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도서 앰블럼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포용적 균형발전을 위한 EU 지역정책의 최근 특성과 정책적 함의 = The recent characteristics of the EU regional development policy for inclusive and balanced development, and policy iimplications / 김상민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유럽학회, 2022. 5. 30
수록지명
유럽연구 = (The)Journal of contemporary European studies. 제40권 2호 (2022. 여름), p. 27-68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한국학술지인용색인(NRF)
제어번호
KINX2022129435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 제공 KCI 등재(후보)학술지
본문은 한국어, 요약문은 영어, 한국어 수록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최근 메가시티와 초광역화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간 수도권으로의 인구, 산업, 경제활동의 집중으로 나타난 불균형 현상의 심화와 함께 지방도시의 쇠퇴와 소멸논의가 메가시티, 초광역화 논의를 촉발시켰다. 이러한 논의는 수도권과 지방간의 불균등을 극복하고, 국가 전체적인 차원에서의 균형발전을 도모하는데 근본적 목적이 있다. 우리보다 좀 더 일찍 역내 균형발전을 모색했던 대표적인 지역은 EU이다. 유럽의 경우 EU 회원국가들 또는 지역간 경쟁력 격차 발생으로 인한 유럽연합 전체의 통합적 결속력 약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고, EU 공동체의 균형적 발전과 지역통합을 위해서는 EU 차원의 대응노력이 꼭 필요하다는 공감대는 EU 지역정책의 태동으로 이어졌다. 1950년대 이후 현재까지 EU 지역정책은 여러 가지 특성으로 변화, 발전되어왔다고 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포용적 균형발전을 위한 EU 지역정책의 특성을 시기적으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특히 최근 EU 지역정책의 특성을 1) EU 공동체 차원의 균형발전과 낙후지역의 포용적 지원, 2) 경제 및 산업혁신과 사회혁신을 함께 고려하는 지역혁신 전략, 3) 다층적 레벨에서의 협력강화 전략의 측면에서 분석한다. 또한 지역간 협력을 통한 혁신과 공동의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는 핀란스의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 균형발전과 지역개발 전략 모색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대외정책 행위자로서 유럽의회의 역할에 관한 고찰 = The role of the European Parliament as foreign policy actors 고주현 p. 1-25
포용적 균형발전을 위한 EU 지역정책의 최근 특성과 정책적 함의 = The recent characteristics of the EU regional development policy for inclusive and balanced development, and policy iimplications 김상민 p. 27-68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중동부 유럽 자동차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Analysis of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the automobile industry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using industry linkage analysis : comparative analysis of changes between 2004 and 2014 / 2004년과 2014년간 변화 비교 분석 김종욱 p. 69-93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도시지역권(City-Regions) 거버넌스 분석 : An analysis of major factors in city-regions governace : a case study of Germany and the United Kingdom / 독일과 영국 사례 장혜영, 김주희 p. 95-123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동유럽 체제 전환 30년, EU 가입과 유고슬라비아 = The 30 years of socialist system transition in Eastern Europe, EU accession and Yugoslavia 김철민 p. 125-164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지역경제협력체의 글로벌 공급망 안보 측정 및 전략에 관한 논의 : Discussion on global supply chain security measures and strategies for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 examples of EU and CPTPP / EU 및 CPTPP의 사례 김현정, 황기식 p. 165-191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유럽연합 난민정책의 전환점? : Paradigm shift of common european asylum system? : focused on the Ukraine crisis and the temporary protection directive / 우크라이나 사태와 임시보호지침을 중심으로 박선희 p. 193-217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프랑스 가족정책 개혁 내용과 시사점 : Reform of French family policy and its implication : focusing on child/family allowance / 아동수당을 중심으로 손동기 p. 219-250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독일에서의 평등 돌봄을 향한 논의 : The discussion on equal care in Germany : focusing on the concept of caring masculinities / 돌보는 남성성 개념을 중심으로 안숙영 p. 251-271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러시아 천연가스 의존도와 반복되는 EU에너지 위기 = EU’s dependence on Russian natural gas and EU’s repeated energy crises 한희진, 안상욱 p. 