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EU와 미국의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각 수출 품목별 부담액을 추정하였다. 2026년부터 시행 예정인 EU 탄소국경조정제도의 적용 품목인 철강, 유기화학, 플라스틱, 알루미늄, 시멘트 등 5개 품목을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품목별 탄소집약도 및 수출액과 탄소배출권 가격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EU의 탄소가격은 EU 탄소배출권 가격을 사용하여 계산한 결과, EU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으로 5개 품목에 대해 약 5,309억 원의 부담액이 예상된다. 2024년부터 탄소국경세 시행이 제안되고 있는 미국의 경우 탄소의 사회적 비용(Social Cost of Carbon)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약 2,144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국회예산정책처 등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했을 때, 본 연구는 HS 코드를 기반으로 계산하여 차이가 발생했으며, 탄소 가격의 격차가 최근 더욱 커졌기 때문에 본 연구의 부담액이 더 크게 나타났다. 품목 중 철강의 부담액이 가장 크며, 철강은 EU 도입으로 對EU 수출액 대비 약 10.9%를 탄소국경조정제도 부담액으로 추가 지불해야 한다. 그러나, 탄소국경조정제도의 대상 품목이 확장될 가능성이 있고 탄소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영향이 더욱 커질 수 있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 우리나라 산업구조의 저탄소화, 재생에너지 투자를 위한 유인 확대 등의 정부의 대응이 필요하다. 또한, 기업 차원에서는 저탄소 기술에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하며, 기후변화 대응 역량을 내재화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