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미국 오바마 대통령은 2015년 8월 3일 미국정부의 친환경에너지 정책을 강화하는“청정전력계획(CPP: Clean Power Plan)” 채택을 공식 발표하였다. 이 계획에 따르면,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미국 내 모든 주가 석탄발전 비중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사용을 늘려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오바마 행정부의 CPP에 따르면, 2030년까지 미국내 발전소의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2005년 배출량 기준)를 기존 30%에서 32%로 상향조정하였다. 또한 풍력, 태양광 등 재생 가능한 에너지 발전 비중 목표를 22%에서 28%로 상향 조정하였다. 그리고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주와 전력회사에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도 포함됐다.

세계 각국의 신재생에너지의 확대이면에는 정부보조금이 크게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정부보조금을 통한 신재생에너지 이용의 확대는 신재생에너지 사용이 늘면서, 정부보조금 지출도 늘고, 세수도 더 많이 필요한 문제점을 낳게 되면서, 독일 등 일부 유럽국가들은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거나, 또는 축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화기업에 인수된 독일의 Q-Cell로 한 때 전 세계 최대 태양광패널 생산업체였지만, 독일정부가 늘어나는 신재생에너지 생산보조금 지급을 감당할 수 없어서, 삭감을 하게되어 수요가 감소하자 재정난에 직면하여, 한화로 인수되었다. 또 다른 문제는 세계 10대 태양광패널 생산기업 중 6개 기업이 중국기업이다. 이는 중국기업들이 태양광패널 생산을 주도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결국 태양력발전소의 확대는 단기적으로 중국기업의 이익을 확대하는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결국 각국의 신재생에너지 확대정책은 향후 늘어나는 보조금 지출을 정부가 감당하고, 중국기업보다 더 효율적인 태양광패널 생산기업이 자국에서 창출되는 것으로 이어지기 어렵다면, 그 성공을 담보하기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The final version of CPP (Clean Power Plan) was unveiled by U.S. President Obama on August 3, 2015. The Clean Power Plan aims to reduce carbon pollution from power plants using coal and to increase the use of renewable energy. CPP has upgraded the target of the reduction carbon emission to 32% (carbon emission in 2005) until 2030. It has upgraded the share of renewable energy to 28% from total electricity generation. According to this plan, the financial support will be offered to the states and the electricity companies which make the transition to renewable energy.

The governmental subsidy contributes to the global development of the use of renewable energy. However, the increase of the use of renewable energy caused more governmental budget expenditure. Due to the rising expenditure of subsidy, European countries like Germany have stopped or reduced the governmental subsidy for the renewable energy. The Q-Cell which was the largest PV production company, has benefited German the governmental subsidy for the renewable energy. Due to the increased expenditure of governmental subsidy, German government has reduced its subsidy for the renewable energy. The reduced subsidy from Government for the use of renewable energy resulted in the financial difficulty in Q-Cell. It was merged by Korean company, Hanwha. The other problem of renewable energy is the dominance of Chinese companies in the equipment market related with solar energy. 6 companies among the top 10 World largest PV production companies are Chinese companies. It means that PV market is led by Chinese companies. It means that the increased construction of power plants using solar energy will resulted, at least in short-term, in the increased profit for Chinese companies. The success in the increase of renewable energy will depend on the governmental subsidy and on the creation of efficient PV production companies in each countr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EU 바이오연료 정책 전망과 그 발전 방향 = The Prospect for the EU Biofuel policy and the direction for the policy development : Indirect Land Use Change : 간접토지변경 정혁, 김정인 pp.1-31

EU 가스시장 자유화와 EU의 對러시아 에너지 전략 변화 = The Liberalization of the EU Gas Market and EU's Changing Energy Strategy towards Russia 김연규 pp.33-67

탈산업사회에서 직장인 여가문화의 가치 변화와 의미 = A study on the value of Leisure activities of Wage Laborers in the post-industrial society : A Case of French experiences : 프랑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손동기 pp.69-95

그리스 민주화와 민주주의의 위기 = Democratization and the Crisis of Democracy in Greece 김남국 pp.97-139

유럽경제의 성장·소득수준 비교 및 성장기여도 분석 = Comparison of Economic and Income Level, and Contribution Analysis of Economic Growth in European Economies 조양현 pp.141-171

유럽연합의 칼리닌그라드 정책 = The EU Enlargement and Its Policy towards Kaliningrad 이규영 pp.173-212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과 문제점 = Renewable Energy Policy and its problem : Cases of USA and EU : 미국과 EU사례를 중심으로 안상욱 pp.213-235

포르투갈의 민주주의 이행과정 분석 = The Analysis of Democratic Transition of Portugal 고주현 pp.237-269

유럽연합의 이민자에 대한 사회적 배제 = The Social Exclusion of Immigrants in the EU : the case study of Italy : 이탈리아 사례를 중심으로 오현주, 정해조 pp.271-297

한국언론에 비춰지는 유럽연합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U Images reflected on the Korean Media : Focusing on Major Dailies and Economic Paper : 주요일간지 및 경제지를 중심으로 정세원, 박성훈 pp.299-330

