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탑메뉴
처음방문이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My Library
메뉴
메뉴열기
로그인
회원가입
처음방문이세요?
주 이용 도서관 설정
내서재
야간이용 신청목록
야간이용 신청조회
상호이용 신청목록
상호이용 신청조회
검색
검색
기본검색
기본검색
전체(초록·목차·본문포함)
자료명
저자
발행자
키워드
청구기호
기본검색
전체(초록·목차·본문포함)
자료명
저자
발행자
키워드
청구기호
다국어입력
언어
한글고어
중국간체
중국번체
히라가나
가타카나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
러시아문자
그리스어
라틴문자
라틴확장-A
라틴확장-B
로마자
아르메니아어
티아나어
인도어
아랍어
베트남
신할라어
크메르어
타이어
라오어
티베트어
몽골어
노르웨이어
체코어
폴란드어
터키어
포르투칼어
키릴문자
히브리어
벵골어
이란어
기호
괄호기호
학술기호
기술기호
단위기호
일반기호
첨자
일반 구두점
화폐 기호
글자꼴 기호
여러 가지 수
도형 기호
수학연산자
수학연산자보충
닫기
상세
검색
저자명
참조
용어관계
사전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언어
한글고어
중국간체
중국번체
히라가나
가타카나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
러시아문자
그리스어
라틴문자
라틴확장-A
라틴확장-B
로마자
아르메니아어
티아나어
인도어
아랍어
베트남
신할라어
크메르어
타이어
라오어
티베트어
몽골어
노르웨이어
체코어
폴란드어
터키어
포르투칼어
키릴문자
히브리어
벵골어
이란어
기호
괄호기호
학술기호
기술기호
단위기호
일반기호
첨자
일반 구두점
화폐 기호
글자꼴 기호
여러 가지 수
도형 기호
수학연산자
수학연산자보충
닫기
도움말
상세검색
자료구분
전체
도서자료
도서자료
전체
일반도서
E-BOOK
고서
세미나자료
웹자료
학위논문
학위논문
전체
학위논문
연속간행물·학술기사
연속간행물·학술기사
전체
국내기사
국외기사
학술지·잡지
신문
전자저널
멀티미디어
멀티미디어
전체
오디오자료
전자매체
마이크로폼자료
지도/기타자료
동영상
동영상
전체
동영상자료
국회자료
국회자료
전체
외국법률번역DB
국회회의록
국회의안정보
특화자료
특화자료
전체
표·그림DB
지식공유
저자명 참조
저자명 참조 검색
검색종류
완전일치
전방일치
후방일치
인명/단체명
저자명 참조 목록
인명/단체명을 보여주는 테이블로 선택, 대표형, 생몰정보, 이형, 소속, 직위, 직업, 활동분야, 주기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생몰정보
이형(異形, Variant)
소속
직위
직업
활동분야
주기
서지
용어관계사전
저자명 참조 검색
검색종류
완전일치
전방일치
후방일치
부분일치
용어명
대표어
외국어
네이버 백과사전
용어관계사전
용어관계사전 테이블로 대표어, 동의어, 상위어, 하위어, 관련어으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대표어
동의어
상위어
하위어
관련어
대립어
닫기
관련 기본어 리스트
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Open API 이용안내
저작물등록 및 이용허락
저작물 이용료에 대한 안내
모바일서비스 이용안내
통합검색 이용안내
신간단행본 안내
야간이용 신청안내
전화번호 안내
닫기
탈퇴안내001
탈퇴안내001
닫기
서명
중화 : 사라진 문명의 기준
청구기호
952-24-35
저자
배우성 지음
역자
발행사항
푸른역사(2024)
도서요약정보보기
더보기
'중화(中華)'라는 개념을 통해 한국사를 읽는 새로운 틀을 제시한다. 저자는 중화의 의미장이 다른 시기 다른 사회집단에 의해 해체되어 가는 양상을 살펴보며 중화를 매개항으로 역사를 독해하고, 선비정신이나 사대주의와는 다른 방식으로 역사의 현재적 의의를 밝히려 한다.
목차보기
더보기
책머리에
왜 중화인가
서설_중화론의 시대적 변천
화이지변과 대일통의 중국사|석개와 구양수|주자와 진량|왕부지|유사배와 강유위|‘화이’와 ‘민족국가’ 구상|중심ㆍ주변의 의제와 한국사|책의 구성
1부 이적
1장 불교로 ‘이적’을 정당화하기
동해와 이역|중화와 동이|이夷와 불교|화와 이
2장 몽골을 천자국으로 여기다
상국ㆍ천자국ㆍ중국|의관과 토풍|친조와 사대|소중화와 용하변이
3장 ‘중화’가 ‘이적’과 만나 짝하다
불교와 이적|기자와 동주|수殊와 이異|향鄕ㆍ토土ㆍ방方ㆍ외外
2부 사대
1장 ‘의리’에 밝고 ‘시세’를 안다는 것
이소사대以小事大|의리와 이해利害
2장 ‘천리’와 ‘인륜’의 이름으로
천리ㆍ인륜ㆍ도통道統ㆍ정학正學|존주尊周
3장 ‘이적’ 왕조를 인정할 수 있는가
분의分義와 문文|자강自疆과 무비武備|이적과 사대|의리와 현실
3부 동국
1장 ‘동국’은 ‘중화’인가
대중화大中華|천자의 의례|유천하有天下|진어중국進於中國과 석과碩果
2장 ‘중화’를 계승한다는 것
중국中國|중국과 동국東國
3장 ‘정통’을 바로잡기
정통正統|정통과 화동華東
4부 북학
1장 ‘중국’ 다시 보기
사도斯道와 도통의 땅|대국과 시의時義
2장 친구와 배움을 찾아서
화인華人과 호로胡虜|역외춘추域外春秋와 동이
3장 오랑캐다움을 어떻게 볼 것인가
북학과 좌임左?|천의와 천도|비류匪類의 질박함ㆍ소박함|중화와 외국
5부 기자ㆍ진인ㆍ동양
1장 변경의 문인들과 ‘기자’
‘서양西洋’과 ‘외이外夷’|‘서추西醜’와 ‘기자箕子’|평안도의 의병과 의사義士
2장 반란군과 ‘진인’
진인眞人|사라진 칠의사七義士|‘당병’ㆍ‘호군’ㆍ‘호병’ㆍ‘황명’|‘효’와 ‘예’
3장 황제국에서 ‘동양’까지
‘청국’과 ‘중국’|‘제통帝統’과 ‘의주義主’|‘지나支那’와 ‘문명’|‘동국’과 ‘동양’|‘동양’과 ‘공公’
맺음말_중화, 다시 읽기
남은 문제들|지금 여기에서 ‘중화’를 읽는다는 것
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