁신도시 개발사업 2구역 1차 C2-B구간 유적내 울산 약사동 제방 / 권석호 ; 권순강 ; 이보경 ; 심성민 ; 김동현 ; 지영배 447

I. 조사개요 447

II. 제방의 입지와 현황 447

III. 조사내용 448

1. 제방의 축조과정 448

2. 제방의 제원 451

3. 제방의 성격 452

4. 축조 및 사용 시기 453

IV. 조사결과 454

참고문헌 455

자유 패널 발표 460

자유 패널 1분과 : 대형옹관제작 고대기술 복원 프로젝트 462

I. 대형옹관제작 고대기술 복원 프로젝트 개요 / 이종훈 ; 조미순 463

1. 사업개요 463

2. 대형옹관의 제작기법 관찰 465

II. 대형옹관의 재료학적 특성과 소성온도 / 김란희 ; 이찬희 467

1. 연구개요 467

2. 연구방법 467

3. 분석결과 및 해석 469

4. 고찰 473

5. 소결론 475

III. 대형옹관의 태토조성실험 / 조미순 ; 성윤길 477

1. 채취 477

2. 배합 477

IV. 대형옹관의 성형실험 / 조미순 480

1. 정치성형 481

2. 도치성형 481

3. 정치 후 도치성형 482

4. 도치 후 정치성형 483

V. 대형옹관 가마의 구조 분석 / 정성목 484

1. 나주 오량동 유적 발굴조사 개요 484

2. 대형옹관 가마구조 486

3. 옹관가마와 호남지역 토기가마 구조 비교 491

VI. 대형옹관 가마의 복원과 소성실험 / 조미순 495

1. 가마 복원 495

2. 소성실험 496

VII. 맺음말 498

참고문헌 498

자유 패널 2분과 : 일제강점기의 고고학 500

조거용장으로 본 일제강점기 한국 선사시대에 대한 이해 / 강인욱 501

I. 서언 501

II. 조거의 한반도 선사시대 연구 503

1. 조거의 한국조사동기 503

2. 조거의 한반도 조사 505

III. 고찰-미완의 조사 509

1. 조거 조사의 특징 509

2. 식민지에서 기원찾기-조거의 한반도 선사시대에 대한 인식 510

IV. 결어 512

참고문헌 513

일제강점기 고적조사 제도에 관한 검토 / 이기성 532

I. 들어가며 532

II. 일제강점기 고적조사 제도 533

1. 경술국치 이전의 고적조사 533

2. 경술국치 이후의 고적조사 534

3. 1916년부터의 고적조사-'고적조사위원회'와 '고적급유물보존규칙' 535

4. 1931년부터의 고적조사-'조선고적연구회' 540

III. 마치며 542

참고문헌 543

일제강점기 고적조사 결과물 / 천선행 545

I. 머리말 545

II. 단행본 546

1. 한일병탄 전후(1902년~1915년) 546

2. 1916년부터 1930년까지 547

3. 1931년부터 1945년까지 548

III. 논문 549

1. 논문 수와 내용 549

2. 논문게재 잡지 552

IV. 맺음말 556

참고문헌 557

판권기 558

[뒷표지] 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