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미·중 군사전략의 변화와 한국군의 대응방안 = The Change of American and Chinese Military Strategies and the Korean Armed Forces' Response : A2/AD전략과 JOAC 영향을 중심으로 / 양재하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육군본부, 2017.06.30
수록지명
軍史硏究. 제143집 (2017년 6월), pp.439-477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7173836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원문
미리보기

초록보기 더보기

21세기 들어서 급증하는 초국가적 위협을 포함하여 자국의 안정과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미국을 ‘잠재적’ 위협에서 ‘실질적’ 위협으로 인식하기 시작한 중국은 아시아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는데 초점을 맞추어 반접근 및 지역거부(A2/AD: Anti-Access/Area Deneal)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이 전략의 일환으로 중국은 해·공군력을 중심으로 정밀타격능력, 원거리 투사능력, 우주 및 사이버능력 등 군사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해외 군사기지 건설을 통해 주변국들과 적극적인 군사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부상에 대해 미국은 아시아에서 지배적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도전세력의 등장을 저지하려고 한다. 이것의 일환으로 미국은 아시아 재균형 정책을 선언하였고, A2/AD전략에 대응하기 위해 공해(空海)전투 개념을 포함하는 합동작전접근개념(JOAC: Joint Operational Access Concept)을 채택하여 추진하고 있다. 양국의 군사전략 변화는 이어도 해양경계 획정, 주한미군 감축, 한반도 유사시 미 증원군 지연과 관련하여 한반도 안보에 도전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한국은 전략적인 차원에서 이러한 안보환경 변화에 대비한 자체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제주도 합동부대 창설, 미 증원전력 감소에 대비한 작전수행개념 혁신, 그리고 미 증원전력 전개보장을 위한 대응개념 발전이 요구된다. 아시아와 한반도 주변을 둘러싼 도전적인 안보환경에 대비하여 한국은 전략적인 차원에서 미·중 군사전략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하여 국익을 극대화하고 미래 한국의 안보와 통일에 기여해야 하겠다.

Entering the 21st century, China recognized the U.S. as a real threat from a potential one. China is promoting A2/AD strategy which focuses on weakening the American influences in the Asian regions. As a part of this strategy, China is strengthening the military power such as precision strike, long distance projection, space and cyber capabilities, and aggressively implementing military cooperation with neighboring countries through construction of overseas military bases.

In response to the Chinese movement, the U.S. tries to block the emergence of challenging power in order to maintain its overwhelming status in Asia. The U.S. declared the rebalance policy toward Asia and adopted JOAC(Joint Operational Access Concept) against the A2/AD strategy. JOAC includes Air-Sea battle based on the navy and air force. The military strategies of the two nations will act as a challenging factor for the security of Korean Peninsula in regard to the delimitation of maritime boundaries, the reduction of the U.S. Armed Forces in Korea, and the delay of augmentation forces of the U.S. in case of emergency in the Peninsula.

Under this situation, to deal with the changes of the security environment, Korea needs to create joint forces in Jeju, innovate the concept of the conduct of operations in preparation of the decrease in the reinforcements of the U.S., and improve the concept of response to secure the deployment of U.S. reinforcements. With the challenging security environment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Korea has to come up with measures regarding the American and Chinese military strategies, maximize national interests and contribute to the unification of Korea.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조선 숙종대 경기지역 군사체제의 정비 = Restructuring of Military System in Gyeonggi(京畿) Province during the Sukjong's Reign in Joseon Dynasty 김종수 pp.7-37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선춘현(先春峴)과 공험진(公嶮鎭) 위치 고찰 = Consideration to the location of Gongheomjin and Seonchunleong : 『세종실록』「지리지」및 고지도, 현지답사 등을 중심으로 최창국 pp.39-85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溫河衛의 성립과 조선과의 관계 = Establishment of Wenhewei and Its Relationship with Joseon : 성종~연산군대를 중심으로 박정민 pp.87-115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5世紀初 高句麗의 對新羅政策과 新羅의 政局動向 = The foreign policy of Goguryeo toward Silla and the political Trend in Sillain early 5th century : 實聖王~訥祗王의 卽位過程을 中心으로 문준호 pp.117-138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복잡계 패러다임으로 본 전쟁의 본질 = 용병술에 주는 함의를 중심으로 = The Essence of War by the Paradigm of Complex Systems : Focused on the Implication to Military Art 남두현 pp.139-177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베트남 전쟁 시 미국의 대분란전 수행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S. Failure of Counterinsurgency in the Vietnam War : 대분란전의 성공요소를 중심으로 권영상 pp.179-210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6·25 전쟁시 북·중 간 연합사 구성의 지연 원인 고찰 = A Study on Cause of Delay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the North Korea-PRC CFC during Korean War 박향기 pp.211-246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예비군창설 정책결정과정 연구 = A Study on the Policy Decision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Reserve Forces 주영윤 pp.247-285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제1∙2차 세계대전기 미국 해군 대잠전 전술의 변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dern U.S. Naval Anti-submarine Warfare Tactics 김현승, 황병선 pp.287-323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한국형 임무형지휘척도 개발과 타당성 = A Study of Scale Development for Korean Mission Command and its Validation 양원석, 류수영 pp.325-354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대한민국의 분쟁수행개념 연구 = Conflict Fulfillment Concept of Korea : Focusing on the correlation between case and theory : 사례와 이론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양희식 pp.355-395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정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WT-OPCON Transfer Policy : Focusing on the Differences among Roh Moo-hyun,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부의 정책결정 차이를 중심으로 손대선 pp.397-437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미·중 군사전략의 변화와 한국군의 대응방안 = The Change of American and Chinese Military Strategies and the Korean Armed Forces' Response : A2/AD전략과 JOAC 영향을 중심으로 양재하 pp.439-477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북·중 헌법과 정당체제에 대한 비교론적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North Korean and the Chinese Constitution and Party System : Changes in the North Korean regime and the Structure of Power in terms of the comparative perspective of the regime : 체제비교론적 관점에서의 북한체제 및 권력구조의 변화 백근현, 강수진 pp.479-518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북한지역에서 비행금지구역 설정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establishment of Prohibited Area(No-Fly-Zone) in North Korea 권종필 pp.519-547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주요 선진국 헌법에 나타난 병역 및 국방에 대한 고찰 = The Development of Modern Amphibious Warfare Capabilities of the U. S. Marine Corps 윤지원, 오수정 pp.549-574 원문보기 (음성지원) 다운로드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