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 : 다섯 가지 핵심어를 중심으로 = Moon Jae-in government's Policies toward North Korea based on five key words / 李承鉉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의정연구회, 2018.06.30
수록지명
의정논총 = Journal of parliamentary research. 제13권 제1호 (2018년 6월), p.163-186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한국학술지인용색인(NRF)
제어번호
KINX2018193351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본 논문은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을 다섯 가지 핵심어를 중심으로 기본 논리를 정리하고 적용사례로서 ‘판문점 선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다섯 가지 핵심어로는 대북 관여정책, 북핵 비핵화 2단계론, 대화·압박 병행론, 주도적 역할론 그리고 한·미간 긴밀한 공조를 제시하였으며, 이 다섯 가지 핵심어를 기준으로 ‘판문점 선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설치하기로 한 합의는 문재인 정부의 관여정책의 한 단면을 보여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둘째, 남북한의 정상들은 “완전한 비핵화가 남북한의 공동의 목표”임을 문서로 합의하였는데 이는 핵동결 입구론의 정책이 1단계의 성공을 거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셋째, 양 정상이 만나서 합의문을 도출하였다는 것은 압박 보다는 대화쪽으로 무게 중심을 이동한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넷째, 남북정상회담 뿐만 아니라 한중일 정상회담으로 이어지는 연속회담을 진행하였고, 향후 한미정상회담이 예정되어 있다는 점에서도 ‘주도적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다섯째, 지금 까지 대북정책을 둘러싼 한미간의 정책 공조는 과거 그 어느 때 보다도 긴밀하고 충실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과제로 다섯 가지 사항들을 제시하고 있다.

In this paper, I tried to summarize the basic logic of Moon Jae-in government's Policies toward North Korea based on five key words and analyze the ‘Panmunjom Declaration’ as an application example.

The five key words include engagement policy toward north korea, the two-step policy of denucleariza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e dialogue and pressure parallels, the leading role of south korea, and the close coordin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 And also I analyzed the ‘Panmunjom Declaration’ based on these five key word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greement to establish an inter-Korean joint liaison office can be regarded as showing a clue of the government's engagement policy.

Second, the leaders of the two Koreas agreed in document that "complete denuclearization is a common goal of the two Korea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the success of the first stepe of the nuclear freeze entry policy.

Third, the fact that the two leaders met and reached a consensus statement should be interpreted as shifting the center of gravity toward dialogue rather than maximum pressure.

Fourth, we have held not only the inter-Korean summit but also the series of the Korea-China-Japan summit and the US-Korea summit. So, it is a kind of evidence that korean government played a leading role in korean peninsula issues.

Fifth, the policy coordination between the US and the ROK towards the North Korea has been conducted more closely and faithfully than ever before.

Based on these analyzes, five issues are presented as future tasks.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주요 OECD 국가의 세출구조조정 행태 분석 = Analysis on the Fiscal Restructuring of Major OECD Countries : O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Global Economic Crisis : 글로벌 경제위기 전후 기간을 중심으로 朴勝駿, 都基鉉 p.5-43
규제 역설 관점에서 본 사회적규제 입법의 한계와 과제 = A Study on Legislation of Social Regulation : the Perspective of Regulatory Paradox : 개인정보보호 규제를 중심으로 李惠榮 p.45-69
현행 법인지방소득세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A Study on improvement of corporate taxation of local income tax system : focused on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 법적·제도적 측면을 중심으로 趙銀珠, 李咏桓 p.71-110
지역정당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 Institutionalization of Local party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Systems 高選圭, 李定珍 p.111-132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기능 변화에 대한 제도 분석 = An analysis on the legislative activity's effect by the Revision of National Assembly Reform Act : Focusing on the pass time and approval of bill during 18th and 19th Assemblyst : 신제도주의의 내생적 변화 이론을 중심으로 張碩准, 朴允姬 p.133-162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 = Moon Jae-in government's Policies toward North Korea based on five key words : 다섯 가지 핵심어를 중심으로 李承鉉 p.163-186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영업승계 관련 법제 기준에 관한 연구 = Legislation Standards Related to Succession of Business 金리사 p.187-210
역대 국회의장의 제도적 권한 및 당파적 역할의 변화와 지속 = Speaker's Institutional Power and Partisan Role in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田眞英 p.211-231
정책유형과 정책대상집단에 따른 입법과정 분석 = Analyzing the Legislation Process : Policy Types and Target Population : 정책의제설정 단계를 중심으로 金殷慶, 郭眞英 p.233-263
한국 ODA 산업 발전을 위한 입법 현황 분석 = Analysis of Korean Legislation for the Development of ODA-related Industries 金曉靜, 金映完, 姜長錫 p.265-292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4차 산업혁명 시대 과학기술예산정책 지향점 연구 = Study on Science and Technology Budget Policy's Orient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千友正, 金昌經 p.293-320

