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도서 앰블럼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핵전략의 내재적 딜레마와 북핵 대응전략의 선택 = The dilemma of nuclear strategy and a choice for dealing with North Korea's nuclear threat / 김정섭 인기도
발행사항
성남 : 세종연구소, 2021. 5. 30
수록지명
국가전략. 제27권 제2호 통권 제96호 (2021년 여름), p. 33-57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한국학술지인용색인(NRF)
제어번호
KINX2021155829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 제공 KCI 등재(후보)학술지
본문은 한국어, 요약문은 영어, 한국어 수록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모든 핵전략에는 완전히 극복하기 어려운 딜레마가 내재되어 있다. 핵무기 사용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줄이고자 하는 노력과 핵 억제가 깨졌을 경우의 대비책 강구가 서로 모순되고 충돌하는 것을 말한다. 억제 실패를 염두에 둔 핵 우위의 추구가 전략적 안정성을 해치고, 반대로 핵 억제에 중점을 둔다면 억제가 깨졌을 때의 준비가 취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소위 확증파괴 논리와 피해최소화 진영 간의 대립이라고 할 수 있다. 이글은 핵전략에 내재된 이런 딜레마를 통해 우리의 북핵 대응전략을 비판적으로 조망하고 있다. 북핵 위협에 대해 단순한 억제력 극대화나 전방위적 전력증강으로 접근하기보다는 각 선택지에 어떤 쟁점과 위험이 존재하는지, 그리고 가능한 최적의 정책 조합이 무엇인지 탐구해 보고자 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인공지능을 활용한 미래 항공우주 지휘통제체계 발전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future aerospace C4I system development plan using AI : focusing on airspace control, command determination support, and cyber security / 공역통제, 지휘결심지원, 사이버 보안 기능을 중심으로 김영수, 조관행 p. 5-31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핵전략의 내재적 딜레마와 북핵 대응전략의 선택 = The dilemma of nuclear strategy and a choice for dealing with North Korea's nuclear threat 김정섭 p. 33-57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독재체제 안정화 경로와 북한의 가산제(家産制) 권력집중 전략 = Dictators' regime stabilization strategies and North Korea's neopatrimonialization 김진하 p. 59-84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INF 조약과 한반도 군비통제 : INF treaty and arms control on the Korean Peninsula : success factors in concluding the treaty and its implic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 조약체결의 성공 요인과 한반도에의 함의 박철균 p. 85-113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국제안보 차원의 데이터 주권 논의의 이중성과 시사점 = Hybrid nature of the data sovereignty in the context of global security : perspectives, trends, and implications 유준구 p. 115-136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트럼프 행정부의 북핵외교 평가와 바이든 행정부의 북핵협상 과제 = An evaluation of Trump's North Korean nuclear diplomacy and tasks of the Biden administration's North Korean nuclear negotiations 전봉근 p. 137-162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동북아플러스 책임공동체 형성의 한계와 가능성 : Limits and prospects of Northeast Asia plus community of responsibility : focusing on the new northern policy / 신북방정책을 중심으로 최영미 p. 163-188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참고문헌 (3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정섭. 2015. “한반도 확장억제의 재조명: 핵우산의 한계와 재래식 억제의 모색.” 『국가전략』. 제21권 2호. pp. 5-40. 미소장
2 김정섭. 2021. “하노이 회담 이후 북한 전술・전략 무기 개발 동향과 핵 억제 교리 진화의 함의.” 『세종정책브리프』. 2021-6. 세종연구소. 미소장
3 김태형. 2020. “파키스탄의 핵 보유 이후 전략 변화.” 김태형 외. 『북한이 핵보유국이 된다면 어떻게 달라지는가』.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pp. 299-345. 미소장
4 반길주. 2020. “게임체인저로서 북한 SLBM 위협 고도화와 한국의 대응방안: 변화되는 게임진단과 상쇄전략.” 『국가전략』. 제26권 3호. pp. 119-150. 미소장
5 배학영. 2016. “북한 SLBM 상쇄(Offset) 방안: 전력건설을 중심으로.” 『국방연구』. 제59권 4호. pp. 79-102. 미소장
6 아이젠드래스, 크레이크 외. 2002. 『미사일 디펜스: MD, 환상을 좇는 미국의 방위전략』. 서울: 들녘. 미소장
7 이근욱. 2020. “핵 보유 이후 국가들의 행동방식 모델 이론.” 김태형 외. 『북한이 핵보유국이 된다면 어떻게 달라지는가』.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pp. 20-60. 미소장
8 이윤철・류해성. 2018. “북한 SLBM 비대칭위협에 대한 한국해군의 대응방안.” 『국방연구』. 제61권 2호. pp. 81-105. 미소장
9 조성렬. 2020.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과 우리의 대응전략.” 『군사논단』. 100권 특별호. 미소장
