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도서 앰블럼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The characteristic of attentional networks in sluggish cognitive tempo : the effect of eye-feedback training on orienting attention in individuals with SCT = 굼뜬 인지적 템포자의 주의 네트워크 특성 : 안구운동 피드백 주의력 훈련이 굼뜬 인지적 템포자의 주의정향에 미치는 영향 / 김기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2
청구기호
TD 158.3 -19-81
형태사항
iv, 94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912102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중앙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임상심리학전공, 2019.2. 지도교수: 이장한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Title Page

Contents

1. Introduction 8

2. Study I The Deficit of Orienting Network in Individuals with SCT 19

2.1. Methods 22

2.2. Results 32

2.3. Discussion 42

3. Study II The Effect of Attention Training based on the Eye-gaze Feedback on Orienting Network in Individuals with SCT 46

3.1. Methods 48

3.2. Results 56

3.3. Discussion 68

4. General Discussion 72

References 80

국문초록 98

ABSTRACT 100

Table 1. Operational definition of attentional network index as differences between conditions 31

Table 2.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 for each group 34

Table 3. Comparison of reaction time and accuracy between all groups on ANT-R 36

Table 4. Comparison of attentional network index between all groups on ANT-R 37

Table 5.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 for eye-feedback and control group 57

Table 6. Results of eye-movements between eye-feedback and control group 58

Table 7. Results of ANT-R between eye-feedback and control group 63

Figure 1. Schematic of the Revised Attention Network Test (ANT-R). Participants make a... 28

Figure 2. Comparison of reaction time variability between all groups. Error bars represent... 35

Figure 3. Comparison of the validity index between all groups. Standard errors are... 38

Figure 4. Comparison of the engaging index between all groups. 39

Figure 5. Comparison of the disengaging index between all groups. 40

Figure 6. Comparison of the executive control between all groups. 41

Figure 7. Sample frames from a block of trials with eye-feedback condition. Stimuli (car,... 51

Figure 8. Sample frames from a block of trials with control condition. Same stimuli as eye-... 52

Figure 9. Comparison of the attention engagement results between two groups. 60

Figure 10. Comparison of the attention disengagement results between two groups. 62

Figure 11. Comparison of the disengaging index results between two groups. 66

Figure 12. Comparison of the executive control network results between two groups. 67

초록보기 더보기

 굼뜬 인지적 템포(Sluggish Cognitive Tempo: SCT)는 주의력 장애의 일종으로, 느린 행동 및 사고, 낮은 활력 수준, 멍하게 있거나 백일몽에 빠지는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반면, ADHD는 부주의, 과잉행동 및 충동성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주의력 장애로 알려져 있다. SCT와 ADHD가 나타내는 핵심 증상이 서로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두 장애를 독립적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을지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연구 Ⅰ에서는 주의 네트워크 모델에 근거하여, 두 증상의 핵심 증상으로 알려져 있는 주의력 문제에 대해 탐색하였다. 특히 굼뜬 인지적 템포자의 고유한 주의력 특성을 확인하고, 해당 문제가 행동적 증상에 미치는 메커니즘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Ⅱ에서는 주의정향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안구운동 피드백 주의력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굼뜬 인지적 템포자를 대상으로 개입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Ⅰ에서는 1,098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바클리 성인 ADHD 척도(Barkley Adult ADHD Rating Scale-IV)를 실시하여, 네 집단을 구성했다: (1) SCT 및 ADHD 집단(N=22), (2) SCT 집단(N=45), (3) ADHD 집단(N=23), (4) 통제집단(N=20). 이후 주의네트워크 과제(Attention Network Test-Revised: ANT-R)를 실시하여, 집단 간 주의력 특성을 비교해보았다. 실험 결과, SCT에서 주의정향 기능이 손상되어 있는 반면, ADHD에서 집행통제 기능이 손상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Ⅱ에서는 주의 몰입 및 이탈 기능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구운동 피드백 주의력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38명의 굼뜬 인지적 템포자를 모집 후 두 조건으로 나눠 실시했다: 안구운동 피드백(N=19), 혹은 통제조건(N=19). 외현적 주의(overt attention)를 측정할 수 있도록, 포스너 공간단서 과제(Posner spatial cueing test)를 변형하여 구성한 주의력 훈련을 3회 반복 실시 및 측정하였다. 또한, 내현적 주의(covert attention)를 측정할 수 있도록, 훈련 전과 1회 훈련 후, 3회 반복 훈련 후 ANT-R을 실시하였다. 안구운동 피드백 조건에서는 참가자가 스스로 자신의 어느 곳을 보는 지 알 수 있도록 응시점을 제공하였으며, 주의의 몰입 및 이탈을 더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시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반면, 통제조건에서는 응시점과 시청각적 피드백 모두 제공하지 않았다. 실험 결과, 안구운동 피드백을 받은 집단에서 주의정향 기능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외현적 주의 몰입 및 이탈, 내현적 주의 이탈 기능의 효율이 향상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SCT와 ADHD가 서로 상이한 주의력 문제를 나타내는 별개의 장애이며, 특히 SCT에서는 주의 몰입 및 이탈 기능의 효율이 떨어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CT 증상이 단순히 느린 운동 혹은 처리속도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처리과정 중 초기 입력단계 기능이 저하되어 발생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두 장애를 구분하고, 각 장애의 핵심 증상에 초점을 맞춰 치료적 접근을 할 필요가 있겠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안구운동 피드백 기반 주의력 훈련이 내·외현적 주의정향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굼뜬 인지적 템포자의 주의력 문제 해결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