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문화예술적 도시재생 사례 비교 연구 : 뉴욕 하이라인과 서울로7017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case study of the culture & art regeneration : focused on the high line in New York and Seoullo7017 in Seoul / 박은비 ; 최의란 ; 오동훈 1

Abstract 1

I. 서론 2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2. 연구의 대상 및 방법 2

II. 선행연구 분석 및 비교 관점 도출 2

III. 하이라인과 서울로7017 사업 4

1. 하이라인 프로젝트 배경 및 개요 4

2. 서울로7017 프로젝트 배경 및 개요 5

IV. 비교 관점에 따른 분석 5

1. 민관협력 5

2. 장소성 6

3. 전문성 7

4. 분석결과 8

V. 결론 및 시사점 8

인용문헌(References) 9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부동산 정책발표 전·후 외부수요가 부동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연구 : Comparing the effect of external demands on a local housing market before and after a real-estate policy change : focused on the sales prices of apartments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광주광역시 아파트를 중심으로 장미진, 김주진, 양동우, 신우진 p. 90-98

보기
나눔카 서비스의 교통형평성 평가 연구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raffic equity in Nanum car service 이다원, 남진 p. 71-89

보기
서울시메트로9호선의 통신설비 대체투자에 대한 타당성 연구 = A feasibility study on the alternative investment of communication equipmentof Seoul Metro Line 9 김치훈, 진무위, 이향숙 p. 57-70

보기
확장된 계획행동이론모델을 활용한 고령운전자의 운전면허증 반납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to return the driver’s license for the elderly driver using exta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ETPB) 김주영, 정헌영 p. 46-56

보기
MaaS 도입 가능성과 결정요인 분석 : Analysis on the introduction possibility and determinants of MaaS : focused on Songdo City, South Korea / 송도국제도시를 중심으로 서지민, 석종수, 이수기 p. 35-45

보기
자가거주자의 노후 아파트 정비사업 선호 영향요인 분석 : Analysis on determinants of owner-occupiers' preference for method of maintaining old apartment : focused on first-phase new towns / 1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한지혜, 장윤배 p. 21-34

보기
Do high-density cities have better proximity? : global comparative study on urban compactness using nighttime light data and POI big data Jang, Chang-ho Song, Jaemin p. 5-20

보기
문화예술적 도시재생 사례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case study of the culture & art regeneration : focused on the high line in New York and Seoullo7017 in Seoul / 뉴욕 하이라인과 서울로7017을 중심으로 박은비, 최의란, 오동훈 p. 125-135

보기
일본 지방중소도시의 지역활성화를 위한 통합적 공간관리 계획체계에 관한 연구 = Place-based integrated planning for regional revitalization of small-to-medium cities, Japan 장민영, 김영하, 서수정 p. 110-124

보기
야간 조명 인공위성 데이터를 활용한 북한의 개발현황과 변화 고찰 = Detecting urban development patterns in North Korea using satellite night time light data 김정아, 천상현 p. 99-109

