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모시는글 / 정경일

축사 / 이영식

학술대회 전체 일정

학술대회 세부 일정

목차

제1부: 기획발표-대학 교양 글쓰기의 새로운 모색 11

[기획발표 1] 대학 글쓰기, 학문의 배후에 서다-숙명여자대학교 글쓰기 교육사를 중심으로- / 김병길 12

[기획발표 2] 지식 융합 시대의 글쓰기 교육의 방향 / 신선경 23

[기획발표 3]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경희대 '글쓰기 1' 교재 『나를 위한 글쓰기』와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오태호 30

[기획발표 4] 이공계 글쓰기 '팀티칭 수업(Team teaching)'의 효과적 방법 및 실제 / 남진숙 46

제2부 : 분과발표 1-일반주제 58

[발표 1]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자기 성찰적 글쓰기'를 위한 제언 / 정연희 59

[토론 1]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자기 성찰적 글쓰기를 위한 제언'에 대한 토론문 / 김진선 68

[발표 2] 자기 성찰을 중심으로 한 대학 글쓰기의 위상과 교수방법 연구-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글쓰기를 중심으로- / 방인석 69

[토론 2] '자기 성찰을 중심으로 한 대학 글쓰기의 위상과 교수방법 연구'에 대한 토론문 / 채근병 77

[발표 3] 자아 성찰적 글쓰기를 위한 질문의 구성과 서사 텍스트의 활용 방안-경희대학교 『글쓰기 1: 나를 위한 글쓰기』 강좌의 사례를 중심으로- / 엄상희 78

[토론 3] '자아 성찰적 질문 구성방법과 서사 텍스트의 활용 방안'에 대한 토론문 / 오현화 87

[발표 4] 경희대학교'자기 성찰적 글쓰기'과정의 문제점과 그에 따른 제언 / 김성철 88

[토론 4] "경희대학교'자기 성찰적 글쓰기'과정의 문제점과 그에 따른 제언"에 대한 토론문 / 이종필 96

제2부 : 분과발표 2-일반주제 98

[발표 1] 학제간 글쓰기 교육의 과제와 전망 / 박태건 99

[토론 1] '학제간 글쓰기 교육의 과제와 전망'에 대한 토론문 / 김응교 108

[발표 2] 대학생의 문장 부호 사용과 인식 실태 조사 연구 / 신호철 110

[토론 2] '대학생의 문장 부호 사용과 인식 실태 조사 연구'에 대한 토론문 / 윤구희 127

[발표 3] 대학생의 비판적 글 읽기와 창의적 글쓰기를 위한 지도 방안 / 김원희 129

[토론 3] '대학생의 비판적 글 읽기와 창의적 글쓰기를 위한 지도 방안'에 대한 토론문 / 이송희 142

제2부 : 분과발표 3-일반주제 143

[발표 1] 대학 '글쓰기'교과 운영 정책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 / 김현정 144

[토론 1] '대학 글쓰기 교과 운영 정책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에 대한 토론문 / 서재원 153

[발표 2] '글쓰기학'의 정초로서 글쓰기 윤리의식의 정립과 윤리의식 제고 방안 연구-표절유형과 인용법'을 중심으로 / 전동진 154

[토론 2] "'글쓰기학'의 정초로서 글쓰기 윤리의 정립과 윤리의식 제고 방안연구"에 대한 토론문 / 최창근 168

[발표 3] 자기형성 과정으로서의 글쓰기 연구 / 박순원 170

[토론 3] '자기형성 과정으로서의 글쓰기 연구'에 대한 토론문 / 한강희 178

[발표 4] 자기서사식 글쓰기 지도에 있어 효과적 피드백 모색-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최종환 180

[토론 4] '자기서사식 글쓰기 지도에 있어 효과적 피드백 모색'에 대한 토론문-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권채린 190

제2부 : 분과발표 4-자유주제 192

[발표 1] 김지하 초기시의 서정성 연구 / 전병준 193

[토론 1] '김지하 초기시의 서정성 연구'에 대한 토론문 / 노춘기 202

[발표 2]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문화 교육과 관련한 한류의 방향성 고찰 / 이은숙 204

[토론 2]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 문화 교육과 관련한 한류의 방향성 고찰'에 대한 토론문 / 김지혜 218

[발표 3] '효과'의 발음에 대하여 / 이동석 219

[토론 3] "'효과'의 발음에 대하여"에 대한 토론문 / 이봉원 227

[발표 4] 1930년대 후반 『삼천리』에 투영된 영화 담론 연구 / 김남석 228

[토론 4] '1930년대 후반 『삼천리』에 투영된 영화 담론 연구'에 대한 토론문 / 유인경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