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북제주군기
북제주군의 상징물
북제주군민 헌장
북제주군 「노인존경군」 선언문
맑고 푸른 북제주21 환경선언문
북제주군의 노래
발간사 / 현한수
축사 / 박방규
사진으로 본 북제주군 60년
목차
일러두기 107
제1편 지리 109
제1장 지리적 기초 111
제1절 위치와 영역 111
1. 행정구역 조직과 면적 111
2. 위치 115
제2절 지역 구조 117
1. 자연 지리적 구조 117
2. 인문 지리적 구조 120
제2장 자연지리 124
제1절 지질과 지형 124
1. 지질 124
2. 지형 128
3. 토양 147
제2절 기후와 식생 150
1. 기후 특성 150
2. 기후 경관 153
3. 식생 분포 156
제3절 육수(陸水)와 해양(海洋) 158
1. 하천 158
2. 지하수 161
3. 해양 163
제3장 인문지리 165
제1절 인구 166
1. 인구 변화 166
2. 인구 구조 174
3. 인구 문제와 전망 180
제2절 취락 182
1. 취락의 입지와 성장 182
2. 경제 기반 185
3. 공간구조와 생활권 188
4. 지역 문제와 발전 방향 197
제4장 지역 지리 200
제1절 한림읍 200
제2절 애월읍 209
제3절 구좌읍 217
제4절 조천읍 221
제5절 한경면 225
제6절 추자면 229
제7절 우도면 231
제5장 동 · 식물 234
제1절 동물 234
1. 육상 동물 234
2. 해양 동물 256
제2절 식물 266
1. 북제주군의 삼림대별 식물 및 식생의 분포 266
2. 기념물 지정 식물 및 식물군락지 274
3. 해양 식물 282
제2편 역사 321
제1장 선사시대 323
제1절 제주도 선사문화의 시기 구분 323
제2절 구석기시대 326
1. 섬의 형성 과정과 홍적세 환경 326
2. 구석기 유적의 성격과 검토 327
제3절 유문토기시대 328
1. 신석기문화의 형성과 전개 328
2. 북제주의 유적과 유물 336
제4절 무문토기시대 340
1. 주민의 정착과 마을 형성 340
2. 북제주의 유적과 유물 342
제5절 탐라시대 345
1. 탐라 형성기의 시기 구분과 취락의 형성 345
2. 북제주의 유적과 유물 350
3. 동굴입구 · 바위그늘 집자리의 검토 352
4. 북제주의 고인돌 검토 356
5. 유물의 검토 361
제6절 탐라국시대 362
1. 탐라국의 형성 362
2. 탐라국 주민의 생활용기 분석 365
3. 탐라 전기에서 탐라 후기로의 토기 변화 369
4. 탐라국시대의 대표 유적 371
제7절 제주 상고문화의 성격과 연구 방향 378
제2장 고대사 381
제1절 개관 381
제2절 원주족의 도래 382
1. 한반도 계통 382
2. 중국 계통 385
3. 남방 계통 387
4. 주호(州胡)는 누구인가 388
제3절 탐라의 건국 391
1. 건국 신화 391
2. 건국 시기 393
3. 고대의 국호 394
4. 탐라 국호의 유래 397
제4절 삼국과의 관계 400
1. 백제 400
2. 고구려 403
3. 신라 404
제5절 중국과의 관계 406
1. 후한(後漢) 시대 406
2. 수(隨)나라 시대 409
3. 당(唐)나라 시대 411
제6절 일본과의 관계 415
1. 공통 문화권 415
2. 왜국(倭國)과의 교류 417
제3장 중세사 420
제1절 개관 420
제2절 번국시대(藩國時代) 420
1. 성주와 왕자 420
2. 무산계의 수여 421
3. 구당사의 파견 422
4. 방물(方物) 진상 422
5. 고려 조정에서의 사환(仕宦) 423
제3절 군현시대(郡縣時代) 424
1. 군 · 현(郡縣) 체제 424
2. 탐라현의 편제 425
3. 지방관의 파견 426
4. 민란의 배경 428
5. 민란의 사례(事例) 429
제4절 삼별초의 입도 431
1. 해상요충지 탐라 431
2. 삼별초의 입도 433
3. 내성 · 외성의 구축 435
4. 삼별초의 해상 활동 436
5. 삼별초에 대한 회유책 438
6. 삼별초 정벌 439
제5절 고려 · 원과 탐라 441
1. 탐라국초토사(耽羅國招討司) 441
2. 탐라총관부(耽羅總管府) 441
3. 탐라 진수군(耽羅鎭守軍) 443
4. 원대(元代)의 목장 445
5. 동 · 서아막(東西阿幕)의 설치 446
6. 공마(貢馬)와 공부(貢賦) 447
7. 민란의 재연 449
제6절 원 · 명 교체기의 탐라 450
1. 원대(元代)의 목호(牧胡) 450
