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한국정당의 국민참여경선제 도입 적실성과 보완점 : '제도'와 '유권자문화'를 중심으로 = Debates on the Appropriateness of Korean 'Open Primary Systems' : Focus on both Institutions and Voting Culture / 성치훈, 진영재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6.12.31
수록지명
의정연구 = Korean journal of legislative studies. 제22권 제3호 통권 제49호 (2016. 12), pp.83-115
자료실
[서울관] 전자자료,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7021628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한국정당의 국민참여경선제 도입 적실성과 보완점 = Debates on the Appropriateness of Korean 'Open Primary Systems' : Focus on both Institutions and Voting Culture : '제도'와 '유권자문화'를 중심으로 / 성치훈 ; 진영재 1

요약 1

I.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3

II. 선행연구들 6

III. 한국정당의 국민참여경선제 10

1. 대통령 선거 경선에서의 국민참여경선제 10

2. 총선에서의 국민참여경선제 14

3. 전당대회에서의 국민참여경선제 17

IV. 한국정치에서 국민참여경선제의 문제점 20

1. 제도의 도입배경과 과정에서 발생한 태생적 한계 20

2. 인기영합식 정치의 확산과 정당정치의 쇠퇴 22

3. 여론조사 방법에 대한 신뢰성 문제 23

4. 여성대표성 확보의 문제 25

V. 정책적 제언 및 결론 26

참고문헌 30

[요약] 33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2016년 미국 대선의 예비선거 = The 2016 American Presidential Primary : Institutions, Process, Results and Implication : 제도, 과정, 결과 및 함의 조성대 pp.5-38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2016 미국 대선과 미국사회의 균열 = 2016 U.S. Presidential Election and Divided America 이소영 pp.39-82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한국정당의 국민참여경선제 도입 적실성과 보완점 = Debates on the Appropriateness of Korean 'Open Primary Systems' : Focus on both Institutions and Voting Culture : '제도'와 '유권자문화'를 중심으로 성치훈, 진영재 pp.83-115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제20대 국회의원선거 당선자 및 후보자의 이념성향과 정책태도 = Ideology and Policy Positions of the Candidates and the Elects in the 20th Korean National Assembly Election 박윤희, 김민수, 박원호, 강신구, 구본상 pp.117-158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국고보조사업의 사전 평가제도 도입을 위한 연구 = Study of the Appraisal System Introduced for the Financial Commitment of Government Subsidy Programs : Focusing on the Feasibility Study of Government Subsidy Programs : 적격성심사 제도를 중심으로 김영록 pp.159-199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남남갈등과 인도적 대북지원 = South-South Conflict : Humanitarian Aid to North Korea 민태은 pp.201-230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공무원 성과연봉제의 개선에 대한 리뷰 박영원 pp.231-242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브렉시트의 정치경제학 안병억 pp.243-252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일명 김영란법)'에 대한 검토 차동욱 pp.253-274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대한정책에 관한 일본 정치 파워엘리트의 현상과 배경 : 「일본 파워엘리트의 대한정책」,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저 [서평] 경제희 [평] pp.275-284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사회운동이 정당을 만났을 때 : 「When Movements Anchor Parties: Electoral Alignments in American History」, Daniel Schlozman 저 [서평] 유성진 [평] pp.285-293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참고문헌 (4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What Kind of Democracy?: A Search for New Governance of Democracy in Korea through Congruence of Institutions and Value System 소장
2 당내 공직 후보 선출 과정에서 여론조사 활용의 문제점 소장
3 한국 정당정치의 위기와 해결 방안 : 당내 민주화와 국민참여경선을 중심으로 소장
4 The Significance and the Limits of Massive Open Primary at Information Era and the Potentiality of Political Development 소장
5 17대 총선과 정치적 충원 : 당선자 결정 모델을 중심으로 소장
6 17대 국회의원선거의 공천제도와 공천과정 : 지역구 후보공천을 중심으로 소장
7 김용복. 2002. “2002년 대선과 정당구조의 변화-정당민주화는 이루어지는가?” 『경제와 사회』 56권. 57-84. 미소장
8 The Open Primary and its Applicability in Korea 소장
9 Success Factors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in South Korea: Primary Bonus vs. Incumbent Advantage 소장
10 A Study on the Korean Adaptation of the Open Primary System: Based on U.S. Experience 네이버 미소장
11 Comparison of Korean Citizen-Participatory Election Systems with American Primary Election Systems 네이버 미소장
12 Primary Elections, Candidate Competitiveness, and the Democratization of Political Parties: A Case Study on the Korean Local Election of 2002 소장
13 2006 지방선거의 공직후보자 선정과정에 대한 분석 소장
14 대통령 후보선출제도 변화 연구 소장
15 국민참여경선제의 제도 차이의 발생 배경에 대한 연구 : 16〜18대 대선후보 경선제도 비교 소장
16 직접 예비선거제도의 기원: 위스컨신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소장
17 특집 : 대통령선거와 정치발전 ; 국민경선을 통한 대통령 후보 선출과 정치 발전 네이버 미소장
18 안순철. 2005. 『미국의 예비선거-비교정치학적 접근』.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미소장
19 19대 총선 후보 공천의 과정과 결과, 그리고 쟁점 소장
20 Intra-party Candidate Nomination and Opinion Surveys 소장
21 The Problems of Candidate Selection System and Party Politics: With Focus on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in Korea 소장
22 한국 정당의 후보공천과 대표성 소장
23 이승준. 2016. “청년에게 공정한 출발선을 ⑧ 청년정책 없는 정당들… “선거 전단지 돌릴 때만 찾아”.” 「한겨레신문」(1월 25일).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27772.html (검색일: 2016. 12. 1). 미소장
24 미국 예비선거 경험과 한국의 완전국민경선제 소장
25 보이는 목표와 보이지 않는 결과 : 미국과 한국의 대선후보 선출과정의 개혁과 정당구조의 변동 소장
26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론의 헌법적 검토 소장
27 정당의 후보선출과 공정성 : 유권자정당 모델을 중심으로 소장
28 Survey Democracy?: A Case Study of 2010 Regional Election in Korea 소장
29 진영재. 2012. 한국정당발전모델에 대한 일고찰:2012 대선정국과 정당구조 개혁.” 『선거연구』 3권. 27-64. 미소장
30 The Korean Candidate Selection System: Recent Research Trend and Future Research Agenda 소장
31 최태욱. 2014. “‘준(準) 폐쇄형 예비선거제(Semi-Close Primary)를 법제화하자” 『왜 오픈프라이머리인가 토론회 자료집』. 19-25. 미소장
32 통계청. 2016. http://www.kostat.go.kr/ (검색일: 2016. 12. 1). 미소장
33 Reforming Candidate Selection Methods 네이버 미소장
34 Primary Elections and Candidate Strength in Latin America 네이버 미소장
35 Hazan, Reuven, and Gideon Rahat. 2010. Democracy within Parties: Candidate Selection Methods and Their Political Consequences.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36 The Problem of Candidate Selection and Models of Party Democracy 네이버 미소장
37 The Primary Reason for Women's Underrepresentation? Reevaluating the Conventional Wisdom 네이버 미소장
38 Merrill, Katie. 2015. “Is California's Top Two Primary Bad for Women Candidates?” California Journal of Politics and Policy. Vol. 7, No.1 미소장
39 Candidate Selection Methods 네이버 미소장
40 Why primaries? The party’s tradeoff between policy and valence 네이버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