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 모형 = (A)model on career counseling system for ROK military soldiers / 정경조 인기도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5.2
청구기호
TD 370.15 -15-47
형태사항
vii, 228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522019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전공, 2015.2. 지도교수: 유현실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문제 14

3. 용어의 정의 14

3.1. 군 병사 14

3.2. 군 상담 15

3.3. 군 진로상담 15

3.4. 체제 분석 15

II. 이론적 배경 16

1. 군 조직 및 군 병사의 특성 16

1.1. 군 조직의 특성 16

1.2. 군 병사의 특성 19

2. 군 상담 및 군 진로상담 23

2.1. 군 상담 23

2.2. 군 진로상담 26

3. 체제이론 31

3.1. 일반체제이론의 개념 31

3.2. 체제의 개념 32

3.3. 체제분석 33

III. 연구방법 37

1. 분석모형 37

2. 연구대상 38

2.1. 요구분석, 환경분석, 체제분석을 위한 연구대상 38

2.2. 잠정 모형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한 연구대상 44

3. 측정도구 44

3.1. 요구분석, 환경분석, 체제분석을 위한 측정 도구 44

3.2. 잠정 모형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델파이 조사 질문지 48

4. 연구 절차 48

5. 자료 분석방법 49

IV. 연구결과 51

1. 요구분석 결과 51

1.1 병사의 입대 전 진로상담 실태 51

1.2. 병사의 입대 후 진로상담 실태 53

1.3. 군 병사의 진로상담 현재 수준과 요구 수준 61

1.4.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 잠정 모형에 시사하는 점 71

2. 환경분석 결과 72

2.1. SWOT 분석 기법 72

2.2. SWOT 분석 결과 74

2.3. SWOT 분석결과 대응 전략 78

2.4. SWOT 분석결과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 잠정모형 구안에 시사하는 점 85

3. 체제분석 결과 86

3.1.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목적'에 대한 실태분석 86

3.2.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기능'에 대한 실태분석 89

3.3.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과제'에 대한 실태분석 91

3.4.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방법'에 대한 실태분석 92

3.5.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에 대한 실태분석 95

4. 체제 잠정 모형 구안 95

4.1.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 잠정모형 개념 95

4.2.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 잠정모형 98

5. 체제 잠정 모형 내용타당도 검증 결과 111

5.1. 델파이 기법 111

5.2. 1차 델파이 결과 111

5.3. 2차 델파이 결과 128

6.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 최종 모형 제안 138

6.1. 군 진로상담의 필요성 138

6.2. 군 진로상담의 정의 141

6.3. 군 진로상담의 목적 142

6.4. 군 진로상담의 기능 144

6.5. 군 진로상담의 과제 145

6.6. 군 진로상담의 방법 148

6.7.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 최종 모형 도식 149

V. 논의 및 결론 151

1.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151

1.1. 군 진로상담의 요구에 관한 논의 151

1.2. 군 진로상담의 환경에 관한 논의 153

1.3. 군 진로상담의 체제에 관한 논의 154

1.4. 군 진로상담 체제 모형에 관한 논의 155

2. 연구의 의의 155

3.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156

참고문헌 158

부록 164

〈부록 1〉 내용타당성 평정 전문가 패널의 인적 사항 165

〈부록 2〉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체제 모형 연구에 관한 설문지(병사용) 166

〈부록 3〉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체제 모형 연구에 관한 설문지(간부용) 174

〈부록 4〉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체제 모형 연구에 관한 설문지(병영생활전문상담관용) 184

〈부록 5〉 1차 델파이 설문지 198

〈부록 6〉 2차 델파이 설문지 208

〈부록 7〉 입대 전 진로상담 실태 219

〈부록 8〉 병사가 입대 전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이유 220

〈부록 9〉 진로준비를 위한 정보수집 경로 221

〈부록 10〉 병사들이 진로상담을 받은 계기 222

〈부록 11〉 간부 및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의 진로상담 실시 횟수 223

〈부록 12〉 병사의 진로상담관련 현재 수준 대한 간부의 인식 224

〈부록 13〉 병사의 진로상담관련 현재 수준 대한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인식 226

〈부록 14〉 병사의 진로상담 요구 수준에 대한 간부의 인식 228

〈부록 15〉 병사의 진로상담 요구 수준에 대한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인식 230