Brexit and the Future Implications for European Security : Starting of the New Debate Kwang Ho Chun pp.331-362

유럽 테러사태와 한반도 안보질서 = Terror Attacks in Europe and Security Order in the Korean Peninsula 이승근 pp.363-392

유럽 재정위기와 경제통합 = European Fiscal Crisis and Economic Integration : the Evolution of and the Challenges to the European Union : 유럽연합의 제도적 진화와 도전 배병인 pp.393-415

참고문헌 (2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 Study on Optimal Operation of Microgrid Considering the Probabilistic Characteristics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and Emissions Trading Scheme 소장
2 신재생 에너지 도입행태 분석 : OECD 국가들을 중심으로 소장
3 송용주. “독일 에너지 전환정책 추이와 시사점.” 『KERI Brief』 16-04. 한국경제연구원, 2016. 미소장
4 유동헌. 『주요국의 신정부 출범과 에너지정책 영향 전망』.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미소장
5 Analysis of Effects of Building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n the Optimization Ratio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Systems 소장
6 정혜영. “미국의 에너지 정책 방향과 오바마 정부의 기후변화 정책,”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22호. 에너지경제연구원, 2015. 미소장
7 A Study on the Energy Improvement Plan of using Passive Design with Exterior Envelopes and Renewable Energy for Bio Safety Labotratory 소장
8 European Commission. EU energy in figures Statistical Pocketbook, 2015. 미소장
9 IEA. Energy Policies of IEA countries US 2014, 2014. 미소장
10 IEA. World Energy Outlook 2014, 2014. 미소장
11 Institute for Energy Research. Obama’s Offshore Plan: One Giant Leap Backwards, 2012. 미소장
12 OECD. Electricity Information 2015 Part III, 2015. 미소장
13 Parthemore, Christine. The Obama Plan for Energy and Climate Security”, Center for a New American Security, 2009. 미소장
14 영국 에너지와 기후변화부. “에너지원별 발전비용.” https://www.gov.uk/government/uploads/system/uploads/attachment_data/file/65713/6883-electricity-generation-cost s.pdf (검색일: 2016. 5. 3.). 미소장
15 유럽위원회 에너지 총국(Directorate General Energy, European Commission). “Renewable Energy Directive.” https://ec.europa.eu/energy/en/topics/renewable-energy/renewable-energy-directive (검색일: 2016. 4. 25) 미소장
16 외교부. “기후변화협상.” http://www.mofa.go.kr/trade/greengrowth/climatechange/index.jsp?menu=m_30_150_20 Parthemore (검색일: 2016. 5. 1.) 미소장
17 한국수력원자력. “전원별 발전단가.” http://blog.khnp.co.kr/blog/archives/20175 (검색일:2016. 1. 20.). 미소장
18 한국수력원자력. “발전원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http://blog.khnp.co.kr/blog/archives/10695(검색일: 2016. 1. 20). 미소장
19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 http://www.knrec.or.kr/knrec/12/KNREC 120700_02.asp (검색일: 2016. 4. 3.). 미소장
20 Conca, James. “Germany's Energy Transition Breaks The Energiewende Paradox.”Forbes. July 2, 2015. http://www.forbes.com/sites/jamesconca/2015/07/02/germanysenergy-transition-breaks-the-energiewende-paradox/#631c80b72968 (검색일: 2016. 5. 25) 미소장
21 EPA. “Climate Change Indicators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3.epa.gov/climatechange/science/indicators/ghg/us-ghg-emissions.html (검색일: 2016. 5. 1.). 미소장
22 EPA. “CPP의 주별 Rate-Based goal.” https://www.epa.gov/cleanpowerplantoolbox (검색일: 2016. 5. 10). 미소장
23 IEA. “미국의 에너지자원별 전력생산 비중.” http://www.iea.org/stats/WebGraphs/USA2.pdf (검색일: 2016. 5. 1.). 미소장
24 IEA. “영국의 에너지자원별 전력생산 비중.” http://www.iea.org/stats/WebGraphs/UK2.pdf (검색일: 2016. 5. 3.). 미소장
25 Korte, Gregory. “24 states challenge Obama's Clean Power Plan as rules go into effect.” USA Today, October 23, 2015. http://www.usatoday.com/story/news/politics/2015/10/23/24-states-file-legal-challenge-obamas-power-plan/74472236/ (검색일: 2016. 5. 1.). 미소장
26 Shankleman, Jessica. “China's Goldwind Knocks GE From Top Wind Market Spot.”Bloomberg. February 22, 2016. http://www.bloomberg.com/news/articles/2016-02-22/china-s-goldwind-knocks-ge-from-top-spot-in-global-wind-m arket (검색일: 2016. 4. 25.) 미소장
27 Wang, Ucilia. “Guess Who Are The Top 10 Solar Panel Makers In the World?”Forbes. December 3, 2014. http://www.forbes.com/sites/uciliawang/2014/12/03/guess-who-are-the-top-10-solar-panel-makers-in-the-world/ (검색일:2016. 5. 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