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북제주군기
북제주군의 상징물
북제주군민 헌장
북제주군 「노인존경군」 선언문
맑고 푸른 북제주21 환경선언문
북제주군의 노래
발간사 / 현한수
축사 / 박방규
사진으로 본 북제주군 60년
목차
일러두기 108
제5편 산업경제 110
제1장 산업경제의 구조변화와 발전 112
제1절 개관 112
제2절 산업경제의 동태적 변화와 발전 112
1. 광복 이후 경제정체기 113
2. 경제개발 착수기 113
3. 고도 성장기 115
4. 개방경제시대 117
5. 국제자유도시 경제시대 119
제3절 산업경제의 부문별 변화 추이 122
1. 인구 및 노동력 122
2. 산업 부문별 변화 추이 127
제2장 농업 150
제1절 개황 150
제2절 농업의 자연 입지 152
1. 지형 152
2. 기상 153
3. 토양 155
제3절 농업의 변천 157
1. 농업인구의 변동 158
2. 경지규모와 농가구수 162
제4절 주요 작물 165
1. 식량작물 166
2. 공예작물 170
3. 채소 173
4. 감귤 174
5. 시설농업 177
제5절 농업 생산물 · 가공 · 유통 182
1. 농산물의 생산과 가공 182
2. 농산물의 유통과 반출 188
제6절 친환경농업의 필요성 및 현황 195
1. 환경농업의 필요성 196
2. Codex 유기식품 규격 197
3. 친환경농업 현황 199
4. 친환경 농업의 발전 방향 202
제3장 축산업 206
제1절 개황 206
1. 세계 가축사육 및 축산물 생산 동향 206
2. 우리나라 가축사육 및 축산물 생산량 추이 210
3. 북제주군의 축산 현황 210
제2절 가축사육의 추이 219
제3절 초지 조성 223
제4절 마을공동목장 225
제5절 전기업목장 229
제6절 가축위생 231
제7절 축산물의 가공 · 유통 및 소비 232
1. 축산물의 가공 및 유통 232
2. 축산물의 소비 235
제8절 결론 236
제4장 수산업 238
제1절 개황 238
제2절 수산환경의 입지 239
제3절 수산업의 변천 241
1. 개관 241
2. 수산업 인구 249
3. 기반시설과 사업 251
제4절 수산물 생산 · 가공 · 유통 258
제5절 해녀 261
1. 해녀의 정의와 제주도의 해녀 261
2. 제주해녀의 타 지역 진출 262
3. 북제주군의 해녀 현황 263
4. 북제주군 해녀의 수산물 생산 및 수출 현황 264
5. 해녀 보호육성 및 기념사업 265
제5장 임업 267
제1절 산림 개황 267
1. 임야 면적 267
2. 임목 축적 270
제2절 조림 사업 272
1. 조림 272
2. 양묘 272
3. 가로수 식재 273
제3절 산림 보호 274
1. 산림 피해 274
2. 병충해 구제 276
제4절 임산물 이용 277
제6장 상공업 280
제1절 발전 과정 280
제2절 상업 281
1. 개황 281
2. 도소매업 현황 283
제3절 공업 287
1. 개황 287
2. 제조업의 성장 289
3. 제조업 현황 291
제7장 수출 295
제1절 개황 295
제2절 북제주군의 수출 현황 297
1. 부문별 수출 현황 297
2. 업체별 수출 현황 303
3. 국가별 수출 현황 307
제3절 수출 진흥 방안 308
1. 수산물 수출 경쟁력 강화 309
2. 농산물 수출 경쟁력 강화 310
3. 공산품 수출 경쟁력 강화 312
4. 수출업체에 대한 지원 강화 312
제8장 재정 · 금융 314
제1절 개황 314
1. 재정 314
2. 금융 317
제2절 재정 320
1. 지방재정의 규모 320
2. 일반회계 322
3. 특별회계 328
제3절 금융 330
1. 관내 금융기관 점포 현황 330
2. 관내 금융기관 여수신 현황 332
제9장 관광 337
제1절 관광의 지리적 개요 337
제2절 자연관광 자원 340
1. 산과 계곡 340
2. 자연과 식생 345
3. 동굴 349
4. 해수욕장 353
5. 섬(島) 355
제3절 인문관광 자원 359
1. 유적지 359
2. 민속과 체험관광 364
3. 공원 372
제4절 관광산업의 발전 374
1. 1960년대 이전의 관광 374
2. 1960~1970년대의 관광 375
3. 1980~1990년대의 관광 377
4. 2000년대 이후의 관광과 전망 378
제5절 관광자원 현황 379
1. 관광자원의 개요 379
2. 자연 관광자원 현황 380
3. 인문 · 복합 관광자원 현황 383
4. 산업 관광자원 현황 384
5. 관광사업체 등 현황 386
제6절 관광객과 관광 수입 391
1. 관광객과 관광 수입 391
2. 형태별 관광객 수 391
