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일정 3

Round Table 5

[기조강연] '생각지도' 못한 '생각지도(地圖, MAP)' / 유영만 7

1. 프롤로그 : 생각지도 못한 생각에 관한 생각-당신은 생각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10

2. 생각지도 못한 세 번째 생각여행 : 감수성-감수성은 타인의 아픔을 가슴으로 생각하는 측은지심이다 18

3/4. 생각지도 못한 세번째 생각여행 : 실험정신-실험정신은 아이디어를 현장에 구현 시키기 위한 부단한 모색이다 27

4/5. 에필로그 : 생각지도 못한 생각 여행-지금 여기를 떠나야 저기를 만날 수 있다! 31

Round Table 1 35

[제1세션] 환경 35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정부, 기업, 시민의 역할과 과제 / 배귀남 36

대기오염물질 37

미세먼지의 복잡성 37

미세먼지의 과학적 이해 38

동북아 스모그 38

미세먼지 오염의 사회적 이슈와 대응방안 39

미세먼지 대응의 문제점 39

미세먼지의 유형별 특징 40

미세먼지 오염원의 양면성 40

우리는 어디에 있는가? 41

구성원의 역할 41

정부 : 현안 분석 및 핵심과제 도출 42

과학-기술-정책 통합형 미세먼지 솔루션 42

미세먼지 대응 기술 분류체계(안) 43

과학적 미세먼지 관리체계 구축 43

스모그 이슈 : 연구개발, 사업화 및 정책 연계 44

생활환경 미세먼지 이슈 : 연구개발, 사업화 및 정책 연계 44

과학, 기술 및 정책간 연계성 45

구성원의 역할 45

미세먼지 저감기술 46

생활환경 미세먼지 대응기술 46

한국인의 하루생활 47

어린이 노출평가 : 주택 + 어린이집 47

대기환경에서 미세먼지 노출 48

실내환경에서 미세먼지 노출 48

미세먼지사업단의 역할 49

사업단 중점추진사항 49

미세먼지 솔루션 50

한국자원봉사의해 국민운동 6대 어젠다 50

미세먼지의 역습!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한 기술적 접근 대책 / 원영재 52

