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자살예방 국가전략 비교 : WHO 프레임워크로 분석한 뉴질랜드·미국·아일랜드·잉글랜드·스코틀랜드·호주 및 대한민국의 국가전략 / 김정수 ; 송인한 1

[요약] 1

I. 서론 2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2. 연구 목적 3

3. 연구 방법 4

II. 자살예방 국가전략에 관한 이론적 고찰 7

1. 세계보건기구(WHO)의 프레임워크와 자살예방 국가전략의 발전 과정 7

2. 자살예방 전략의 국가 간 비교에 관한 선행 연구 9

III. 우리나라와 해외 주요 국가들의 자살예방 국가전략 수립 배경 11

1. 우리나라 11

2. 뉴질랜드 13

3. 미국 13

4. 아일랜드 14

5. 영국 15

6. 호주 16

IV. 분석 및 논의 16

1. 각국 전략의 개괄적 비교 16

2. WHO의 프레임워크를 통해 살펴본 국가전략의 핵심 구성요소 비교 19

V. 결론 및 제언 28

[저자소개] 31

참고문헌 32

[요약] 34

초록보기

자살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예방대책으로서 세계보건기구(WHO)는 각국 정부에 국가적 차원의 접근을 권장하고 있으며, 국가전략 시행은 자살률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효과성이 입증된 뉴질랜드·미국·아일랜드·잉글랜드·스코틀랜드·호주의 6개국 국가전략과 우리나라 국가전략인 제2차 자살예방종합대책을 WHO가 자살예방 국가전략 수립을 위해 권장하고 있는 프레임워크의 핵심요소인 (1) 명확한 목표, (2) 위험요인 및 방어요인, (3) 대상별 효과적 개입방법, (4) 집계시스템 개선 및 연구, (5) 모니터링 및 평가의 구체성 차원에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성과목표나 개입방법은 비교적 구체적으로 제시된 반면, 조직적 수준에서 우리나라 국가전략은 조직간 협력이 불명확하고, 위험 및 방어요인 분석이 미흡하며, 예방전략 효과성 평가가 부족함이 발견되었다. 이에, 국가전략 시행과정과 성과를 점검하고 보완·발전시키기 위한 평가 계획이 실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계획 및 출산과 관련된 요인 정은희, 최유석 pp.5-34

보기
다자녀 가정의 출산배경과 지원정책 욕구 분석에 관한 연구 : 혼합방법론을 이용하여 염주희, 정승은, 주영선 pp.35-77

보기
보육서비스 행위자 분석을 통한 전달체계 개선방안 연구 김영미 pp.78-121

보기
일-가족양립정책이 여성의 일-가족 양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연구 : 여성 근로소득에 대한 정책의 직·간접 효과를 중심으로 류연규, 백승호 pp.122-161

보기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직접 및 간접 효과를 중심으로 이금룡, 조은혜 pp.162-189

보기
노인죽음교육의 효과 분석 : 생활만족도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죽음불안의 매개역할 김성희, 송양민 pp.190-219

보기
요양보호사가 노인주거시설에서 경험한 성희롱에 관한 연구 임춘식, 이인수 pp.220-259

보기
영국 치매노인 가족수발자의 시설이용의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스코틀랜드 에딘버러시를 중심으로 이현숙 pp.260-299

보기
만 3세 미만 장애 영아 부모를 통해 본 장애 발견과 진단 및 조기개입 연계과정과 지원요구 조윤경 pp.300-326

보기
사회적 일자리사업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효순 pp.327-355

보기
성장기 폭력경험과 대학생 성폭력 경험의 관계 및 공격성의 매개효과 검증 배화옥, 최재희 pp.356-379

보기
한국 동성애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승배 pp.380-416

보기
지역 보건복지 통합접근의 연계수단 : 영국 커미셔닝을 중심으로 강창현 pp.417-450

보기
우리나라 국민연금의 재활서비스 도입에 관한 연구 이용하, 김원섭 pp.451-483

보기
공산주의 이후 러시아 연금개혁의 과정과 과제 이성기, 원석조 pp.484-512

보기
자살예방 국가전략 비교 : WHO 프레임워크로 분석한 뉴질랜드·미국·아일랜드·잉글랜드·스코틀랜드·호주 및 대한민국의 국가전략 김정수, 송인한 pp.513-546