2. 목호란의 사례 451
3. 명(明)의 마필 요구 454
4. 최영의 목호 토벌 456
5. 관군과 목호의 접전 457
6. 고려와 원 · 명(元明)의 유배인 460
제7절 목민관 일람 461
제4장 근세사 463
제1절 개관 463
제2절 지방제도와 행정 편제 464
1. 삼읍의 정립 465
2. 향소 468
3. 경재소 468
4. 동 · 서 방리직제 469
5. 홍화각과 관덕정 470
제3절 목마장과 마정 473
1. 목마장 설치의 배경 473
2. 마정(馬政) 474
제4절 외세 침입과 방어시설 478
1. 왜구의 침입 478
2. 을미 · 병진의 왜변 480
3. 방어 시설 481
4. 수군의 혁파 485
5. 제주의 군제 488
제5절 흉년과 진휼 489
1. 제주의 흉년 489
2. 진휼 당상 491
3. 진곡 부정과 강봉서의 탄핵 496
제6절 진상과 민란 498
1. 진상 498
2. 민란 504
제7절 목민관 510
1. 조선시대 제주의 행정 운영 510
2. 제주목사 역임자 515
3. 제주판관 역임자 526
제8절 유배인 533
1. 개관 533
2. 조선 전기 535
3. 조선 후기 537
4. 구한말 541
제9절 표류 · 표도인 543
1. 중국에 표류한 사례 543
2. 일본에 표류한 사례 544
3. 유구국(琉球國)에 표류한 사례 545
4. 안남에 표류한 사례 550
5. 표류민의 송환과 읍호환칭 551
6. 표류인들이 남긴 표해록 552
7. 이국인의 제주 표도 554
제5장 최근세사 565
제1절 개항기 565
1. 지방행정의 변화와 새로운 세력의 등장 565
2. 지방재정의 악화와 지역민의 부담 568
3. 경제와 산업의 변화 571
4. 일제의 어장 침탈과 지역민의 대응 575
5. 민란의 발발 578
제2절 일제강점기의 제주 581
1. 식민지 지배체제의 구축 581
2. 일제의 자본 침탈 584
3. 일제의 제주도 개발 계획 588
4. 중심지 이동 590
5. 제주도 전역의 군사요새화(1940년대 말) 598
제3절 항일운동 602
1. 일제강점기 전반기 항일운동(1910~1920년대) 603
2. 일제강점기 후반기 항일운동(1930~40년대) 608
제6장 현대사 615
제1절 광복공간의 제주사회 615
1. 8.15광복 615
2. 광복공간의 상황 616
제2절 4.3 사건 627
1. 개요 627
2. 배경 631
3. 전개 과정 643
4. 피해 상황 662
제3편 정치 · 행정 665
제1장 정치 667
제1절 북제주군 지역의 정당 활동 667
1. 제1 · 2 공화국 시대의 정당 활동 667
2. 제3공화국 시대의 정당 활동 669
3. 제4 · 5공화국 시대의 정당 활동 671
4. 제6공화국 이후의 정당 활동 673
제2절 선거 677
1. 대통령 선거 677
2. 국회의원 선거 689
3. 국민투표 710
4.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715
5. 읍면의원 선거 721
제2장 행정 734
제1절 군제 실시 이전의 행정 734
1. 고려시대의 행정 734
2. 조선시대의 행정 738
3. 일제강점기의 행정 753
제2절 군제(郡制) 실시 이후의 북제주군 행정 761
1. 군제의 실시 761
2. 연대별 북제주군 행정 개관 762
제3절 행정구역의 변천 784
1. 군 행정구역의 변천 과정 784
2. 읍면 행정구역의 변천 788
3. 이(里) 793
제4절 행정 기구의 변천 794
1. 군제(郡制) 실시 이전의 행정 기구 794
2. 군제 실시 이후의 행정 기구 797
제5절 군정 시책의 변천 814
1. 군제(郡制) 실시 이전의 군정 시책 814
2. 군제 실시 이후의 군정 방침의 변천 815
3. 민선 1기(1995~1998)의 군정 주요시책 817
4. 민선 2기(1998~2002)의 군정 주요시책 826
5. 민선 3기(2002~2006)의 군정 주요시책 835
6. 역대 군수의 시정방침과 연도별 주요시책 840
제6절 분야별 행정 842
1. 기획감사 842
2. 문화공보 847
3. 총무 854
4. 지역경제 870
5. 종합민원 874
6. 재정 883
7. 도시 890
8. 관광 교통 902
9. 사회복지여성 910
10. 환경관리 924
11. 농정 931
12. 축산영림 943
13. 해양수산 948
14. 건설 953
15. 재난안전관리 957
16. 직속기관 966