1. 중국의 환경 규제 강화 주요내용 54

2. 중국의 대기 오염 현황 56

3. 중국 대기오염 정책 및 개선활동 58

4. 신 정부 미세먼지 공약과 과제 60

5. 미세먼지 피해 해결방안 제안 62

6. 미세먼지 방지를 위한 기술적 접근 65

7. 자원 봉사자의 역할과 참여 기회 확대 70

결언 및 향후 제안 70

도시에서의 미세먼지 대응 방향 / 정권 74

1. 도시의 미세먼지 현황 75

2. 미세먼지 건강위해성과 사회경제적 편익 77

3. 서울시 미세먼지 저감 방안 79

4. 도시의 에너지대책 80

5.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종합적 접근 83

중장기(~2025) 대기질 개선계획 / 박상환 86

Ⅰ. 일반 현황 87

1. 배출량 총괄(2013, 환경부) 88

2.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배출량(2015, TMS, 1~3종) 88

3. 대기질 수준 89

Ⅱ. 대기질 개선 비전 및 전략 90

1. 추진 체계 91

2. 달성 전략 91

Ⅲ. 그동안 추진 상황 92

1. 중앙부처 건의사항 92

2. 자체 추진 사업 93

Ⅳ. 핵심 추진 계획 93

1. 발전시설 94

2. 제조업 생산 공장 94

3. 이동 배출원 95

4. 건강ㆍ홍보 95

5. 측정 분야 96

[제2세션] 고령화 사회극복 98

고령화 사회극복 / 김동배 99

Ⅰ. 자원봉사란? 99

Ⅱ. 노인 자원봉사활동 참여 이유 100

Ⅲ. 노인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제안 102

Ⅳ. 자원봉사 관리 :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103

Ⅴ. 노인 자원봉사는 창의적으로! 104

참고문헌 105

노인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에 관한 토론 / 모선희 106

고령화 사회 극복 : 노인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 토론 / 탁우상 112

고령화 사회 극복 / 윤득형 118

1. 들어가는 말 118

2. 각당복지재단의 활동과 노인자원봉사 118

3. 각당복지재단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본 노년기 자원봉사 120

4. 미국의 노년자원봉사 활동(Senior Corps) 120

5. 미국의 Senior Corps를 통해 배울 수 있는 점 122

6. 나가는 말 124

[제3세션] 여가문화 126

자원봉사와 여가문화 / 이란희 127

1. 들어가며 127

2. 왜 여가문화와 자원봉사인가 128

3. 여가문화와 자원봉사 결합 사례 133

4. 마치며 135

시민들의 자원봉사로 완성된 희귀질환 환자를 위한 착한걸음 6분 걷기 / 최진 136

Ⅰ. 소개 136

Ⅱ. 시민들이 쉽게 참여할 할 수 있는 구조로 진화된 '착한걸음 6분 걷기 캠페인' 137

일상의 여가를 활용한 서초V타임 / 오영수 140

들어가며 140

서초V타임의 추진과 효과 141

서초V타임의 한계 143

서초V타임의 의의 144

마치며 145

미스터리 봉사여행 "어떤 버스" / 강세린 146

Summary 147

소개 148

팀 152

봉사 152

Round Table 2 156

[제1세션] 생명존중 156

생태적 세계관과 지역공동체, 마을운동은 어떤 희망일까 / 유정길 157

공동체에 모아지는 기대와 희망 157

희망을 만드는 사람들의 역사와 공동체 158

왜 공동체를 추구하는가 159

한국에서의 공동체 모색 160

나가면서 167

생명존중 문화 확산을 위한 자원봉사 활동사례와 실재 / 김상훈 169

1. 사업의 배경 169

2. 사업의 목적 171

3. 생명사랑 행복경기 핵심과제 및 역점사업 171

4. 생명사랑 자원봉사의 영역과 활동사례(프로그램) 174

5. 향후 방향(마무리) 190

보이지 않는 생명사랑의 기술, '마포구 생명사랑 빨간우체통' : 주민고민에 귀 기울이는 마을중심 전문자원봉사사업 5년간의 운영성과 / 조숙자 192

2012년부터 시작된 마포구 생명사랑 전문자원봉사 '빨간우체통' 사업 194

'생명사랑 빨간우체통' 사업, 생명사랑 고민편지벽(Wall)으로 확대 운영 195

2012년부터 접수된 상담편지 분석 결과, 60~70대는 빨간우체통을, 10~20대는 생명사랑 고민편지벽을 이용하는 경우 많았다 197

'생명사랑 빨간우체통' 사업으로 시민주도성ㆍ사회변화ㆍ혁신성ㆍ협력성ㆍ확산성 기여 202

[제2세션] 마을공동체 강화 204

삶의 전환을 위한 마을공동체 운동과 자원봉사 / 장이정수 205

1. 삶의 위기와 공동체 205

2. 일과 노동의 전환 206

3. 마을공동체, 무엇을 하고 있고 무엇을 해야 할까? 207

청소년운동과 마을 공동체 / 정건희 214

1. 지역사회와 청소년운동 214

2. 뜻과 조직 219

3. 달그락달그락 224

4. 따뜻한 한 달을 보내고 230

VV놀이터공작단 / 이영혜 234

왜? 235

나의 이야기 235

우리 이야기 : 엑스포 온새미로 아파트 봉사단 236

1기 VV놀이터공작단 238

2기 VV놀이터공작단 240

활동내용 241

마을공동체와 자원활동 / 김혜정 251

희망세상 252

느티나무도서관 253

마을공동체 253

자원활동 254

뭐가 옳을까? 254

무엇을 할 것인가? 255

대상이 아니라 주체로 만들기 255

공동체를 강화시키는 활동, 이웃을 만들어 가는 활동, 변화를 가져오는 활동 256

자원활동가들이 주체적으로 활동하도록 256

함께 257

엄마가 읽어주는 동화 258

찾아가는 도서관 260

평화교육 강사단 261

나에서 우리로 262

우리 아이들이 잘 자라도록 263

초, 중 입학생들에게 책 선물 263

취미 동아리가 자원활동으로 265

할 수 있는 만큼 하고 싶은 만큼 266

각자의 자리에서 여력을 내는 것 267

세대를 이어가는 자원활동 267

물어보기-뭐가 하고 싶니? 268

재능나눔반 269

나눔반 270

무지개 너머 271

자원활동을 통한 다양한 실험 271

마을공동체와 자원활동 272

자원활동가의 성장을 위해 272

자원활동도 공동체도 273

[제3세션] 서해안유류피해 극복 274

서해안 유류피해 극복 10주년 : 자원봉사활동의 의의와 향후과제 / 정종관 275

Ⅰ. 서론 275

Ⅱ. 자원봉사 활동의 영역과 성과 276

Ⅲ. 재난 대응형 자원봉사 활동 전망과 과제 285

서해안 유류피해 극복 10주년 : 자원봉사활동의 의의와 향후과제 / 김용덕 289

들어가기 289

자원봉사 참여 과정 290

재난 자원봉사 의의와 대응체계 294

향후과제 296

마무리 298

행복가득 청소년! 생기발랄 대한민국!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을 통한 지역사회참여 활성화 / 박영의 300

Ⅰ. 들어가며 300

Ⅱ. 펼치며 301

Ⅲ. 나가며 306

서해안 유류피해극복 봉사활동과 기념관 설립 과제 / 권경숙 308

1. 사고 상황 308

2. 피해 상황 310

3. 환경운동연합 자원봉사활동 소개 316

4. 맺음말 318

유류피해극복 기념과 주변지역 2단계 사업 추진계획 319

여건 및 필요성 319

사업개요 320

그동안 추진 사항 320

앞으로 추진 계획 321

[참고자료] 322

[표-1] 임대아파트 설치 빨간우체국 고민편지 분류표 197

[표-2] 생명사랑 고민편지벽(Wall) 게시 편지 분류표 199

일상의 여가를 활용한 서초V타임 / 오영수 141

〈그림 1〉 서초구자원봉사센터의 일상화 전략 141

서해안 유류피해 극복 10주년 : 자원봉사활동의 의의와 향후과제 / 정종관 278

[그림 1] 유류유출사고 자원봉사 방제활동(2007. 12. 10) 278

[그림 2] 생태계서비스와 인간활동 상호관계 282

[그림 3] 유류유출사고에 따른 지역공동체 회복과정 283

[차트-1] 연령대별 고민편지 분류 198

[차트-2] 유형별 고민편지 분류 198

[차트-3] 연령대별 고민편지 분류 200

[차트-4] 유형별 고민편지 분류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