10 황일도. 2017. “북한의 ICBM 보유 이후 한국의 대응: 1960년대 유럽 사례의 함의.” 『주요국제문제분석』.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미소장
11 황일도. 2020. “미사일요격 체제의 적실성 검토를 위한 개념 연구.” 『정책연구시리즈』.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미소장
12 Bennett, Bruce W. et al. 2021. “Countering the Risks of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RAND-The ASAN Institute. https://www.rand.org/pubs/perspectives/PEA1015-1.html. (accessed: April 14, 2021). 미소장
13 Bundy, McGeorge. 1969. “To cap the volcano.” Foreign Affairs, 48, 1. pp. 1-20. 미소장
14 Campbell, Ian and Dodge, Michaela. 2020. “Deterring North Korea.” Survival. Vol. 61, No. 1. pp. 55-59. 미소장
15 Elleman, Michael. 2019. “North Korea’s Newest Ballistic Missile: A Preliminary Assessment.” 38 North. https://www.38north.org/2019/05/melleman050819/(accessed: March 1, 2021). 미소장
16 Elleman, Michael. 2020. “Preliminary Assessment of the KN-24 Missile Launches,” 38 North, https://www.38north.org/2020/03/melleman032520/(accessed: March 4, 2021). 미소장
17 Enthoven, Alain C. and Smith, K. Wayne. 2005. How Much is Enough? Shaping the Defense Program 1961-1969. Santa Monica, CA: RAND Corp. 미소장
18 Freedman, Lawrence. 1981. The Evolution of Nuclear Strategy. New York: St. Martin’s Press. 미소장
19 Green, Brendan R. and Long, Austin. 2017. “The MAD Who Wasn't There: Soviet Reaction to the Late Cold War Nuclear Balance.” Security Studies, 26, 4, pp. 606-641. 미소장
20 Jervis, Roberts. 1979/80. “Why Nuclear Superiority Doesn't Matter.” Political Science Quarterly. 94, 4. pp. 617-633. 미소장
21 Kahn, Herman. 1960. On Thermonuclear War.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미소장
22 Kaplan, Morton A. 1958. “The calculus of nuclear deterrence.” World Politics, 11, 1. pp. 20-43. 미소장
23 Kartchner, Kerry M. and Gerson, Michael S. 2014. “Escalation to Limited Nuclear War in the 21st Century.” in Jeffrey A. Larsen and Kerry M. Kartchner eds. On Limited War in the 21st Century.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24 Kaufmann, William. 1964. The McNamara Strategy. New York: Harper & Row. 미소장
25 Kissinger, Henry A. 1960. “Arms control, inspection and surprise attack.” Foreign Affairs, 38, 4. pp. 557-575. 미소장
26 Lewis, Jeffrey. 2021. “Preliminary Analysis: KN-23 SRBM,” James Martin Center for Nonproliferation Studies.” https://nonproliferation.org/preliminaryanalysis-kn-23-srbm/(accessed: March 4, 2021.). 미소장
27 Lieber, Keir A. and Press, Daryl G. 2017. “The New Era of Counterforce:Technological Change and the Future of Nuclear Deterrence.” International Security, 41, 4. pp. 9-49. 미소장
28 Mount, Adam and Rapp-Hooper, Mira. 2020. “Nuclear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Survival. Vol. 61, No. 1. pp. 39-46. 미소장
29 Narang, Vipin and Pand, Ankit. 2020. “North Korea: Risks of Escalation.” Survival. Vol. 61, No. 1. pp. 47-54. 미소장
30 Oppenheimer, Robert J. 1953. “Atomic weapons and American policy.” Foreign Affairs, 31, 4. pp. 525-535. 미소장
31 Roberts, Brad. 2013. “Extended Deterrence and Strategic Stability in Northeast Asia.” NIDS Visiting Scholar Paper Series. No. 1. 2013. 8. 9. http://www.nids.go.jp/english/publication/visiting/pdf/01.pdf. (accessed: November 17, 2014). 미소장
32 Russett, Bruce M. 1984. “Ethical Dilemmas of Nuclear Deterrence.” International Security, 8, 4. pp. 36-54. 미소장
33 Schelling, Thomas. 1960. The Strategy of Conflic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34 Snyder, Glenn H. 1961. Deterrence and Defense: Toward a Theory of National Security.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미소장
35 Wohlstetter, Albert. 1959. “The delicate balance of terror.” Foreign Affairs, 37, 2. pp. 211-234.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