제7절 제주도 관광 개발계획과 북제주군의 개발계획 397
1. 1960년대의 제주도 관광 개발계획 397
2. 1970년대의 제주도 관광 개발계획 398
3. 1980년대의 제주도 관광 개발 계획 400
4. 1990년대 이후의 제주도 관광 개발 계획 403
5. 제주도 주요 관광개발계획법과 북제주군의 관광개발 404
제8절 서비스업 420
1. 서비스 산업의 정의 및 분류 420
2. 북제주군 서비스산업 현황 423
제10장 사회 간접자본 430
제1절 전력 430
1. 개요 430
2. 전력사업 변천과정 431
3. 전력의 공급과 수요 434
제2절 정보 통신 440
1. 우리 나라 정보통신의 근원 및 발달 440
2. 제주도의 정보통신 변천사 440
3. 북제주군의 정보통신 발달 과정 442
4. 북제주군의 지역 정보화 449
5. 최근의 정보통신 변화 추세 452
제3절 교통 454
1. 개황 454
2. 육상교통 455
3. 운수업체의 현황 463
4. 주차시설 확충 465
5. 해상교통 467
제4절 도로 468
1. 개발 연혁 468
2. 국도 473
3. 지방도 477
4. 군도 481
5. 농어촌 도로 482
제5절 항만 487
1. 개발 연혁 487
2. 항만 488
3. 국가어항 493
4. 지방어항 494
5. 어촌정주어항 499
제6편 문화 · 체육 506
제1장 문화 · 예술 508
제1절 개관 508
제2절 문화 · 예술 관련 사업 509
1. 시범 문화마을 조성 509
2. 조천만세동산 성역화 공원조성 사업 510
3. 제주해녀항일기념관 공원 조성사업 521
4. 제주돌문화공원 조성사업 525
5. 저지문화예술인마을 조성 530
제3절 문화예술축제출연 현황 및 성과 535
1. 한국민속예술축제 출연 535
2. 전국청소년민속예술경연대회 출연 536
3. 탐라문화제 출연 537
제4절 문화관광축제 539
1. 정월대보름 들불축제 539
2. 수월노을축제 552
3. 동굴음악회 553
제5절 북제주군의 문화기반시설과 성과 554
1. 제주항일기념관 555
2. 제주해녀박물관 563
3. 평화박물관 565
4. 남강 이승훈 선생 적거지 566
5. 성 김대건 신부 제주표착기념 박물관 567
6. 도서관 567
7. 문화의 집 조성 운영 572
8. 역사적인 정신문화 기념탑 및 비(碑) 573
제6절 지역전통문화자원의 보전 · 전승 577
1. 북제주군 전통민요집 및 CD제작 577
2. 북제주군 「지명총람」 발간 577
제7절 지역주민들의 자발적 문화참여 유도 578
1. 문화학교 개관 578
2. 폐교활용 문화센터 조성 578
3. 옛 서당 운영 578
4. 도자기 문화체험 학습장 운영 579
제8절 문화단체 579
1. 북제주문화원 579
2. 문화예술단체 현황 580
제9절 예술활동 582
1. 문학 582
2. 음악 611
3. 무용 616
4. 미술 618
5. 서예 633
6. 연극 640
7. 사진 643
제2장 종교 658
제1절 유교 659
1. 관학(官學) 660
2. 사학(私學) 661
3. 목민관 및 유배인의 유교 진작(振作) 664
4. 결어 666
제2절 불교 667
1. 들어가는 글 667
2. 제주 불교의 기원 669
3. 고려시대 671
4. 조선시대 675
5. 근 · 현대의 제주 불교 678
6. 맺는 글 685
제3절 천주교 688
1. 여명기 689
2. 제주도 천주교회의 설립 691
3. 일제강점기의 천주교회 692
4. 광복 이후의 비약적 발전 693
5. 북제주군의 천주교회 694
제4절 기독교 696
1. 기독교의 유입 696
2. 기독교의 제주 선교 697
3. 교육사업 699
4. 북제주군 출신 애국지사 조봉호 700
5. 1930년 이후 일제강점기의 제주교회 700
6. 광복이후 1960년대 701
7. 1970년대 이후 오늘의 제주 기독교 703
제5절 원불교(圓佛敎) 705
1. 개관 705
2. 제주교구의 약사 706
3. 북제주군 지역의 원불교 교당 707
제6절 신흥종교 713
1. 북제주군에서 태생된 종교군(宗敎群) 713
2. 국내에서 태생된 종교군(宗敎群) 718
3. 일본에서 태생된 종교군 725
4. 미국에서 태생된 종교군 728
5. 중국에서 태생된 종교군 732
제3장 체육 733
제1절 개관 733
제2절 체육 조직 736
1. 북제주군체육회 및 읍 · 면 체육회 736
2. 북제주군 생활체육 협의회 738
제3절 체육 시설 741
제4절 도내 체육대회 출전 744
1. 도민체육대회 744
2. 도일주 역전경주 대회 746
제5절 대회 개최 747
1. 제39회 제주도민체육대회 747
2. 각종 체육대회 749
제4장 언론 · 출판 752