보기
앤더슨 행동모형을 이용한 노년기 외래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스트레스 취약요인의 매개효과 분석 송태민 pp.547-576

보기
저소득층의 흡연 행태와 관련 요인 김잔디, 서제희, 신영전, 김창엽 pp.577-602

보기
우리나라 하드코어 흡연 현황 및 관련 요인 조경숙 pp.603-628

보기
암환자와 배우자의 부부적응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이영선, 이인정 pp.629-663

보기
조현병 환자의 선거 참여 경험 차진경, 김형준, 김학선 pp.664-694

보기
의료기관 구성원의 LMX(Leader-member exchange)와 조직시민행동간 관계 분석 :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역할 분석을 중심으로 김대원 pp.695-732

보기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원시연(2011). 자살예방대책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서울: 국회입법조사처 현안보고서. 미소장
2 보건복지가족부 자살예방대책추진위원회(2008). 제2차 자살예방종합대책(2009~2013).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미소장
3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2). OECD Health Data 2012(요약집). 서울: 보건복지부. 미소장
4 전우택, 남윤영, 박진영, 어유경, 이홍식(2004). 자살 예방 정책 개발 연구: 외국의 국가자살 예방 전략과 국내 활동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 연세의대 정신과학교실; 보건복지부 연구비 지원. 미소장
5 통계청(2013.1.22). 사망원인(고의적 자해)에 따른 성별 연령표준화 사망률(2000~2011).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에서 2013.1.22 인출. 미소장
6 통계청(2013.1.29). 사망원인(고의적 자해)에 따른 성․연령별(5세) 사망자수․사망률 (1983~2011).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에서 2013.1.29 인출. 미소장
7 The Challenge of Suicide Prevention: An Overview of National Strategies 네이버 미소장
8 Australia.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ealth and Ageing (2007). Life Is For Everyone(LIFE): A Framework for Prevention of Suicide in Australia. Canberra: Commonwealth of Australia. 미소장
9 National strategies for the reduction and prevention of suicide. 네이버 미소장
10 De Leo, D., Evans, R. (2003). International Suicide Rates: Recent Trends and Implications for Australia. Technical report. Canberra: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ealth and Ageing. 미소장
11 Department of Health (2002). National Suicide Prevention Strategy for England. London: Department of Health. 미소장
12 England. Department of Health (2012). Preventing Suicide in England: A Cross- Government Outcomes Strategy to Save Lives. London: Department of Health. 미소장
13 Ireland. Health Service Executive, National Suicide Review Group, Department of Health and Children (2005). Reach Out: National strategy for Action on Suicide Prevention 2005-2014. Dublin: Health Service Executive. 미소장
14 The effect of national suicide prevention programs on suicide rates in 21 OECD nations 네이버 미소장
15 New Zealand. Associate Minister of Health (2006). The New Zealand Suicide Prevention Strategy 2006-2016. Wellington: Ministry of Health. 미소장
16 OECD (2011). Health at a glace 2011: OECD Indicators. http://www.oecd.org. 미소장
17 OECD (2012.1.23). OECD Health Data 2012: Frequently Requested Data. http://www.oecd.org/health/health-systems/oecdhealthdata2012-frequentlyrequ esteddata.htm에서 20012.1.23 인출. 미소장
18 Platt, S. (2012, October). Public Health Intervention to Prevent Suicide: A Clinical Assessment. Keynote presentation conducted at the Annual National Suicide Prevention Australia Conference, Sydney, Australia. 미소장
19 Platt, S., McLean, J., McCollam, A., Blamey, A., Mackenzie, M., McDaid, D., et al. (2006). Evaluation of the First Phase of Choose Life: the National Strategy and Action Plan to Prevent Suicide in Scotland. Edinburgh: Scottish Executive. 미소장
20 Scotland. Scottish Executive (2002). Choose Life: A National Strategy and Action Plan to Prevent Suicide in Scotland. Edinburgh: Scottish Executive. 미소장
21 How are nations trying to prevent suicide? An analysis of national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네이버 미소장
22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HHS) Office of the Surgeon General and National Action Alliance for Suicide Prevention (2012). 2012 National Strategy for Suicide Prevention: Goals and Objectives for Action. Washington, DC: HHS. 미소장
23 WHO (2012). Public Health Action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A Framework. http://www.who.int.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