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세부일정(Program, プログラム, 日程)
목차
제 3세션(session 3) : 문화권력과 버내큘러(1): 이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15
방법으로서의 버내큘러 / 강성우 16
1. 서론(Introduction) 16
2. 일상 속에서 찾는 버내큘러 (Vernacular in Everyday Life) 18
3. 버내큘러 기억(vernacular memory) 21
4.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Beyond Orientalism) 23
5. 결론: 방법으로서의 버내큘러 (Conclusion- verancular as method) 25
참고문헌 26
범주, 시각과 입장으로서의 고향민속학(作为范畴, 视角与立场的家乡民俗学) / 安德明 ; 김호걸 43
개요 43
1. 고향: 민속학연구의 중요한 필드(field) 44
2. 고향민속학: 하나의 중요한 시각과 방법 47
3. 고향민속학의 '상호주관성' 특징: 문화교류로서의 입장과 태도 53
참고문헌 58
디오니소스와 버내큘러 -민속학적 시각이란 무엇인가-(ディオニュソスとヴァナキュラー -民俗学的視角とは何か-) / 島村恭則 ; 김광식 81
1. 일상 생활세계와 민속학 81
2. 버내큘러 87
3. 사회·문화철학과 버내큘러의 민속학 97
참고문헌 100
버내큘러 문화와 민속, 민속학 / 정수진 103
1. 들어가며: 민속학의 위기 103
2. 버내큘러와 민속 105
3. 버내큘러의 혼종성 112
4. 나가며 119
참고문헌 121
토론 122
「디오니소스와 버내큘러 - 민속학적 시각이란 무엇인가?」「버내큘러 문화와 민속, 민속학」에 대한 토론문 / 한양명(내용없음) 122
「범주, 시각과 입장으로서의 고향민속학」에 대한 토론문 : 安老師へのご発表への返答として / 田村和彦 123
「디오니소스와 버내큘러 - 민속학적 시각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토론문 / 임장혁(내용없음) 126
「방법으로서의 버내큘러」,「버내큘러 문화와 민속, 민속학」에 대한 토론문 / 안승택(내용없음) 127
제 4세션(session 4) : 문화권력과 버내큘러(2): 실천적 접근을 중심으로 128
식민지 일상에서의 양품(洋品) 페티시즘 / 김정하 129
서론 129
본론1. 식민지의 양품 이입(移入)과 유행 131
본론2. 양품 페티시즘의 형성과 자아분열 135
본론3. 양품 페티시즘의 비판적 전유(專有) 143
결론 150
'내방가사전승보존회'의 활동을 통해 본 안동지역 여성들의 지역전통의 이해와 활용 / 이상현 151
1. 연구 대상과 방법 151
2. 안동 민속의 창출과 가사보존회의 역사 157
3. 회원들의 참여 배경과 목적 162
4. 마무리 167
토론 168
「식민지 일상에서의 양품(洋品) 페티시즘」에 대한 토론문 / 배영동 168
「'내방가사전승보존회'의 활동을 통해 본 안동지역 여성들의 지역전통의 이해와 활용」에 대한 토론문 / 권혁희 170
"토착"의 학문: 서루이스(Serruys)의 중국민속학 연구"("土著"之学 : 司礼义的中国民俗学研究) / 岳永逸 ; 김경민 200
국문초록 200
1. 중국 민속학이란 무엇인가 201
2. 학술연구: 일종의 숭배 202
3. 민족자료의 직시를 통해 무심코 이뤄낸 성공 204
4. 민속자료의 방언 속성 206
5. 자치의 민속: 상이한 텍스트의 교차 번역 209
6. 부자연스러운 상태: 성취와 결여 216
7. "토착"의 학문 218
8. 민속학이란 무엇인가? 동아시아의 근심 222
참고문헌 226
탄광 희생자의 공양과 日·韓·朝의 '우호' - 일본의 옛 채굴지 치쿠호[筑豊]의 주민 실천을 사례로- (炭鉱犠牲者の供と曰·韓·朝の『友好』-日本の日産炭地筑における住民実践を事例に-) / 川松あかり ;김광식 253
머리말 253
1. 선행 연구·문제의 소산 254
2. 조사지 개요 255
3. 쇼간[松岩] 보리공양탑의 역사와 이념 257
4. 쇼간[松岩] 보리의 버내큘러 262
5. 결론 :쇼간[松岩] 보리공양탑(菩提供養塔)의 장소성·토지성과 버내큘러 269
6. 한계와 전망 : 상상력의 가능성 271
참고문헌 273
참고자료 274
미주 276
풍력발전 저지활동을 통해 본 지역사회의 연대와 저항 / 이진교 279
1. 지역사회에서 연대의 중요성 279
2. 연대의 주체들 282
3. 연석회의를 통한 저항의 실천 287
4. 연대의 성과와 한계 294
5. 요약과 전망 301
〈부록〉1. 연석회의 일정과 주제 303
토론 305
「'토착'의 학문: 서루이스(Serruys)의 중국민속학 연구」에 대한 토론문(《"土着" 之学 : 司礼仪的中国民俗学研究》 讨论稿) / 庞建春 305
「탄광희생자의 공양과 日·韓·朝의 '우호' -일본의 옛 채굴지[産炭地] 치쿠호[筑豊]의 주민 실천을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문 : 징용노동자 공양으로 한일 유연 맺기는 지속가능한가? / 김광식 308
「풍력발전 저지활동을 통해 본 지역사회의 연대와 저항」에 대한 토론문 / 오창현 311
1. 누구의 이야기인가? 311
2. 마을의 또 다른 발견? 312
판권기 313
[뒷표지] 314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