273-296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저주받은 아이들 : Cursed children : Franco-German War children problem and historical reconciliation / 전후 프랑스-독일 전쟁아동 문제와 역사화해 오창룡 p. 297-316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독일 사례 분석을 통한 한국의 외국인력 도입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foreign workers in Korea through an analysis of German cases focusing on skilled workers / 전문인력을 중심으로 이은채 p. 317-355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난민의 무기화’에 대한 고찰 : Study on the weaponization of European Union's refugee issue : the implication of the European hybrid warfare on the unity in Europe / 유럽의 하이브리드 전쟁이 유럽통합에 주는 함의 이하얀, 강근선 p. 357-383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포스트포퓰리스트 정당 포데모스(PODEMOS) : PODEMOS as a post-populist party : the pluralist representative party with popular charisma / 대중 카리스마를 가진 다원주의적 대의 정치 정당 정병기 p. 385-408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참고문헌 (4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은경, EU 지역정책의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SNU-KIEP EU센터 연구시리즈』 08-02, (2008). 미소장
2 문남철, “유럽연합의 국경지역 협력정책: 공간적 차원의 접근” 『국토지리학회지』 제54권 3호 (2020),. 미소장
3 민성희 외, 『성장촉진지역 재지정 및 낙후지역 지원체계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국토연구원, (2019). 미소장
4 박채복, “유럽연합의 지역정책: 정책결정과정의 협력과 구조적 상관성”. 『정치정보연구』. 제14권 2호(2011). 미소장
5 이종서, “유럽연합 지역정책의 전망과 한계”. 『EU 연구』 제24호 (2009). 미소장
6 이희연, “유럽연합의 영역적 협력과 통합을 위한 지역정책의 발달과정과 전략”,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12권 2호(2009년), pp. 31-48 미소장
7 장재홍, 『지역혁신정책과 지역균형발전 간의 관계분석 및 정책 대응』, 산업연구원, (2005). 미소장
8 정서화, “사회혁신의 이론적 고찰: 개념의 유형화와 함의”, 『기술혁신학회지』, 제20권 4호 (2017). 미소장
9 정준호, “EU의 스마트 전문화 및 미국의 제조업 르네상스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한국 지역산업정책 방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9권 4호(2016). 미소장
10 정홍열, “유럽연합 지역정책의 발전과 전망”, 『유럽연구』 제13호(2001). 미소장
11 정홍열, “유럽연합 지역 결속정책의 발전과 미래과제”, 『국제지역 연구』 제25권 2호 (2021). 미소장
12 최윤기, 『EU의 지역개발정책 현황과 시사점』, KIET 산업경제, (2006). 미소장
13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 2021년 유럽의 지역별 혁신 현황 –Regional Innovation Scoreboard 2021, KISTEP 통계브리프 2021년 제14호. 미소장
14 허동숙·이병민, “산업과 문화의 협력: 스마트 전문화를 통한 지역 혁신성장 전략 모색”, 『국토지리학회지』, 제53권 1호(2019년), pp. 101-117. 미소장
15 허동숙, 『EU의 스마트 전문화 지역혁신정책 동향 및 시사점』, 국토연구원, (2020) 미소장
16 Brenner, N. “The role of European super regions”, Review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Vol. 5, No. 1(1998). 미소장
17 Brunazzo, M. “The history and evolusion of Cohesion policy”, in Piattoni, S. and Polverari, L(eds), Handbook on cohesion policy in the EU (Edward Elgar, 2016). 미소장
18 Carayannis, E. and Grigoroudis, E., “Quadruple Innovation Helix and Smart Specialization: Knowledge Production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Foresight and STI Governance, Vol. 10, No. 1. (2016). 미소장
19 Caulier-Grice, J., Davies, A., Patrick, R. and Norman, W., Defining Social Innovation(PartⅠ). A deliverable of the project: “The theoretical, empirical and policy foundations for building social innovation in Europe” (TEPSIE), European Commission – 7th Framework Programme, Brussels: European Commission, DG Research. 2012. 미소장
20 Caulier-Grice, J., Davies, A., Patrick, R. and Norman, W., Social innovation practices and trends(Part Ⅱ). A deliverable of the project: “The theoretical, empirical and policy foundations for building social innovation in Europe” (TEPSIE), European Commission – 7th Framework Programme, Brussels: European Commission, DG Research. 2012) 미소장
21 Caulier-Grice, J., Davies, A., Patrick, R. and Norman, W., Social innovation context and responses(Part Ⅲ). A deliverable of the project: “The theoretical, empirical and policy foundations for building social innovation in Europe” (TEPSIE), European Commission – 7th Framework Programme, Brussels: European Commission, DG Research. 2012. 미소장