〈부록 16〉 요구분석과 환경분석, 체제분석과 군 진로상담 모형 관계 232

Abstract 234

〈표 1〉 개인 및 조직차원의 상담효과 24

〈표 2〉 체제분석 개념과 군 상담 및 군 진로상담의 관계 36

〈표 3〉 요구분석, 환경분석, 체제분석을 위한 신분별, 지역별 연구대상 39

〈표 4〉 병사의 일반적인 특성 41

〈표 5〉 간부의 일반적인 특성 42

〈표 6〉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일반적인 특성 43

〈표 7〉 대상별 설문지 구성 46

〈표 8〉 측정도구의 신뢰도 47

〈표 9〉 입대 전 진로결정 실태 52

〈표 10〉 현재 병사들이 가장 고민하고 있는 내용 53

〈표 11〉 진로상담 형태 55

〈표 12〉 진로상담 결과와 도움 이유 57

〈표 13〉 효과적인 진로상담을 위한 필요한 사항 및 진로상담 형태 59

〈표 14〉 병사의 진로계획 수립여부 60

〈표 15〉 병사의 진로상담관련 현재 수준 62

〈표 16〉 병사의 진로상담관련 현재 수준 대한 신분별 인식 65

〈표 17〉 병사의 진로상담 요구 수준 67

〈표 18〉 병사의 진로상담 요구 수준에 대한 신분별 인식 70

〈표 19〉 내부역량 환경분석에 대한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인식 75

〈표 20〉 외부 환경 분석에 대한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인식 77

〈표 21〉 환경 분석 결과 강점, 약점, 기회, 위협 요인 78

〈표 22〉 SWOT 분석 매트릭스 79

〈표 23〉 진로상담 체제의 목적에 대해 간부와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인식 87

〈표 24〉 가장 중요한 진로상담의 목적 88

〈표 25〉 진로상담 체제의 기능 90

〈표 26〉 가장 중요한 진로상담 체제의 기능 91

〈표 27〉 진로상담 체제의 과제 92

〈표 28〉 진로상담 체제의 방법 94

〈표 29〉 요구분석과 환경분석, 체제분석의 군 진로상담 모형 관계 97

〈표 30〉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 잠정 모형 98

〈표 31〉 군 진로상담 필요성 모형 영향 요인 99

〈표 32〉 군 진로상담의 개념 및 정의 모형의 영향 요인 101

〈표 33〉 군 진로상담의 목적 모형의 영향 요인 102

〈표 34〉 군 진로상담의 기능 모형의 영향 요인 104

〈표 35〉 군 진로상담의 과제 모형의 영향 요인 106

〈표 36〉 군 진로상담의 방법 모형의 영향 요인 109

〈표 37〉 군 진로상담의 '필요성'에 대한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13

〈표 38〉 군 진로상담의 '정의 구성 요소'에 대한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14

〈표 39〉 군 진로상담의 '목적'에 대한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16

〈표 40〉 군 진로상담의 '기능'에 대한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17

〈표 41〉 군 진로상담의 '과제'에 대한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20

〈표 42〉 군 진로상담의 '방법'에 대한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21

〈표 43〉 군 진로상담 '필요성'의 적절성에 대한 수정 내용 및 이유 122

〈표 44〉 군 진로상담 '정의 구성'의 적절성에 대한 수정내용 및 이유 123

〈표 45〉 군 진로상담 '목적' 내용의 적절성에 대한 수정내용 및 이유 124

〈표 46〉 군 진로상담 '기능' 내용의 적절성에 대한 수정내용 및 이유 125

〈표 47〉 군 진로상담 '과제' 내용의 적절성에 대한 수정내용 및 이유 126

〈표 48〉 군 진로상담 '방법' 내용의 적절성에 대한 수정내용 및 이유 127

〈표 49〉 군 진로상담의 '필요성'에 대한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29

〈표 50〉 군 진로상담의 '정의 구성' 요소에 대한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30