17. 사업소 987
제7절 일선행정 1003
1. 한림읍 1003
2. 애월읍 1005
3. 구좌읍 1008
4. 조천읍 1010
5. 한경면 1013
6. 추자면 1015
7. 우도면 1017
제3장 지방자치 1020
제1절 개관 1020
제2절 지방 선거 1022
1. 지방자치단체장 선거 1023
2. 기초 및 광역의회 선거 1027
제3절 주민투표 1035
제4절 북제주군의회 1041
1. 북제주군의회 출범 1041
2. 의정활동 1043
3. 특별위원회별 주요 의정 활동 1050
4. 의정 활동의 성과 1056
제4편 사회 · 교육 1061
제1장 북제주군 마을 개황 1063
제1절 북제주군 읍면(邑面) 개요 1063
1. 한림읍(翰林邑) 1063
2. 애월읍(涯月邑) 1064
3. 구좌읍(舊左邑) 1064
4. 조천읍(朝天邑) 1065
5. 한경면(翰京面) 1066
6. 추자면(楸子面) 1066
7. 우도면(牛島面) 1067
제2절 북제주군 마을 개관 1068
1. 한림읍 1068
2. 애월읍 1072
3. 구좌읍 1078
4. 조천읍 1080
5. 한경면 1082
6. 추자면 1085
7. 우도면 1086
제2장 사회 1087
제1절 사회운동 1087
1. 각종 주민운동의 분출 1087
2. 골프장 반대운동 1090
3. 종합관광단지 묘산봉 개발 반대 운동 1091
4. 주민운동의 의의와 전망 1093
제2절 가족과 궨당 1094
1. 가구의 규모와 형태 1094
2. 가족 생활과 궨당문화 1098
제3절 여성 1100
1. 여성의 사회 참여와 활동 1101
2. 여성정책 1104
3. 고령화와 여성노인의 문제 1106
제4절 재외 군민 1107
1. 현황 1107
2. 재일동포 1108
3. 국내 · 외 제주도민 현황 1132
제5절 대외 교류 1149
1. 국내 교류 1150
2. 국제 교류 1152
3. 대외 교류의 과제와 전망 1167
제3장 보건 · 복지 1169
제1절 사회 복지 1169
1. 사회복지 제도의 발전 과정 1169
2. 북제주군 사회복지예산의 추이 1172
3. 국민기초생활보장 제도 1173
4. 사회복지사업 및 서비스 1176
제2절 보건행정 1189
1. 광복전 북제주군의 의료 1189
2. 의료기관의 변천 1190
3. 지역의 보건관리 1192
4. 의료보험의 도입 1195
5. 지역별 의료 상황 1196
제4장 환경 1219
제1절 정책 총괄 1219
1. 환경 현황 1219
2. 환경 정책 1219
제2절 수질 환경 1221
1. 수질오염원 현황 1221
2. 용천수 및 지하수 현황 1225
3. 상하수도 현황 1228
제3절 대기 환경 1233
1. 대기 오염 현황 1233
2. 대기질 영향 요인 1234
3. 대기관리 현황 1235
제4절 폐기물 환경 1237
1. 폐기물의 발생과 처리 1237
2. 폐기물처리 시설 확충 1239
3. 자원순환형 재활용 기반시설 확충 1243
4. 쓰레기 종량제 추진 1244
제5절 소음 및 진동 1246
1. 소음 · 진동 현황 1246
2. 소음 · 진동 관리 현황 1246
제6절 바다 환경 1248
1. 해양환경 현황 1248
2. 연안해역 오염 현황 1249
3. 해양관리 현황 1251
제7절 환경 교육 1252
1. 환경교육관 운영과 생태체험교육 실시 1252
2. 환경시범학교 운영 1253
3. 환경친화마을 운영 1254
제5장 교육 1255
제1절 옛 교육 1255
1. 조선시대 산북(제주목)의 교육 1255
제2절 근대 교육 1260
1. 제주목공립소학교 1260
2. 사립초등학교 1264
3. 일제강점기의 교육 1264
제3절 광복 이후의 교육 1274
1. 미 군정기의 교육 1274
2. 정부 수립 이후의 교육 1283
제4절 도단위 교육자치제 실시 이후의 교육 1295
1. 교육 행정 개관 1295
2. 학교의 설립 및 폐지 1303
3. 교육 내용의 변화 1332
4. 북제주군 교육의 전망과 과제 1340
북제주군지 편찬위원회 1345
판권기 1346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143347 | 915.198 ㅂ433ㅂ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1143348 | 915.198 ㅂ433ㅂ | v.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