22 European Commission, Europe 2020: A European strategy for smart, sustainable and inclusive growth, 2010. 미소장
23 Florida, R., Gulden, T. and Mellander, C., “The rise of the mega-region”, Cambridge Journal of Regions, Economy and Society, Vol. 1. No.3 (2008). 미소장
24 Gianelle, C., D. Kyriakou, C. Cohen and M. Przeor (eds), Implementing Smart Specialisation: A Handbook, (Brussels: European Commission, 2016). 미소장
25 Gilbert, N, Specht, H. & Terrell, P.,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5th ed), (Boston: Allyn and Bacon, 2002) 미소장
26 Hall, P. and Pain, K. (eds.), The Polycentric Metropolis: Learning from Mega-City Regions in Europe, (New York: Earthscan, 2006) 미소장
27 Marks, G., Structural Policy and Multilevel Governance in the EC. In Cafruny, A. & Rosenthal, G. (eds) The State of the European Community: Volume 2. (Lynne Rienner, Boulder CO, 1993). 미소장
28 Marks, G. & Hooghe, L., Contrasting Visions on Multi-level Governance, in Bache, I. & Finders, M.(eds.), Multi-level governance. (Oxford/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미소장
29 Marques, P. and Morgan, K., "The heroic assumptions of smart specialisation: A sympathetic critique of regional innovation policy." In New avenues for regional innovation systems-theoretical advances, empirical cases and policy lessons (Cham: Springer, 2018). 미소장
30 McCann, P. and Soete, L., Place-based innovation for sustainability, EU Commision. 2020. 미소장
31 Nogueira C, Pinto, H. and Sampaio, F., “Social innovation and smart specialisation: Opportunities for Atlantic regions”, European Public & Socail Innovation Review(EPSIR), Vol. 2, No. (2017). 미소장
32 Ohmae, K., “The Rise of Region State”, Foreign Affairs, (Spring, 1993). 미소장
33 Reitel, B. and B. Wassenberg, La coopération territoriale en Europe – Une perspective historique, Luxembourg: Office des publications de l’Union européenne (2015). 미소장
34 Richardson, R., Marques, P., Morgan, K., WP2: D2.2 Social Innovation for an Age Friendly Society. Smart Specialisation for Regional Innovation – SMARTSPEC project, EU Grant Agreement no: 320131. 2015. 미소장
35 Robinson, J., “Urban geography: world cities, or a world of cities”, Progress in Human Geography, Vol. 29, No. 6 (2005) 미소장
36 Schlüter, K., (Regional) Smart Specialization – A new push for regionalism in Europe?, Centre international de formation européenne, 2016. https://www.cairn.info/revue-l-europe-en-formation-2016-1-page-180.htm (검색일: 2022.5. 19). 미소장
37 Storper, M., The Regional World: Territorial Development in a Global Economy, (New York: Guilford Press, 1997) 미소장
38 Swyngedouw, E., “Either global nor local: glocalization and the politics of scale” in Cox, K. (ed.), Spaces of Globalization: Reasserting the Power of the Local, (New York: Guilford Press, 1997). 미소장
39 TEM, The Six City Strategy—Open and Smart Services. The Cooperation Strategy of the Six Largest Cities in Finland,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the Economy on 9 June 2014 (TEM/1092/09.02.01/2014), Update 5/2015. Available online: https://6aika.fi/wp-content/uploads/2015/11/6Aika-strategia_p%C3%A4ivitys_2015_EN.pdf (검 색일: 2022. 5. 19). 미소장
40 TEPSIE, Social Innovation Theory and Research: A Summary of the Findings from TEPSIE, A deliverable of the project: “The theoretical, empirical and policy foundations for building social innovation in Europe” (TEPSIE), European Commission – 7th Framework Programme, Brussels: European Commission, DG Research, 2015. 미소장
41 Young Foundation, “Defining social innovation. Part I”, 2012. https://youngfoundation.org/wp-content/uploads/2012/12/TEPSIE.D1.1.Report.DefiningSocialIn novation.Part-1-defining-social-innovation.pdf (접속일: 2022. 05. 19).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