제1절 북제주군지역 언론의 범위 752
제2절 제주지방 언론의 사적 개관 753
1. 제주지방의 신문 753
2. 제주지방의 방송 761
3. 제주지방의 잡지 766
제3절 북제주군 지역의 언론 · 출판 768
1. 북제주지역의 신문 768
2. 북제주 지역의 방송 770
3. 북제주지역의 잡지 · 출판 774
제7편 민속 · 문화재 780
제1장 생활풍속과 통과의례 782
제1절 북제주 지역의 의식주 생활 782
1. 의생활 782
2. 식생활 791
3. 주생활 798
제2절 북제주군의 전래 혼 · 상례 807
1. 혼례(婚禮) 807
2. 상례(喪禮) 815
제3절 세시 풍속 829
1. 정월의 풍속 829
2. 이월의 풍속 832
3. 삼월의 풍속 833
4. 사월의 풍속 834
5. 오월의 풍속 835
6. 유월의 풍속 836
7. 칠월의 풍속 837
8. 팔월의 풍속 838
9. 구월의 풍속 838
10. 시월의 풍속 839
11. 십일월의 풍속 839
12. 십이월의 풍속 840
13. 윤달의 풍속 840
제4절 북제주의 민속연희 840
1. 멸치 후리는 노래 841
2. 조팥 다지는 노래[흙덩이 바수는 노래] 843
3. 산신놀이 844
4. 연신맞이 굿놀이 847
5. 불싸움 놀이 852
6. 연물놀이 856
7. 동김녕리 해녀노래 859
8. 서우젯 소리 862
9. 김녕리 「서낭굿 놀이」 864
10. 귀덕리 「배 만드는 소리」 866
11. 귀리 「겉보리 농사일 소리」 867
제2장 생산기술과 공예 874
제1절 생산기술 874
1. 경작과 파종 874
2. 제초와 시비 876
3. 수확 · 조정 887
4. 어로 893
5. 수렵 911
6. 축산 915
제2절 민속공예 920
1. 목공예(木工藝) 921
2. 관모공예(冠帽工藝) 922
3. 옹기공예(甕器工藝) 923
4. 불미공예[鑄物工藝] 925
5. 수경공예(水鏡工藝) 925
6. 석공예(石工藝) 926
7. 피혁공예(皮革工藝) 927
8. 초고공예(草藁工藝) 928
제3장 민간신앙 930
제1절 개관 930
1. 민간신앙의 의미와 변화 930
2. 제주의 민간신앙 931
제2절 잠수굿 935
1. 잠수굿의 의미 935
2. 잠수굿의 제차(祭次)와 그 역할 936
3. 잠수굿의 의의 943
제3절 북제주군의 신당 945
제4절 북제주군의 당신화 951
제4장 언어와 구비전승 958
제1절 북제주군의 언어지도 958
1. 들어가는 말 958
2. 북제주군 언어지도의 실제 959
3. 마무리 970
제2절 민요 971
1. 북제주군의 민요의 특성 971
2. 북제주군 향토 민요 971
3. 지역별 가창자와 민요 976
제3절 전설 991
1. 개관 991
2. 북제주군의 전설 992
3. 마무리 1001
제4절 속담 1001
1. 들어가며 1001
2. 속담에 따른 여성상 1002
3. 나가며 1009
제5장 문화재 1011
제1절 개관 1011
제2절 북제주군 문화재 1017
1. 국가지정문화재 1017
2. 제주도 지정 문화재 1035
3. 문화재 자료 1058
4. 등록문화재 1059
제3절 세계자연유산 1059
1. 세계유산 1059
2. 우리 나라의 세계유산 등재 1060
3. 제주자연유산 등재 1061
제4절 무형문화재 1065
1. 해녀 노래 1066
2. 영감놀이 1075
3. 송당리 마을제 1076
4. 납읍리 마을제 1078
5. 정동벌립장 1078
6. 멸치 후리는 노래 1079
7. 제주 큰굿 1083
8. 제주 불교의식 1084
9. 진사대 소리 1085
제5절 북제주군의 해녀문화 유산 1088
1. 해녀문화 유산의 중요성 1088
2. 해녀 문화유산 지정의 시급성 1089
3. 제주 해녀 문화유산 1089
4. 결어 1113
부록 1114
역대 북제주군수 명단 1116
역대 북제주군의회의원 명단 1117
역대 북제주군 부군수 명단 1119
북제주군 간부 공무원 명단 1120
역대 북제주군 읍면장 명단 1121
명예군민 현황 1128
북제주군 각종 위원회 현황 1130
북제주군 각종 기관 · 단체 현황 1133
북제주군정 주요일지 1172
편집후기 / 강봉수 ; 김인영 1393
북제주군지 편찬위원회 1394
판권기 1395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143349 | 915.198 ㅂ433ㅂ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0001143350 | 915.198 ㅂ433ㅂ | v.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