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서명
 나는 정상인가 : 평균에 대한 집착이 낳은 오류와 차별들
청구기호
 303.37-23-2
저자
 사라 채니 지음
역자
 이혜경 옮김
발행사항
 와이즈베리 : 미래엔

도서요약정보보기더보기

수학에서 비롯된 ‘정규분포’가 어떻게 사회적·문화적 맥락으로서의 ‘정상’이 되었는지 그 흐름을 추적하고, 그 과정에서 정상이란 개념이 어떻게 고착화되었는지를 탐구한다. 정상성이라는 개념 뒤에 숨은 차별의 역사를 밝히며, 정상과 비정상에 대한 기존 관념을 무너뜨린다.

목차보기더보기

이 책을 읽기 전에
프롤로그: 나는 정상인가

1장 정상성은 어떻게 태어나고 어떻게 적용되어왔는가
표준의 탄생 / 평균인, 최초의 정상적 인간 / 정상 상태와 병리 상태 / 정상성의 한계 / 집단에 어울리는 사람이 된다는 것

2장 내 몸은 정상인가
우리가 신체를 바라보는 방식 / 아름다움이란 신화 / 비만과 정상 / XS보다 작은 사이즈 / 인간의 또 다른 매력들 / 정상적인 신체란 무엇인가

3장 내 마음은 정상인가
폐쇄 정신 병동에서 / 환청의 의미 / 위대한 비정상인들 / 신경증, 새로운 표준이 되다 / 정상적인 정신이란 무엇인가

4장 내 성생활은 정상인가
성을 둘러싼 다른 생각들 / 자위에 대한 비난과 오해 / 동성애는 죄인가 / 성의 스펙트럼 / 라이크 어 버진 / 그래서 정상적인 섹스란 무엇인가

5장 내 감정은 정상인가
무서운데 웃음이 나와 / 가슴이 찢어지는 슬픔 / 굳게 다문 입술 / 원초적 열정 / 감정 측정 기계 / 사이코패스, 감정 없는 안드로이드 / 감정과 함께 살아가기

6장 내 아이들은 정상인가
엄마 아빠가 너를 망쳤어 / 뚱뚱하고 건강한 아이 / IQ 테스트에 관한 함의 / 문제 아동이라고? / 아이의 감정 건강 / 수줍음부터 과잉행동까지 / 정상적인 아동, 비정상적인 부모

7장 사회는 정상인가
팬데믹 세상에서 / 사회 유기체라는 식민지 시대의 유산 / 공동체 속의 중산층 / 기준이 된 도시의 백인 중산층 / 미래의 지도자들 / 새로운 표준

에필로그: 정상성을 넘어
감사의 말
정상성에 관한 도표와 질문지
그림 목록과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