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탑메뉴
처음방문이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My Library
메뉴
메뉴열기
로그인
회원가입
처음방문이세요?
주 이용도서관 설정
내서재
야간이용 신청목록
야간이용 신청조회
상호이용 신청목록
상호이용 신청조회
검색
검색
기본검색
기본검색
전체(초록·목차·본문포함)
자료명
저자
발행자
키워드
청구기호
기본검색
전체(초록·목차·본문포함)
자료명
저자
발행자
키워드
청구기호
다국어입력
언어
한글고어
중국간체
중국번체
히라가나
가타카나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
러시아문자
그리스어
라틴문자
라틴확장-A
라틴확장-B
로마자
아르메니아어
티아나어
인도어
아랍어
베트남
신할라어
크메르어
타이어
라오어
티베트어
몽골어
노르웨이어
체코어
폴란드어
터키어
포르투칼어
키릴문자
히브리어
벵골어
이란어
기호
괄호기호
학술기호
기술기호
단위기호
일반기호
첨자
일반 구두점
화폐 기호
글자꼴 기호
여러 가지 수
도형 기호
수학연산자
수학연산자보충
닫기
상세
검색
외부기관
검색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언어
한글고어
중국간체
중국번체
히라가나
가타카나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
러시아문자
그리스어
라틴문자
라틴확장-A
라틴확장-B
로마자
아르메니아어
티아나어
인도어
아랍어
베트남
신할라어
크메르어
타이어
라오어
티베트어
몽골어
노르웨이어
체코어
폴란드어
터키어
포르투칼어
키릴문자
히브리어
벵골어
이란어
기호
괄호기호
학술기호
기술기호
단위기호
일반기호
첨자
일반 구두점
화폐 기호
글자꼴 기호
여러 가지 수
도형 기호
수학연산자
수학연산자보충
닫기
도움말
상세검색
자료구분
전체
도서자료
도서자료
전체
일반도서
E-BOOK
고서
세미나자료
웹자료
학위논문
학위논문
전체
학위논문
연속간행물·학술기사
연속간행물·학술기사
전체
국내기사
국외기사
학술지·잡지
신문
전자저널
멀티미디어
멀티미디어
전체
동영상자료
오디오자료
전자매체
마이크로폼자료
지도/기타자료
국회자료
국회자료
전체
외국법률번역DB
국회회의록
국회의안정보
특화자료
특화자료
전체
표·그림DB
지식공유
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Open API 이용안내
저작물등록 및 이용허락
저작물 이용료에 대한 안내
모바일서비스 이용안내
통합검색 이용안내
신간단행본 안내
야간이용 신청안내
전화번호 안내
닫기
닫기
서명
항미원조 : 중국인들의 한국전쟁
청구기호
951.723-23-8
저자
백지운 지음
역자
발행사항
창비
도서요약정보보기
더보기
중국 현대사의 흐름에서 한국전쟁이 기념되고 작품으로 형상화되어온 과정을 살피고 최근 중국 애국주의의 발흥 과정에서 항미원조전쟁이 재소환되는 맥락을 보여준다.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사를 알아가는 동시에 오늘날 점차 첨예해지는 미중 대결의 한 측면을 살펴볼 수 있다.
목차보기
더보기
프롤로그
들어가며: 한국전쟁의 타자
제1장 의도된 망각
1. 백악관에 울려퍼진 항미원조의 선율
2. 냉전이 억누른 냉전 기억
3. 기억의 관리와 기념의 굴곡
제2장 기억의 해빙
1. 두편의 금지작과 한편의 상영작: 「항미원조」 「북위38도선」 그리고 「38선의 여병」
2. 펑 더화이의 문제적 복권: 「펑대장군」 「삼선의 펑더화이」 「펑더화이원수 」
3. 포스트혁명 전쟁서사와 원작의 귀환 137: 「단원」 「영웅아녀」 「나의 전쟁 」
제3장 ‘승리한 전쟁’의 안과 밖
1. 귀환한 항미원조 서사의 이념적 빈곤
2. 결사항전의 기억과 부유하는 사연들: 「압록강을 건너」
- 「 압록강을 건너」 시놉시스
3. 스포트라이트가 밝힌 것과 덮은 것: 「장진호」 「장진호의 수문교」
제4장 소인물(小人物)의 역사: 「금강천」
부록
1. 웨이 웨이 「누가 가장 사랑스런 이인가 」
2. 중국인민지원군 참전부대 서례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