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권유경, 김수원, 김지영, 김철희, 김태균, 이훈상 참고문헌 수록 2020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GPAS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아 출판되었음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머리말/ 김태균
제1장 국제개발 시각에서의 아프리카 이해하기_김태균 : 이드(id)와 에고(ego)를 넘어 Ⅰ. 들어가며: 한국에게 아프리카는? Ⅱ. 아프리카학의 다학제적 특성과 일반화의 오류 Ⅲ. 아프리카 국제개발의 현주소: 프로이트의 이드와 에고 사이에서 Ⅳ. 한국의 대아프리카 개발협력은? 이드와 에고를 넘어 Ⅴ. 한-아프리카 국제개발협력의 다양성: 동향과 전망
제2장 한국-아프리카 외교 관계와 개발협력_김지영 Ⅰ. 서론 049 Ⅱ. 한-아프리카 관계의 역사적 변천 Ⅲ. 한국의 대아프리카 원조 관계 Ⅳ. 결론: 변화하는 아프리카와 한-아프리카 파트너십 형성을 위한 과제
제3장 아프리카 지역의 평화-개발 연계와 평화조건의 성공 요인_김태균: 나미비아와 모잠비크 사례 비교연구 Ⅰ. 들어가며: 평화-개발 연계와 평화조건 Ⅱ. 원조조건으로서 평화: 성공과 실패 Ⅲ. 성공 요인으로서 제3자 양자공여국의 중요성 Ⅳ. 나미비아: UNTAG과 양자공여국 Ⅴ. 모잠비크: UNOMOZ와 양자공여국 Ⅵ. 아프리카 맥락에서 평화조건의 성공 요인 Ⅶ. 맺으며: 한반도에서 평화조건의 성공 요인
제4장 한국-아프리카 개발협력 효과 제고를 위한 젠더평등적 고찰_권유경 Ⅰ. 서론 Ⅱ. 왜 젠더평등인가? Ⅲ. 한-아프리카 개발협력과 젠더평등 분야 Ⅳ. 한-아프리카 개발협력 효과 제고를 위한 젠더평등 추진 및 개선방안 Ⅴ. 맺음말
제5장 한국의 아프리카 보건 분야 국제개발협력 현황 및 향후 추진방안_이훈상 Ⅰ. 아프리카의 보건 현황 Ⅱ. 아프리카 보건 분야 관련 거버넌스 및 국제사회의 지원 현황 Ⅲ. 한국의 아프리카 보건 분야 국제개발협력 지원 현황 및 추진 과제 Ⅳ. 한국의 아프리카 보건 분야 국제개발협력 추진에 있어서의 제언 및 유의점
제6장 한국-아프리카 교육개발협력의 미래 김철희 Ⅰ. 서론 Ⅱ. 아프리카 교육의 현실과 시사점 Ⅲ. 아프리카 교육개발협력 현황 Ⅳ. 한국의 교육 분야별 아프리카 개발협력 추진 Ⅴ. 한국-아프리카 교육개발협력의 미래를 위한 제언
제7장 정보통신기술과 문화 분야 개발협력 김수원: 청년 인구 증가와 디지털 디바이드 Ⅰ. 서론 Ⅱ. 아프리카 청년 인구의 증가와 디지털 디바이드 Ⅲ. 정보통신기술 개발협력 Ⅳ. 문화/콘텐츠 산업 개발협력 Ⅴ. 결론
이용현황보기
한국-아프리카 국제개발협력 톺아보기 : 한국적 이드와 서구적 에고를 넘어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81468
338.915106 -2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81469
338.915106 -2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23645
338.915106 -21-1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편견을 넘어 이루는 한국과 아프리카의 국제개발협력
한국에서 아프리카의 이미지는 소수의 전문가를 제외하고는 굉장히 제한적이다. 헐벗고 굶주린 주민들과 열악한 의료보건 시스템, 끊이지 않는 내전과 불안한 치안 등 대부분이 부정적 이미지로 각인되어 있다. 그러나 아프리카 내부의 다양성과 복합성의 이해 없이는 이는 무리한 일반화의 오류다. 이 책은 이러한 아프리카에 대한 무리한 일반화를 비판하며 아프리카를 새로운 시장으로 받아들여 개발원조 및 해외투자 등 경제협력을 강조하는 접근법을 사용한다. 이 책에서는 외교관계·평화·젠더·보건의료·교육·정보통신기술·문화 등 7대 영역에서 한-아프리카 국제개발협력의 현주소와 향후 개선 사항을 제언한다. 국제개발협력 측면에서 아프리카의 부상을 새롭게 조명하려는 연구 목표를 가지고 아프리카의 다중 근대성을 존중하고 현지의 목소리와 요구를 적극적으로 개발원조에 반영하려는 에고(ego)식 접근법을 확대하고 공여국과 협력 대상국 간의 상생적 개발 협력을 전개할 수 있는 긍정적 해법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