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목차
개회사 / 황인자 6
환영사 / 박승춘 7
축사 / 정의화 8
축사 / 김무성 9
축사 / 황우여 10
축사 / 김을동 11
축사 / 정우택 12
축사 / 김희정 13
축사 / 정종섭 14
기조강연 15
통일의 길, 한국 여성독립운동에서 찾다 / 이배용 15
전문가 패널 23
통일의 관점에서 본 한국 여성독립운도으이 재조명 / 심옥주 23
I. 서론 24
II. 한국 여성독립운동 현황과 특성 25
III. 한국여성독립운동의 배경과 활동 분화(分化) 32
IV. 한국 여성독립운동과 통일의 지향점 40
참고문헌 42
여성독립운동 정신으로 통일을 모색하다 / 신영숙 44
1. 들어가며 45
2. 여성독립운동 : 여성 교육과 항일 민족 투쟁 45
3. 나오며 47
여성 독립운동가, 제국의 심장을 쏘다 / 윤정란 49
역사 교과서에 서술된 '한국 여성독립운동' 현황 및 과제 / 이방원 58
1. 한국사 교육과정에서 여성인물 수록 현황 59
2. '한국사' 교과서에 서술된 한국여성독립운동에 대한 분석 61
3. 여성독립운동가 유관순·김마리아의 교과서 수록 여부 63
4. 통일을 준비하는 여성독립운동가 연구 및 교육 67
여성독립운동가를 어떻게 알릴 것인가? / 이윤옥 69
1. 머리말 70
2. 광복 70년에 이르도록 잊고 지내온 여성 독립운동가들 71
3. 앞으로 여성독립운동가를 어떻게 알릴 것인가? 74
4. 맺음말 77
잊혀진 여성독립운동가의 현황과 발굴, 선양방안 / 김정아 81
1. 머리말 82
2. 독립운동가 포상 및 발굴 82
3. 잊혀진 여성독립운동가들 87
4. 맺음말 92
여성독립운동가를 활용한 보훈교육 활성화 필요성 / 오일환 93
1. 들어가며 94
2. 국민 통합을 위한 국가보훈의 중요성 94
3. 여성독립운동가의 중요성 96
4. 여성독립운동가 관련 보훈교육 활성화 방안 99
5. 나오며 100
청소년 패널 101
베일에 가려진 여성독립운동가 / 김채운 ; 나한석 101
I. 서론 102
II. 독립운동가에 관한 연구 103
III. 국내에서의 여성독립운동 109
IV. 해외에서의 여성독립운동 115
V. 결론 118
차미리사를 통해 통일을 보다 / 주윤희 ; 현지윤 ; 박은빈 120
I. 차미리사는 누구인가 121
II. 본론 122
III. 결론 125
나라에 바칠 목숨이 하나뿐임에 슬퍼했던 소녀 유관순열사 / 최소연 126
법고창신 통일의 길, 윤희순 의사 뜻을 기리며 / 황유진 130
김마리아 선생님께 부치는 편지 / 이예지 135
미주 여성독립운동을 조명하다 / 김동근 139
부록 143
여성독립유공자 246인 명단(총괄) 144
여성독립유공자 246인 명단(훈격별) 146
여성독립유공자 출생 지도 147
여성독립유공자 활동 지도 148
여성독립유공자 서훈연도별 포상 현황 149
여성독립유공자 운동계열별 현황 150
독립유공자 포상 현황 151
독립유공자 운동계열별·훈격별 현황 152
[뒷표지] 154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