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구민성. (2023. 5. 11.). “7년 뒤 병역자원 반토막…복무기간 18→24개월 연장, 여성 징병제고려해야.” TV조선 뉴스 . (검색일: 2023. 6. 1.).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5/11/2023051190186.html. | 미소장 |
2 | 국방부. 「국방개혁에관한법률」. (법률 제19073호, 2022. 12. 13., 일부개정). | 미소장 |
3 | 국방부. 「임기제부사관제 운영규정 개정」(대통령령 제31799호, 2021. 6. 22.,전부개정). | 미소장 |
4 | 국방부. (2022). 2022 국방 양성평등 통계 . | 미소장 |
5 | 국방부. (2023. 3. 28.). “국방부 국회인구특위 업무보고.” 인사이트 | 미소장 |
6 | 김관용. (2023. 5. 28.). “병력 40% 축소 불가피…2040년대 국군의 모습은?.” 이데일리 . https://n.news.naver.com/mnews/hotissue/article/018/0005495665?cid=1064733. (검색일: 2023. 6. 1.). | 미소장 |
7 | 김승욱. (2023. 7. 8.). “인구절벽 직면한 군, 관련법 ‘상비병력 50만명 목표’삭제.” 연합뉴스 . https://www.yna.co.kr/view/AKR20230708030700504.(검색일: 2023. 7.8.). | 미소장 |
8 | 김신숙. (2020).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 서울: 메디치. | 미소장 |
9 | 김신숙・박형준. (2016). “병역 대체복무제도의 변동과정고찰과 변화 요인분석.” 국정관리연구 제11권 제3호. pp. 85-115. | 미소장 |
10 | 김태훈. (2015. 7. 16.). ““군대 가고 싶어요”… 입영 적체 현상 심각.” SBS 뉴스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076509&plink=COPYPAS TE&cooper=SBSNEWSEND. (검색일: 2023. 6. 1.). | 미소장 |
11 | 박수윤. (2023. 6. 13.). “소령, 중령 진급 못해도 50세까지 복무…정년 5년 연장.” 연합뉴스 . https://www.yna.co.kr/view/AKR20230613113100504.(검색일: 2023. 6. 15.). | 미소장 |
12 | 박진수. (2022). “인구감소시대 대안적 병역제도 연구: 모병제와 여성징병제 쟁점을 중심으로.” 국방연구 제65권 3호. pp. 237-270. | 미소장 |
13 | 신다윗・정철우. (2016). “미국 예비군의 발전 사례를 통한 한국 예비전력 정예화를 위한 제언.” 주간국방논단 . pp. 16-54. | 미소장 |
14 | 이병철. (2023. 3. 3.). “군, 국방혁신 4.0 기본계획 발표.” 조선일보 . https://biz.chosun.com/policy/politics/2023/03/03. (검색일: 2023. 6. 1.). | 미소장 |
15 | 이웅. (2017). “한국군 병역제도 유형에서의 인력활용 효율성 향상 방안 연구: 경제적 측면을 중심으로.” 정책개발연구 제17권 1호. pp. 1-32. | 미소장 |
16 | 이학기 외. (2018). “기술발전으로 인한 업무 자동화와 일자리 대체 가능성 추정 및 정책방안 연구.” 기본연구 제18권 3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미소장 |
17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022. 12. 28.). 보도자료: 인구구조 변화와 대응방안. | 미소장 |
18 | 조관호. (2019). “미래 병력운영과 병역제도의 고민.” 주간국방논단 . pp. 1-15. | 미소장 |
19 | 조현숙. (2022. 2. 11.). “저출산 후폭풍…5년새 대학생 24% 병역대상 30% 줄어든다.” 중앙일보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47269#home (검색일: 2022. 10. 3.). | 미소장 |
20 | 하채림・이상현. (2023. 3. 23.). “초급간부, 지원 반토막에 이직급증… 병 보수 인상에 심화우려(종합).” 연합뉴스 . https://www.yna.co.kr/view/AKR20230323067151504.(검색일: 2023. 6. 1.). | 미소장 |
21 | 홍석희・김진. (2023. 3. 29.). “인구대책 가져오랬더니…“현역판정 늘리겠다”는 국방부.” 헤럴드경제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30328000124. (검색일: 2023. 6. 1.). | 미소장 |
22 | Haltiner, K. W. (1998). “The Definite End of the Mass Army in Western Europe?.” Armed Forces & Sociology, Vol. 25, No. 1. pp. 7-36. | 미소장 |
23 | McConville, James C. (16 February 2021.). “People First: Insights from the Army’s Chief of Staff.” U.S. Army. https://www.army.mil/article/243026/people_first_insights_from_the_armys_chief_o f_staff. (검색일: 2023.6.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