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Bae, Yoongho, (2017). Comparative Study on the Accessibility Poli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and Japan : With regard to Accessible Buildings and Rights to Mobility. Sungkonghoe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 Dissertation. / 배융호, (2017). 한국과 일본의 장애인 접근권 정책 비교 연구 : 편의시설과 이동권을 중심으로. 성공회대대학원, 석사논문. | 미소장 |
2 | Choi, Seungcheol & Gyuhyun Kim, (2012). A Study on Universal Design Policies to Address Low Birthrates and the Aging of Society.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3(1), 511-522. | 미소장 |
3 | Ha, Seunga, (2014). A study on universal design in public cultural facilities:focused on the 'Seoul arts center' and 'National museum of Korea'. Hang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 Dissertation. / 하승아, (2014). 공공문화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 예술의 전당과 국립중앙박물관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 미소장 |
4 | Hwang, Dongho, (2018). A Study on the Space Design Policy for the Cultural Regeneration of Idle Space in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 황동호, (2018). 국내 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을 위한 공간디자인정책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논문 | 미소장 |
5 | Kang, Sungchul, (2017). A Study on the Evaluation Model of Architectural Planning Elements for Tourism and Recreational Facilities Considering People with Disabilities.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 강성철, (2017). 장애인을 고려한 관광휴양시설의 건축계획요소 평가모형 개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 미소장 |
6 | Kim Namjin, (2017). Universal Design Survey Report on Good Place-Building Demonstration Project. Network of Accessrights Environments for All. | 미소장 |
7 | Kim, Sinhye, (2012).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Wayfinding for Place Branding. Korea Design Forum, 34(5), 55-64. | 미소장 |
8 | Kim, Juyoung, (2017). A Study on the Present Situation of Universal Design for the 2017 Good Place-Building Pilot Project.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 미소장 |
9 | Ko, Youngjun, (2007). A Case Study of the Universal Design Application of Japanese Companies-Focused on Universal Design Evaluation Criteria and User Centered Design Methods. Journal of Product Research, 25(4), 1-10. | 미소장 |
10 | Ko, Youngjun, (2011). User-centered universal design methods and practices. Seoul: Idambooks. | 미소장 |
11 | Kwon, Bitna, (2017). A study on the Universal Design in Cultural Center- Focused on ACC -. Cho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 Dissertation. / 권빛나, (2017). 문화예술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현황 연구 -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 미소장 |
12 | Lee, Il Kyu & Taehwan Kim, (2009). Design Policy :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21st Century. Seoul: World Institute of Design and Management. | 미소장 |
13 | Lee, Munghie, (2017). A study on universal design ordinances of basic local governments and regional local government in Gyeonggi-do. Gyeongg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ocial Welfare, Master Dissertation. / 이명희, (2017), 경기도 광역 및 기초 자치단체의 유니버설디자인 조례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석사논문. | 미소장 |
14 | Lee, Heejin, (2012). Design of public facilities in Seoul considering color deviation. Ewha Women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 Dissertation. / 이희진, (2012). 색각이상자를 고려한 서울시 공공시설물 배색 디자인.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 미소장 |
15 | Lee, Hosoong, (2006). A Case Study of Japanese Local Self-Governments Universal Design Policy. Archives of Design Research. 63(4), 27-38. | 미소장 |
16 | Park, yonggi, (2015). A Study on Evaluation of Seoul Forest from the Point of Universal Design. Kyung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 Dissertation. / 박용기, (2015).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의 서울숲 평가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 미소장 |
17 | Roh, Whajoon, (2012). An Introduction to Policy Sciences. Seoul: ParkYoungSa. | 미소장 |
18 | Shim, Insuk, (2018). A Research on the Hierarchical Analysis of the Standard for the Aplication of the Universal Design to the Public, Cultural Facilties :Centered on the Comparisons betwen the Aged and the Disabled. Chung 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 Dissertation. / 심인숙, (2018). 공공문화시설 대상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기준에 관한 계층적 분석 연구: 고령자와 장애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 미소장 |
19 | Song, Yeonghwa, (2017). A study on the policy of culture and art for enhancing cultural arts activities of the disabled. Kyung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 Dissertation. / 송영화, (2017). 장애인 문화예술 활동 제고를 위한 문화예술정책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