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제출문
목차
서론 5
호주의 교육개혁전략과 시사점 6
I. 호주교육의 개관 6
1. 기본방향 6
2. 학제 7
3. 교육과정 편제 8
4. 학교급별 교육제도 10
II. 호주의 교육개혁 16
1. 퀸즐랜드주의 New Basics Project(범교과적 교육과정) 16
2. 직업교육훈련(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VET) 17
3. 영재교육 18
5. 농어촌교육 - 농어촌 학교교육 육성 프로그램(Country Areas Program: CAP) 19
4. 다문화 교육 19
III. 호주의 교육개혁전략과 시사점 20
1. 일원화된 취학전 교육 20
2. 진로선택 및 직업교육의 다양성 20
3. 범교과적 교육과정 21
4. 영재교육 21
5. 다문화교육 21
싱가포르의 교육개혁전략과 시사점 22
I. 싱가포르교육의 개관 22
1. 기본방향 22
2. 학제 23
3. 교육과정 25
II. 싱가포르의 교육개혁 28
1. 초중등학교의 분권화·자율화 28
2. 교육 클러스터(education cluster) 30
3. 교육 경쟁력 확보 30
4. 고등교육: 수요에 따른 정원관리 및 국제화 31
5. Manpower 21(평생학습) 32
6. TLLM(Teach Less, Learn More) 33
7. 다문화 교육 34
III. 한국 교육개혁에 주는 시사점 34
1. 취학전 교육(유아 교육) 34
2. 초·중등 교육의 수준별(능력별) 교육 34
3. 능력과 적성에 따른 상위학교 진학체계 35
4.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강조 35
5. 학교의 자율성 신장 35
6. 평생학습 36
7. 다문화 교육 36
중국의 교육개혁전략과 시사점 37
I. 중국교육의 개관 37
1. 기본방향 37
2. 유아 및 초등교육: 유아원(幼儿园)+소학교(小学校) 39
3. 중·고등교육: 초급 중학교(初级 中学校)+고급 중학교(高级 中学俠) 39
4. 대학교육 40
5. 직업·평생교육 45
II. 중국의 교육개혁 46
1. 천인계획(千人计划) 47
2. 소질교육(素质敎育) 49
3. 직업 및 취업교육 50
4. 개성화교육 52
5. 지방농촌교육 제고계획 53
6. 교육부문 투자확대 54
7. 체육 및 예술교육 확대 55
8. 이공계 교육인프라 연대 및 제고 56
III. 한국 교육개혁에 주는 시사점 59
1. 지방특성화교육 59
2. 교사전문성 59
3. 유아교육부문 60
4. 체육과목에 대한 접근 60
5. 수능문제의 다양성 60
6. 강도 높은 학교재량권 부여 60
7. 다문화 교육 61
러시아 교육개혁과 시사점 62
I. 러시아교육정책의 기조 62
1. 러시아연방의 교육정책방향의 변화 62
II.러시아의 교육 제도 63
1. 일반의무교육 63
2. 비 대학 전문교육기관 64
3. 대학교육 64
III. 러시아교육제도의 문제와 개혁정책 67
1. 러시아교육정책개혁의 기조 67
2. 고등학교 교과개혁 67
3. 다문화적 종교-윤리 교육의 도입 69
4. 대학 입학제도 70
5. 대학교육의 문제와 제도 개혁 71
IV. 한국교육정책에 주는 시사점 75
1. 교과개혁 75
2. 대학입학제도 76
3. 대학교육과정 및 국제화 개혁 76
인도의 교육개혁전략과 시사점 77
I. 인도교육의 개관 77
1. 기본방향 77
2. 유아 및 초등교육 78
3. 중·고등교육 81
4. 대학교육 82
5. 직업교육 86
6. 평생교육 87
7. 인재교육사례: '마요칼리지(Mayo College)' 고등학교 88
II. 인도의 교육개혁 90
1. 직업교육훈련의 강화 90
2. '문맹퇴치프로그램(ILP)' 의 강화 93
3. IT전문가 양성교육 강화 96
4. 수능시험 폐지 98
5. 교육관련 비용 개선 98
III. 인도의 교육개혁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 99
IV. 한국 교육개혁에 주는 시사점 101
1. 지역별 자치권한 이양 101
2. 과정중심 교육 101
3. 직업교육의 실시 102
4. 시민 재교육 프로그램 103
5. 교육관련 자금력 확보 103
터키의 교육개혁전략과 시사점 105
I. 터키교육의 개관 105
1. 기본방향 105
2. 유아 및 초등교육 107
3. 중등교육(Ortaogretim) 109
4. 고등교육(Y ksek gretim) 111
5. 직업교육 113
6. 평생교육 114
II. 터키의 교육개혁 114
1. 직업교육 프로그램 강화 계획 114
2. 직업기술교육 현대화 계획 115
3. 중등교육 질적 제고 계획 115
4. 통신교육 활성화 116
5. 영유아·여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116
6. 이즈멕(Ismek)프로그램 활성화 117
7. 영어교육 강화 117
III. 터키 교육개혁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 118
IV. 한국 교육개혁에 주는 사사점 119
1. 소외지역 인프라 집중투자 119
2. 전통문화 교육프로그램 활성화 120
3. 직업교육의 병행화 120
북유럽의 교육개혁전략과 시사점 121
I. 북유럽교육의 개관 121
1. 기본방향(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순) 121
2. 유아 및 초등교육 125
3. 중·고등교육 126
4. 대학교육 129
5. 직업교육 132
6. 평생교육 134
7. 원격교육 135
II. 북유럽의 교육개혁 137
1. 이민자 통합교육 신설 138
2. 직업고등교육시설의 확충 139
3. '아동옴부즈맨' 의 확대 및 강화 139
4. 각 과목별 '필수이수시간' 단계적 폐지 140
5. 사립학교의 이익환원 140
6. '입학 전 교육(Pre-School Class)'의 정규과정화 141
7. '교사전문화 계획' 및 '교사양성프로그램'의 강화 141
III. 북유럽 교육개혁에 대한 종합 분석 143
1. 북유럽국가의 '사민주의식 공교육인프라' 144
2. 대학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지원정책 144
3. '영재교육기관'의 부재 145
4. 직업고등학교 및 직업교사의 낮은 전문성 145
5. 지역공동체의 직영교육프로그램 145
6. 사립학교의 이익환원제도 145
7. 과목담당에 대한 초등교사의 부담 145
8. 유아교육과정의 공교육화 146
IV. 한국 교육개혁에 주는 시사점 146
1. 초등학교의 시험 및 등수 폐지 146
2. 방과 후 활동의 다양화 147
3. '전국학력고사'의 성격 변화 147
4. 의무교육과정에서의 수영과목 전면화 147
5. '특성화 고등학교'의 지원 방안 148
6. 장애학생대우 149
7. 이민자 통합교육 149
8. 학생의 권리보호강화 149
결론 150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714409 | 379 -12-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