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세션별 발표 요약 21
제1세션 북한정세: 신년사 분석, 최근동향 42
비핵화 실현성의 열쇠 쥔 제재 / 홋타 유키히로 42
북한의 유화 자세와 한국의 역할 42
인식차, 어긋나는 방향성 42
"한반도 비핵화" 지리적 개념 아니다 42
타임 스케줄과 제재의 영향 침투도 43
현지에서 느끼는 '제재' 43
역시 열쇠는 제재인가 44
김정은 시대 "예술영화"의 특징과 전망 / 요코미조 미호 45
김정은 시대의 북한은 어떤 국가를 지향하는가? / 이상근 47
I. 머리말 47
II. 김정은 정권이 제시한 국가발전 목표 48
III. 이상과 현실, 목표와 수단 간의 괴리 54
IV. 결론 64
2019년 김정은 위원장 신년사 분석과 최근 동향 및 전망 / 주성하 67
1. 북한 신년사 분석과 쟁점 67
2. 북한의 최근 동향과 경제 사정 68
3. 향후 북한 내부 전망과 쟁점 69
2019년 김정은 위원장 신년사 분석과 최근 동향 및 전망 / 최경희 70
I. 서론 70
II. 2019년 김정은 신년사 분석 70
III. 최근의 동향 71
IV. 전망 73
고강도 제재 지속 국면 아래의 북한경제 동향과 전망 / 리팅팅 74
1. 분석 배경 및 필요성 74
2. 고강도 제재의 경제효과 74
3. 북한경제의 최근 동향 및 전망 75
4. 결론 및 함의 75
2차 북미정상회담 후 결렬과 한중일 협력 / 왕푸동 76
1. 하노이회담 결렬 후 지금까지 미북양측은 대체적으로 자제함 76
2. 전망 및 영향 76
제2세션 2019년 남북관계 전망 77
남북한 과제: 평화체제 보다 제재해제 / 와타나베 타케시 77
(1) 1992년 비핵화 공동선언을 넘은 판문점선언 77
(2) 세계적인 핵군축: 판문점선언 직전에 확인한 목표 77
(3) 비핵화의 이상 78
(4) 평화체제 보다 제재해제 78
2019년 남북관계 전망 / 토가시 아유미 79
1. 문재인 정권의 한반도 정책과 일본 79
2. 북미정상회담 이후...... 79
남북 군비통제와 한반도 비핵화 / 부승찬 81
1. 군비통제 의미 81
2. 군비통제 유형, 단계 81
3. 유럽의 경험 81
4. 남북 군비통제 추진과 제한 사항 82
5. 결론 83
2019년 남북관계 전망 / 홍민 84
1.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이후 북미 협상 쟁점 84
2.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북한 협상전략의 실패 84
3. 한국의 정책 환경 84
4/3. 한국의 역할과 과제 85
남북관계: 갈등분석해결학적 접근 / 권소영 87
남북 관계 개선의 장애요인과 전망 / 하오췬환 90
남북한 관계의 불안정성 및 영향요인 분석 / 진아이화 93
제3세션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 4대 강국 동향 및 전망 95
재인식된 비핵화의 어려움-미북 쌍방의 노력 필요 / 니시노 준야 95
평화체제의 구축과 불가분 95
김정은 위원장의 성급한 접근 96
미국 측도 빅딜 추구 96
중국이 차후, 적극적으로 관여도 97
일본은 우선 대한국관계 재건을 98
한일 관계의 현주소-한일 양국 국내 요인을 중심으로 / 우메다 히로시 99
1. 한일 관계의 현주소-정치, 문화의 양면성 99
2. 현재 한일 양국 관계의 문제-기존의 접근 방법 "정경 분리" 99
3. 한일 양국 국내적 요인 검토-불신의 확대 요인은 무엇인가? 99
4. 한일 관계 전망 100
INF조약 폐기 이후 동북아 역내의 예상쟁점 / 황일도 101
1. 전제 101
2. 예상 체계 및 시점 102
3. 주요 예상쟁점 103
4. 함의 105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후 한반도 정세전망 / 리춘푸 107
1. 새로운 형세하에 북한의 전략선택 107
2. 비핵화 방법론의 구체화와 기본 로드맵 제시 108
3. 향후 전망 109
한반도를 둘러싼 다중적 딜레마와 한국의 도전 / 우완영 110
1. 한반도 전향적 변화속의 지속과 전환 110
2. '문간에 발 들여놓기 효과'와 '면전에서 문닫기 효과' 111
3. 다중적 딜레마의 도전과 한국의 역할 112
아베 정권의 대북 정책 변화 / 김아름 114
아베 정권의 전략 114
아베 정권의 대북정책 114
일본 여론의 동향 115
앞으로의 전망 및 과제 116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 4대 강국 동향 및 전망 / 니우샤오핑 117
1. 미국의 대북정채 목표와 수단 간의 모순 117
2.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 그리고 남북러의 경제협력 추진 117
3. 한일갈등의 심화와 협력의 좌절 117
4. 중국의 북미대화 채널 유지에 대한 지지 118
2차 북미정상회담후 결렬과 한중일 협력 / 천상양 119
가.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의 결렬 원인 119
나. 한중일 협력 119
도표 1/도표 II-2-4-2. 과거 15년간의 방위관계비용(당초 예산)의 추이 11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