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오늘날의 국제통화체제는 달러에 의존적인 국가들이 소비억제를 통해 제공하는 값싼 상품과 신용에 기반해 미국이 무한한 정책 자율성을 누리는 달러 패권 체제이다. 달러 패권은 이 같은 정책자율성 뿐만 아니라 세계 거래 네트워크에 대한 통제권 또한 미국에 부여한다. 세계의 모든 달러 자금 거래는 미국 영토 내에서 최종적으로 결제되는 바, 미국은 금융기관들의 결제시스템 접근권을 볼모로 정치 규범을 강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달러에 의존해 고속성장을 이루어낸 중국은 이제 그 정치적 굴레로부터 벗어나고자 하고 있다. 수출의존도를 줄이고 해외직접투자를 확대하여 달러에 대한 취약성을 낮추는 한편, 통화스왑이나 디지털 위안화 등을 통해 우회 결제통로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 같은 대응전략은 세계적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점, 자본유출을 야기하는 동시에 자본계정 개방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향후 미중 통화패권 경쟁의 구도는 중국이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지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The dollar hegemony makes self-contained nations support the US’unlimited policy autonomy by providing cheap exports and credits. The dollar also gives the US a control over the global transcational networks. As all the dollar-based transctions over the world are finally settled in the US territory, the state is empowered to impose certain political norms on the participants dependent on the networks. Meanwhile, China, which has grown on the back of the dollar, is now attempting to break away from its political fetter. Policies reducing dependence on exports, increasing FDI instead of holdings of dollar-assets, and developing alternative payment system based on the digital yuan are one of those attempts. Such attempts have a limit in that they are likely to ignite global inflation, and necessitate open capital account with the pressure of capital outflow ever-growing.*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