〈표 51〉 군 진로상담의 '목적'에 대한 2차 델파이 조사 131

〈표 52〉 군 진로상담의 '기능'에 대한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33

〈표 53〉 군 진로상담의 '과제'에 대한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34

〈표 54〉 군 진로상담의 '방법'에 대한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36

〈표 55〉 델파이 1차 수정 내용 및 2차 수정 결과 종합 137

〈표 56〉 확정된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 최종 모형 150

[그림 1] 분석모형 38

초록보기 더보기

 우리 군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병사들은 대부분이 20세 이상의 연령으로 청소년기에 속하며, 이들의 나이는 생애발달 주기 상 직업의 선택에 있어 핵심적 시기이다. 이시기의 청소년의 고민은 진로문제가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청소년기를 막 지나온 병사들도 전역 후 진로에 대해 가장 고민을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미래 사회의 직업 환경은 매우 빠르게 변하고 있고 군 복무 2년간의 짧은 기간에도 많은 변화가 이루어지며, 변화하는 것만큼 다양한 능력을 요구하고 있어 군 병사들은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고민을 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병사들의 진로문제에 대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서 군에서 진로상담을 실시함으로써 진로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구비시키고, 다양한 진로문제를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을 배양하여 개인의 가장 큰 고민을 해소함으로써 보다 생산적이고 바람직한 군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부대 사고 예방과 업무 능률 및 전투력 향상과 부대 목표달성을 극대화하고 건전한 민주시민 양성 등의 진로상담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병사들의 고민문제 해결과 진로상담 효과가 있는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 모형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달성을 위하여 연구문제를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에 대한 요구는 무엇이며, SWOT 분석결과 기회와 위기요인, 강점 과 약점요인은 어떻게 나타나며,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의 목적, 기능, 과제, 방법의 현실태는 무엇이고,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은 어떠한 체제로 구성되는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현재 병사들에 대한 진로상담은 그 방법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체계적인 진로지도나 교육, 진로상담을 실시하지 못하고, 병사들의 가장 큰 고민거리인 진로문제보다는 부적응 병사위주의 상담이 이루어지는 실정이다. 그리고 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도 이루어지지 않고 군 진로상담과 관련된 선행연구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현실과 연구 여건에서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실태를 파악하고, 분석, 평가하여 군 진로상담 체제 모형에 관한 발전적인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서 Banathy(1992)의 체제적 관점 중 기능-구조적 관점으로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 이유는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도 다른 체제와 같이 체제의 기능과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체제내의 과정을 통하여 산출물을 만들어내고 이를 통해 체제내의 구성요소와 체제 밖의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체제적 관점에서 기능 구조를 분석하고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체제의 내적 실체를 파악해야 상호작용 하는 환경에 대한 분석이나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체제의 흐름인 과정을 분석하는 데 용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먼저 분석의 틀로 이론적 체제모형을 구안하고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에 관한 요구를 현역 병사, 지휘관, 병영생활전문상담관 등을 대상으로 조사하며,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의 환경을 SWOT 분석 기법에 의해 외부환경과 내부역량을 분석한다. 그 다음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에 대한 체제분석으로 목적과 기능, 과제, 방법을 분석한다. 체제분석 후 요구분석과 환경 분석, 체제분석 요소를 토대로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에 대한 잠정모형을 구안하고, 구안된 잠정모형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델파이 조사를 2차에 걸쳐 실시하여 확정된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체제 최종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첫째, 군 진로상담의 필요성은 군이 평시 국민교육도장으로서의 기능적 측면과 병사들의 군 생활 기간은 생애발달 주기 상 진로관련 중요한 시기인 점, 미래의 삶을 준비하는 군 생활 기간, 미래 지식기반 사회의 급속한 변화에 적응 등의 이유로 군에서 진로상담이 필요하다. 둘째, 군 진로상담의 정의를 '군의 특성을 바탕으로 진로 전문상담관 또는 지휘관이 군 구성원과 군인가족 개인의 진로발달을 촉진시키고 군 생활의 적응과 부대 목표를 달성을 돕는 활동'이라고 하였다. 셋째, 군 진로상담의 목적을 '진로상담을 통하여 군 생활에 원만한 적응과 군 생활이 사회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인적으로는 자아를 실현하고 부대 목표를 달성하고 인력의 효율적인 활용으로 사회 및 국가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로 정의 하고 하위 요인을 자신에 대한 이해의 증진, 직업세계의 이해의 증진, 합리적인 의사 결정 능력 증진, 정보탐색 및 활용능력 함양, 일과 직업의 올바른 가치관과 태도 형성, 진로적응성 향상으로 하였다. 넷째, 군 진로상담의 기능은 상담기능, 정보제공 및 분석활용 기능, 교육 및 지도 조언과 예측 기능, 검사활동 기능, 병영생활 관리 기능, 능력 개발 기능, 추수지도 기능, 의뢰활동 기능이다. 다섯째, 군 진로상담의 과제는 목적달성을 위한 구성요소로서 인적자원의 확보 및 관리, 물적자원의 확보 및 관리, 예산확보 및 관리, 진로교육 및 자료, 프로그램, 법규/정책/방침/제도, 관련기관과의 협력체제 구축이다. 여섯째,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방법은 체제 모형의 목적 달성을 위한 전달체계에 접근하는 방식으로서 상담관, 접근하는 방식, 상담장소, 상담시간, 상담방법, 대상인원, 전달수단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병사들의 가장 고민거리인 진로문제에 관한 선행 연구 자료가 거의 없는(김완일, 2008) 실태에서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의 최초의 연구로 향후 군 진로상담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군 진로상담 프로그램개발과 간부와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보수교육체계 및 전문성 향상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군 진로상담 발전을 위한 법과 규정, 방침 수립과 예산 편성을 위한 기초적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SWOT기법에 의한 군 진로상담 연구에 관한 환경 분석은 향후 군 진로상담 연구방법으로 큰 의미를 지니게 될 것이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