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유발하라리의 4차산업혁명 형이상학 및 그 비판과 기독교 교육의 방향 = Yuval Harari's metaphysic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ary and the criticism to that : and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 안영혁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9.06.30
수록지명
기독교교육정보 =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제61집 (2019. 6), p.33-85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9172316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참고문헌 (2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영안 (1991). “칸트의 초월과 형이상학.” 칸트와 형이상학. (pp. 35-62). 서울: 민음사. 미소장
2 강영안 (2009). 칸트의 형이상학과 표상적 사유. 서울: 서강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3 김태유, 김대륜 (2017). 패권의 비밀.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미소장
4 백종현 (2017).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인문학의 역할과 과제. 철학사상, 65, 117-148. 미소장
5 안영혁 (2015). 교회교육에서 행동주의에 대한 수용적 해석학의 모색. 기독교교육정보, 45, 165-201. 미소장
6 안영혁 (2016). 교회 전인교육의 철학적 기초와 장년 교육의 과제. 기독교교육정보, 49, 69-109. 미소장
7 이윤석 (2018). 4차산업혁명과 그리스도인의 삶. 서울: CLC. 미소장
8 조난심 (2017).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교육비평, 39, 330-347. 미소장
9 조찬선 (2000). 기독교죄악사 하. 서울: 평단문화사. 미소장
10 Bogdanoff, I. & G.(2013). 신의 생각. (허보미 역). 경기도 화성: 푸르메. 미소장
11 Bohren R.(1979). 설교학원론. (박근원 역). 서울: 기독교서회. 미소장
12 Comenius, J. A.(2008). 범교육학. (정일웅 역). 서울: 그리심. 미소장
13 Eliade, M.(1996). 세계종교사상사1. (이용주 역). 서울: 이학사. 미소장
14 Feuerbach L.(1882). 기독교의 본질. (박순경 역). 서울: 종로서적. 미소장
15 Harari. Y.N.(2015). 사피엔스. (조현욱 역). 서울: 김영사 미소장
16 Harari, Y.N.(2017). 호모데우스. (김명주 역). 서울: 김영사. 미소장
17 Harari. Y.N.(2018).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 (전병근 역). 서울: 김영사. 미소장
18 Heidegger. M.(1974).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최동희 역). 서울: 서문당. 미소장
19 Heidegger. M.(2001). 칸트와 형이상학의 문제. (이선일 역). 서울: 한길사. 미소장
20 Ricoeur, P.(2003). 해석학과 인문사회과학. (Thompson, J. 편집 번역/윤철호 역). 서울:서광사 미소장
21 Schwab, K. (2018).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The Next. (김민주, 이엽 역). 서울: 새로운 현재. (원전은 2017년에 출판) 미소장
22 Searle, J.(2010). 신경생물학과 인간의 자유. (강신욱 역). 서울: 궁리. 미소장
23 Skinner, B. F.(1982). 자유와 존엄을 넘어서. (차재호 역). 서울: 탐구당. 미소장
24 Whitehead, A.N.(2015). 종교란 무엇인가. (문창옥 역). 경기도 고양시: 사월의 책. 미소장
25 한겨레신문 2017.7.17일자; 4차 산업혁명, 독재정권 출현 더 쉽게 할 수 있다: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802721.html#csidxc978b88fddbf1f1960f565f97879de9. 미소장
26 한겨레신문 2019.2.22.일자. “2020년 완전자율 주행, 머스크 약속, 믿어도 될까?.” http://www.hani.co.kr/arti/science/future/883088.html#csidxcbdca4814f423daaad786776bf1937d 미소장
27 노동자 연대, 223호, 2017-09-21,‘4차 산업혁명’이라는 호들갑과 기술결정론. https://wspaper.org/article/19355?fbclid=IwAR11iLL81zULuIjQTl_ImFDOMdeWMouM8SPRpowdiVDHGrdDlpY5M6MwaFQ.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