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중국의 비전통안보 연구 : 위협 유형과 대응전략 / 유동원 1
Abstract 1
I. 서론 2
II. 안보개념의 변화와 비전통안보 개념 4
1. 전통적 안보관과 안보개념의 확대 4
2. 비전통안보 개념의 대두 6
III. 중국 비전통안보 위협의 등장과 개념의 수용 9
1. 비전통안보 위협의 등장 9
2. 비전통안보 개념의 선택적 수용 11
IV. 중국 비전통안보 위협의 유형 14
1. 소수민족의 분리독립운동과 테러리즘 15
2. 환경안보 17
3. 건강안보 20
4. 자연재해 23
V. 중국의 비전통안보 위협에 대한 대응전략과 국제협력 25
1. 대응전략 25
2. 비전통안보에 대한 국제협력 29
VI. 결론 30
참고문헌 33
[요약] 36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6.25전쟁과 한국의 안보정책 :지속과 변화 | 홍용표 | pp.9-34, 3 |
|
보기 |
6.25전쟁 60주년과 한미동맹의 미래 | 엄태암 | pp.35-72, 3-4 |
|
보기 |
한국 방위산업의 40년 발전과정과 성과 | 최성빈 ;고병성 ;이호석 | pp.73-117, 4-5 |
|
보기 |
중국의 비전통안보 연구 :위협 유형과 대응전략 | 유동원 | pp.119-153, 5 |
|
보기 |
국방과학기술 발전 전략 | 김성배 ;박준수 ;양영철 | pp.155-195, 5-6 |
|
보기 |
수상함 적격심사 기준 개선방안 | 김동욱 ;송영일 | pp.197-240, 6-7 |
|
보기 |
군복 보급정책의 성 인지적 분석 | 김둘순 ;김진 ;양애경 ;이선민 ;강남식 ;김철홍 | pp.241-278, 7 |
|
보기 |
전승 기념 및 전몰자 추모 의례 연구 | 강동구 ;박희모 | pp.279-312, 7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A Study on Human Security Concept in International Law : A Case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Global Health Governance ![]() |
미소장 |
2 | 김우상・조성권, 세계화와 인간안보 (서울: 집문당, 2005). | 미소장 |
3 | 김준섭 역, 신안전보장론 (서울, 국방대안보문제연구소, 2004). | 미소장 |
4 | 글로벌 거버넌스에 있어서 유엔과 NGO의 파트너쉽 연구 | 소장 |
5 | 이상환, 세계시민사회와 국제비정부기구: 국제사회에서 INGO의 역할과 한계를 중심으로, 21세기 정치학회보 제11집, 1호(2001). | 미소장 |
6 | East Asian Human Security and Global Governance ![]() |
미소장 |
7 | SARS와 중국의 인간안보 | 소장 |
8 | 國務院新聞辦公室, 中國政府白皮書 : 5 (北京: 外交出版社, 2008). | 미소장 |
9 | 王勇, “論相互依存對我國國家安保的影響,” 世界經濟與政治 , 1994年 6期. | 미소장 |
10 | 陸忠偉, 非傳統安全論 (北京: 時事出版社, 2003). | 미소장 |
11 | “江擇民在聯合國首腦會議上發言,” 人民日報, 2000年 9月 1日. | 미소장 |
12 | 査道炯, 中國學者看世界, 非傳統安全卷 (北京: 新世界出版社. 2008). | 미소장 |
13 | 余潚楓, “非傳統安全與中國,” 王逸舟主編 中國對外關係轉型30年 (北京: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8). | 미소장 |
14 | 宿景祥, “趨利避害化風險中國面臨非傳統安全的六大挑戰,” 新華網 , 2004年 8月 10日. | 미소장 |
15 | 楊毅主編, 中國國家安全戰略硏究 (北京: 國防大學校, 2007), | 미소장 |
16 | 中國政府白皮書 (5) (北京: 外文出版社, 2008). | 미소장 |
17 | 王逸舟, “中國非傳統安全的輕重緩急,” 世界新聞報 2006年 2月 10日. | 미소장 |
18 | 王逸舟, “中國與非傳統安全,” 國際經濟評論 2004年 11-12月. | 미소장 |
19 | 傅勇, 非傳統安全與中國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2007). | 미소장 |
20 | 廖文義, “析論新世紀中共安全戰略之建構,” 展望與探索 , 第1卷 第2期(2003.2). | 미소장 |
21 | Acharya, Amitiv and Arabinda Acharya, “Human Security in the Asia Pacific: Puzzle, Panacea, or Peril?”, CANCAPS Bulletin(November 2000). | 미소장 |
22 | Akaha, Tsuneo, “Non-Traditional Security Cooperation for Regionalism in Northeast Asia,” http://dspace.wul.waseda.ac.jp/dspace/bitstream/2065/.../20040116_akaha_eng.pdf (검색일: 2009년 12월 28일). | 미소장 |
23 | Bajpai, Kanti, “Human Security: Concept and Measurement,” Kroc Institute Occasional Paper 19(August) (University of Notre Dame, 2000). | 미소장 |
24 | Security and Emancipation ![]() |
미소장 |
25 | Buzan Barry, People, State and Fear (London: Harvester, 1983). | 미소장 |
26 | Buzan Barry, People, States, and Fear: An Agenda for International Security Studies in the Post-Cold War Era (Hemel Hempstead: Harvester, 1991). | 미소장 |
27 | Caballero-Anthony, Mely, “SARS in Asia: Crisis, Vulnerabilities, and Regional Responsees,” Asian Survey, Vol. 45, No. 3(2003). | 미소장 |
28 | Craig, Susan L., “Chinese Perceptions of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Security,”(March 2007.) http://www.StrategicStudiesInstitute.army.mil/(검색일: 2009년 12월 7일). | 미소장 |
29 | Emmers, Ralf, Mely Caballero-Anthony, and Amitav Acharya, Studying Non-TraditionalSecurity in Asia: Trends and Issues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Academic. 2006). | 미소장 |
30 | Kim, Jaechul, “Politics of SARS: International Pressure and China’s Policy Change,” Journal of Chinese Studies, No. 31,(2003). | 미소장 |
31 | A Signifier of Shared Values ![]() |
미소장 |
32 | NTS-Asia and IPA., Non-Traditional Security Challenges in Asia: What Role for Multilateralism?(Singapore: S. Rajaratmam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2007). | 미소장 |
33 | Roy, Denny, “China’s Pitch for a Multipolar World: The New Security Concept,” Asia-Pacific Security Studies, Vol. 2, No. 1(May, 2003). | 미소장 |
34 | Thakur, R. and Newman E. eds., Broadening Asia’s Security and Discourse Agenda (Tokyo: United Nations University Press, 2004). | 미소장 |
35 | The Utility of Human Security: Sovereignty and Humanitarian Intervention ![]() |
미소장 |
36 | Redefining Security ![]() |
미소장 |
37 | UNAIDS, “2007 AIDS Epidemic Update,” http://data.unaids.org/pub/Report/2008jc1527_epibirefs_asia_en.pdf (검색일: 2009년 6월 12일). | 미소장 |
38 | UNDP(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Human Development Report 1994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 미소장 |
39 | Wolfers, Arnold, Discord and Collaboration (Baltimore: Johns Hopkins Univ. Press, 1962), p. 15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