참고문헌 (2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근식 외. 2017. 『신정부의 대북정책 방향과 주요 과제』, 국회 남북관계개선 특별위원회 제출 연구보고서. 미소장
2 김동수. 2017. “문재인·트럼프 시대 한미동맹의 도전과 과제” 『안보환경의 변화와 우리의 대응』, 한국국제정치학회 안보국방학술회의자료집. 미소장
3 김연철. 2017. “최대의 관여” 한겨레(6월4일). 미소장
4 김종대 의원실. 2018. “4·27 남북정상회담과 한반도 비핵화-평화체제 토론회” 자료집. 미소장
5 노웅래·홍문표 의원실. 2018. “한반도 정세변화와 한·미 안보·통상 현안” 세미나 자료집. 미소장
6 심재철 의원실. 2018. “제3차 남북정상회담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 세미나 자료집. 미소장
7 윤영관. 2016. 「기조연설」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동북아 평화질서』, 국회입법조사처세미나 자료집. 미소장
8 이수혁의원실. 2018. “북핵협상은 현실이다: 남북협상과 북미협상의 이중트랙이 갖는의미,” 세미나 자료집 미소장
9 이승열. 2018. “북·미 정상회담 이후 비핵화와 체제안전보장의 교환 전망” 『이슈와 논점』, 1475호. 국회입법조사처. 미소장
10 이승현, 2017, “신정부 대북정책의 방향과 과제” 『이슈와 논점』, 제1330호. 국회입법조사처. 미소장
11 이승현 a. 2017.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을 둘러싼 쟁점과 과제,” 『이슈와 논점』, 제1343호. 국회입법조사처. 미소장
12 이승현 b. 2017.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 방향과 과제,” 『동북아 6자대결 상황에서 한국외교안보의 길』, SSK 갈등의 역동성과 사회통합연구단 제7회 정책전문가 세미나 발표문. 미소장
13 이승현 c. 2017.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국회의 역할 제고 방안과 향후 과제,” 『이슈와논점』, 제1391호. 국회입법조사처. 미소장
14 이승현 외 2인. 2017. “북한의 핵·미사일 고도화 전략과 우리의 다층적 대응방향,” 『이슈와 논점』, 제1351호. 국회입법조사처. 미소장
15 이승현 외 1인. 2017. “북한의 핵·미사일 고도화에 따른 주변국의 정책변화와 대응방향” 『이슈와 논점』, 제1387호. 국회입법조사처. 미소장
16 이승현 외 1인. 2018. “한반도 평화 분위기 조성을 위한 평창 동계올림픽 활용방안,” 『이슈와 논점』, 제1413호. 국회입법조사처. 미소장
17 이승현. 2018. “제3차 남북정상회담의 주요 내용과 전망,” 『이슈와 논점』, 제1463호. 국회입법조사처. 미소장
18 이승현 a. 2018. “남북 정상회담 개최의 의미와 평가,” 『한국정치학회 소식지』. 미소장
19 전재성. 2017. “트럼프 정부의 한반도 구상”, 『통일시대』, vol. 128. 미소장
20 정종섭 의원실. 2018. “4·27 남북정상회담 진단과 평가, 남은 과제는?” 세미나 자료집 미소장
21 조성렬. 2017. “한반도 군사적 긴장과 한·미 정상회담의 과제” 『안보환경의 변화와 우리의 대응』, 한국국제정치학회 안보국방학술회의자료집. 미소장
22 통일부. 2017. 『문재인의 한반도정책』, 서울: 통일부. 미소장
23 형혁규. 2017.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의 쟁점과 과제,” 『이슈와 논점』, 제1301호. 국회입법조사처. 미소장
24 Dialogue Between International Politics and Policy toward North Korea : Focusing on National Interests 소장
25 홍익표 의원실, 2018, “평창올림픽 이후 남북관계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세미나자료집 미소장
26 홍현익. 2017. “비핵화와 평화정착을 위한 한반도 운전자론 실현방안” 『안보환경의 변화와 우리의 대응』, 한국국제정치학회 안보국방학술회의자료집. 「央视网」, 2017年 04月 11日. 미소장
27 Lee, Seung Hyun, 2018, “US-North Korean Relations: Classifications Based on Policy Decisions and Their Effect on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n Review, 2010 Spring.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