보기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지선·조은영·김광구, 2018. “도시재생 공론화 과정 연구: ‘서울로7017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0(3):87-115. Kang, C.S., Cho, E.Y., and Kim, G.G., 2018. “A Study on Public Deliberation for Urban Regeneration: Focused on the ‘Seoulro7017 Project’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30(3): 87-115. 미소장
2 강현철·최재용, 2019. “문화예술기반 도시재상사업의 쟁점과 함의 –2019년 매니페스토 선정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21(4): 107-138. Kang, H.C. and Choi, J.Y., 2019. “Issues and Implications of Urban Regeneration Focusing on Culture and Art – Centering on Local Governments Selected by Manifesto in 2019 –”, GRI Review, 21(4): 107-138. 미소장
3 계기석, 2010.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전략모형의 적용방향 연구:부천시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23(4): 175-194. Kye, K.S., 2010.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ultural Strategy Models for Urban Regeneration in the City of Bucheon”,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3(4): 175-194. 미소장
4 김예성·김미옥·고진수, 2012. “문화주도 도시재생의 지역 개발효과 –유럽문화수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경제연구」, 21: 3-21. Kim, Y.S., Kim, M.O., Ko, J.S., 2012. “The Effect of Regional Development of Cultural-led Urban Regeneration – Focused on European Capital of Culture Programme”,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Economics, 21: 3-21. 미소장
5 박은비, 2018. “문화예술적 도시재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뉴욕 덤보(DUMBO)와 서울 문래예술창작촌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Park, E.B., 2018. “A study on the key factors affecting Culture&Art Regeneration: Focused on DUMBO in New York and Mullae Art Village in Seoul”, Master Thesis, The University of Seoul. 미소장
6 도시 재생과 문화정책의 전개와 방향 소장
7 박혜민, 2019. “장소성에 기반한 재생철학 관점에서의 서울시 도시재생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Park, H.M., 2019. “Analysis of Urban Regeneration in Seoul from the Perspective of Placeness-based Regenerative Philosophy: Focusing on Seoullo7017”,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미소장
8 배웅규, 2007. “도시계획·개발과정에서 주민참여 시스템으로서뉴욕시 커뮤니티보드의 운영특성 및 시사점 연구”, 「서울도시연구」, 8(2): 1-18. Bae, W.K., 2007. “The Characteristics and Lessons of Community Board in the New York City as the System of Citizen Participation on the Process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Seoul Studies, 8(2): 1-18. 미소장
9 백선혜·라도삼, 2008. “예술을 통한 지역만들기 방안 연구”,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1-168. Baek, S.H. and Ra, D.S., 2008. “A Study on the Projects of Making a Region through the Arts”, Seoul Studies, 1-168. 미소장
10 백승만, 2013. “문화적 도시재생 패러다임에 대한 연구: 서울과 파리를 대상으로”, 「국토계획」, 48(6): 337-346. Baek, S.M., 2013. “Study on the Paradigm of Cultural Urban Regeneration - Focused on Seoul in Korea and Paris in France”,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8(6): 337-346. 미소장
11 신동호, 2011. “창조산업 클러스터의 형성과 발전의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미국 뉴욕 브루클린의 문화예술 산업클러스터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1): 71-85. Shin, D.H., 2011. “Governance of a Growing Creative Industry Cluster: A Case Study on Brooklyn in the US”,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14(1): 71-85. 미소장
12 오동훈·권구황, 2007. “도시재생전략으로서의 도시문화마케팅해외사례 연구”, 「국토계획」, 42(5): 109-128. Oh, D.H. and Kwon, K.H., 2007. “A Case Study on the Regions Where Urban Regenerations were Tied by City Marketing through Culture”,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2(5): 109-128. 미소장
13 이순성, 2010, “문화예술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 한·중 비교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Lee, S.S., 2010. “A Comparative Study on the Urban Regeneration by Culture and Arts in Korea and China”, Master Thesis, The University of Seoul. 미소장
14 이영범·최순복, 2012. “문래동 철공_예술 창작촌 사례를 통한 지역재생에서의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역할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12(4): 73-90. Reigh, Y.B. and Choi, S.B., 2012. “A Study on the Role of Art&-Culture Programs in Process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Case of Mullae Steel Factory Art Village”, Journal of Korea Culture Industry, 12(4): 73-90. 미소장
15 이혜주·서리인, 2014. “뉴욕 하이라인(High Line) 공원에 나타난지속가능한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지속가능연구」, 5(3): 1-21. Lee, H.J. and Suh, L.I., 2014. “A Study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Urban Regeneration of the Line Park in New York”, Journal of Sustainability Research, 5(3): 1-21. 미소장
16 임동선, 2016. “도시공간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예술분야의 도시재생 지원 정책 연구: 네덜란드 Broedplaatsen 정책과 NDSM지역 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Lim, D.S., 2016 “A Study on Policy for Cultural Urban Regeneration Based on Urban Space”, Master Thesis, The University of Seoul. 미소장
17 Investigation on Community Revitalization Policy through Analysis of Urban Regeneration Cases in Germany 네이버 미소장
18 조명래, 2011. “문화적 도시재생과 공공성의 회복: 한국적 도시재생에 관한 비판적 성찰”, 「공간과 사회」, 37: 39-65. Cho, M.R., 2011. “Cultural Urban Regeneration and the Recovery of Publicness: Critical Reflections on the Korean Practices of Urban Regeneration”, Space and Environment, 37: 39-65. 미소장
19 조은영·김광구·강지선, 2018. “도시재생 시민참여과정 비교분석연구 –서울시 ‘서울로7017’과 ‘문화비축기지’사업 사례–”, 「한국비교정부학보」, 22(2): 165-189. Cho, E.Y., Kim, K.G., and Kang, J.S., 2018. “A Comparative Analysis of Public Participation Process in Urban Regeneration: Focused on ‘Seoullo7017’ and ‘Mapo Culture Tank’ Cases”,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2(2): 165-189. 미소장
20 전수빈·김정빈, 2018. “상향식 도시재생과정을 통한 공공 공간조성과정에서 참여적 주체의 역할에 대한 연구”, 「국토계획」, 53(1): 37-50. Jeon, S.B. and Kim, J.B., 2018. “A Study on the Role of Participations agent in the Process of Creating Public space through Bottom-Up Urban Regeneration Process - Focused on High Line in New york”,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3(1): 37-50. 미소장
21 최금화·권혁인, 2019. “AHP분석을 통한 문화·예술 기반 도시재생 중요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인천학연구」, 31: 81-119. Choi, K.H. and Kwon, H.I., 2019. “A Study on Major Factors of Arts and Culture-based Urban Regeneration Using the AHP”, The Journal of Incheon Studies, 31: 81-119. 미소장
22 Broder, J.M., 2012. “Deconstructing New York City’s High Line Park: The How, Why and Wherefore”, Journal of Transportation Law, Logistics & Policy, 79(3): 245-252. 미소장
23 Measure for Measure: Evaluating the Evidence of Culture's Contribution to Regeneration 네이버 미소장
24 David J. and Hammond R., 2011. High Line: The Inside Story of New York City’s Park in the Sky, New York: Farrar, Straus and Giroux. 미소장
25 Florida. R.L., 2004. Cities and the Creative Class, Routledge, New York: Wiley.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