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Chang, Chih-yuan, (2019). Analysis of the Legal System of Public Building Accessibility in Taiwan. International Journal of Gerontology Special Issu, 83-87. | 미소장 |
2 | Chang, Hae-jin, (2023). International Comparison of Universal Design Policie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36(1), 137-163. | 미소장 |
3 | Chang, Heng-hao, (2021, March). How well does taiwan support people with disabilities?: Taiwan Insight. https://taiwaninsight.org/2021/03/09/how-well-does-ta iwan-support-people-with-disabilities/ | 미소장 |
4 | Huang, Shih-hsuan, Chang, Kai-kuo, & Yeh, Tsu-hurng, (2022). An Observation of Accessible Elevator Users in Taipei MRT System. Journal of Rapid Transit System and Technology, 57, 15-40. | 미소장 |
5 | Hwang, Dong-ho, (2019). A Study on the Policy Status of Universal Desig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4(4), 43-52. | 미소장 |
6 | Kim, Bo-ine, (2013). Cultural Similarity and Difference among Asian Countries: Comparison among Korea, China, Philippines, and Kazakhstan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ASIAN STUDIES, 16(3), 25-52. | 미소장 |
7 | Kim, Gyu-ri, Jang, Young-ho, & Kim, Joo-yun, (2021). A Study on the Direction of Universal Design Policy Considering the Safety Vulnerable in Public Cultural Facilities a Study on the Subjec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6(1), 349-358. | 미소장 |
8 | Kim, Yeon-myung, (2013). Characteristics and Prospect for the Korean Welfare State: Focusing on Comparison with Southern European Welfare Regim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36, 27-59. | 미소장 |
9 | Lee, Sul-ki, Hong, Seong-in, & Lim, Soo-young, (2017). A Study on Ongoing Universal Design Ordinances and the Improvement in Korea - Focusing on Comparing with Metropolitan Municipalities -.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3), 61-67. | 미소장 |
10 | Lee, Yeun-sook, Lee, So-young, Yeo, Wook-hyun, Jang, Mi-seon, Lee, Sun-min & Lee, Yoo-jin, (2007). Universal Design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Japanese model houses. KIEAE Journal, 7(1), 5-13. | 미소장 |
11 | Park, Soo-jin, (2014). Generality and Specificity of Landform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Sustain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9(5), 656-674. | 미소장 |
12 | Steven, Crook, (2018, 12). Accessibility for Taiwan’s Disabled: A Work in Progress: Taiwan Business Topics. https://topics.amcham.com.tw/2018/12/accessibility-for -taiwans-disabled-a-worked-in-progress/ | 미소장 |
13 | You, Min-bong, Shim, Hyun-gin, (2013). A Study 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Discovering Its Categories Using the Cultural Consensus Model.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9(3), 457-485. | 미소장 |
14 | 고영준, 안상락, 윤흥순, & 금은별, (2012). 유니버설디자인 실태분석 및 문화적 적용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 미소장 |
15 | 김경수, 허가형, 유근식, & 김상미, (2021). 인구구조 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 OECD국을 중심으로. 국회예산정책처. | 미소장 |
16 | 박선권, (2022).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저출산 대응을 중심으로. 국회입법조사처. | 미소장 |
17 | 배융호, (2017). 한국과 일본의 장애인 접근권 정책 비교 연구 -편의시설과 이동권을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석사논문. | 미소장 |
18 | 안성호, (2007, June). 모든 사람들을 위한 건축디자인, 유니버설디자인: 건축사신문. http://archinews.net/컬럼-문화/건축사랑방/4674 | 미소장 |
19 | 원종욱, 임완섭, & 김태은, (2012). 사회환경에 따른 복지지출수요와 경제주체별 재정부담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미소장 |
20 | 유동철, (2005). 한국 장애운동의 성과와 과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1, 5-32. | 미소장 |
21 | 이신해, & 류청한, (2020). 서울시 대중교통시설 교통약자 접근성 평가지표 개발:도시철도와 역사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 미소장 |
22 | 이채정, 이상직, 박경숙, 탁현우, 오민지, 양정윤, & 육영우, (2021). 국가별 인구구조 및 사회지출 비교·분석. 국회미래연구원. | 미소장 |
23 | 이형복, (2019). 유니버설디자인 선도도시화를 위한 정책연구. 대전발전연구원. | 미소장 |
24 | 정은하, (2016). 세계와 도시 12호: 해외의 고령친화도시 정책 사례와정, 시사점. 서울연구원. | 미소장 |
25 | 최경수, 문형표, 신인석, & 한진희, (2003).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 과제. 한국개발연구원.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