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대법관 법정…11 제2장 상류사회…19 제3장 경과…27 제4장 망원경적인 박애…49 제5장 아침의 모험…63 제6장 편안한 집…79 제7장 유령의 오솔길…104 제8장 수많은 죄를 덮고…116 제9장 신호와 징조…138 제10장 대서인…155 제11장 우리의 친애하는 형제…167 제12장 경계…184 제13장 에스더의 이야기…200 제14장 예의범절…218 제15장 벨 야드…243 제16장 톰 올 얼론스…261 제17장 에스더의 이야기…271 제18장 데들록 부인…287 제19장 멈춰 있지 마…307 제20장 새 하숙인…323 제21장 스몰위드의 식구들…338 제22장 버킷 경감…357 제23장 에스더의 이야기…372 제24장 항소사실기재서…393 제25장 스낙스비 부인, 모든 것을 꿰뚫어 보다…414 제26장 저격병들…424 제27장 노병은 한 명이 아니다…440 제28장 철기 제조업자…454 제29장 젊은 남자…467 제30장 에스더의 이야기…478 제31장 간병인과 병자…497 제32장 약속의 시간…515 제33장 침입자…530 제34장 조이기…545 제35장 에스더의 이야기…562 제36장 체스니 월드…578 제37장 잔다이스 대 잔다이스 사건…595 제38장 고투…616 제39장 변호사와 의뢰인…627 제40장 국가의 문제와 가정의 문제…644 제41장 털킹혼 씨의 방에서…657 제42장 털킹혼 씨의 사무실에서…668 제43장 에스더의 이야기…676 제44장 편지와 답장…694 제45장 약속…702 제46장 그 애를 붙잡아!…716 제47장 조의 유언…726 제48장 닥쳐오는 것…742 제49장 직무와 우정…760 제50장 에스더의 이야기…775 제51장 의문이 풀리다…786 제52장 고집스런 사람…799 제53장 수사의 도정…811 제54장 지뢰폭발…822 제55장 도망…843 제56장 추적…858 제57장 에스더의 이야기…867 제58장 겨울날의 낮과 밤…886 제59장 에스더의 이야기…899 제60장 미래에 대한 희망…913 제61장 뜻하지 않은 발견…927 제62장 또 하나의 발견…939 제63장 철(鐵)의 나라에서…949 제64장 에스더의 이야기…957 제65장 새로운 출발…969 제66장 링컨셔에서…977 제67장 에스더의 이야기…981
찰스 디킨스 생애와 그의 작품들…986 찰스 디킨스 연보…1006
이용현황보기
황폐한 집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939974
823 -14-26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939975
823 -14-26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인간의 관습에 지배되어 생명력을 잃어버린 세계 수백 년 이어진 증오 불신 해악 퇴폐의 근원은 무엇인가 영문학사 가장 뛰어난 이야기꾼 원숙한 사회비판!
셰익스피어에 비견되는 위대한 예술가! 찰스 디킨스는 첫 장편소설《피크위크 페이퍼스》를 쓴 이래 마지막 작품《에드윈 드루드의 비밀》을 채 완성하지 못한 채 병석에서 눈을 감을 때까지 세계가 인정하는 영국소설문학의 일인자였으며, 오늘날도 영국소설가 가운데 가장 위대한 천재이자 셰익스피어에 버금가는 대문호로서 인정받고 있다. 잡지편집, 낭독회, 연극 등 여러 분야에서도 재능을 발휘한 뛰어난 예술가이자 왕성한 활동가였다. 디킨스가 그렸던 세계는 그가 세상을 떠난 지 140여 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그의 모국뿐만 아니라 세계 모든 나라에서 여전히 이어지는 수많은 문제와 희망을 담고 있다.
안개와 진창 투성이 사회를 향한 일침! 디킨스는 작가로서 원숙해져 가면서 사회제도나 조직.계급 전체로, 더 나아가 사회악의 근원으로 눈을 돌렸다. 그 대표적인 작품이 바로《황폐한 집》이다. ‘런던의 명물’인 안개가 온 도시를 어둡게 뒤덮고, 매연이 섞인 검은 비가 내려 거리는 진창으로 뒤덮인다. 그 안개와 진창의 중심에 있는 대법관 법정에서는 ‘잔다이스 대 잔다이스’ 사건 심리가 40년 가까이나 이어지고 있다. 좀처럼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 지루한 법정 공방으로, 소송 당사자 가운데 파산하거나 미쳐버리거나 심지어 자살하는 사람까지 생겨났다. 소송은 손자 대까지 이어져 증오와 불신, 그 밖의 수많은 해악과 퇴폐의 근원이 되었지만, 소송 자체는 오리무중으로 빠져들어 그 결말은 어느 누구도 짐작조차 할 수 없다. 이 ‘안개’와 ‘진창’은 템스 강 하류와 상류, 인근의 모든 주, 아니 영국 전역을 뒤덮는다. 끝을 알 수 없는 진흙탕 같은 소송이 진행되는 법정, 그리고 레스터 데들록 경과 레이디 데들록을 둘러싼 사교계, 에스더의 이야기가 그물처럼 촘촘히 엮여, 그 무렵 런던 상류사회와 법조계에 짙게 깔린 부조리를 비판한다.
두 시점으로 바라보는 사회악의 근원! 《황폐한 집》 전체는 작중인물인 에스더의 수기와,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 쓰인 장이 교대로 펼쳐진다. 이 두 시점에서의 서술이 줄거리 전개에 따라 점차 교차하고 맞물리다가 끝에 가서 하나가 된다. 에스더의 수기는 착하고 감상적인 처녀 에스더가 일인칭 화자와 작중인물(주인공)을 겸하고 있다. 그녀는 옛일을 회상하며 자신이 관찰한 주변 사람들에 대해 들려준다. 다른 사람에 대한 서술은 자세하지만 자신의 이야기는 에돌리거나 숨기는 경향이 있기도 하다.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서술되는 부분은 작가 디킨스의 시각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무렵의 사회 현실을 냉소적으로 비판한다. 자유로움이 느껴지는 서술이 읽는 재미를 주는데, 영국사회를 은근히 비꼬는 듯 풍자하는 대목에서 이 소설의 또 다른 매력을 느낄 수 있다. 시제가 현재형인 것은 역사적 현재라기보다는 시간에 구속받지 않는 보편성을 지닌 세계적 사건이기 때문일 것이다.
웅대한 규모의 인간사회소설 대법관 법정과 상류사회는 둘 다 선례와 관습이 지배하는 사회, 즉 안개에 갇힌 세계이다. 이 세계를 구성하는 제도.기관.계급.인간은 발랄한 생명력과 본디의 기능을 잃고서 자기 책임을 다하지 않고 결국 전락하여 껍데기만 남는다. 이에 대한 비판을, 디킨스는 ‘잔다이스 대 잔다이스’ 사건의 직간접적 관계자가 걷는 운명을 통해 보여 주고 있다. 그리고 이 관계자들은 영국 사회의 정점을 이루는 상류사회.정계.관계.법조계에서부터 중류계급.하류계급 및 더 아래층의 빈민 부랑자에 이르는 등《황폐한 집》은 규모가 큰 사회소설이다. 그러한 작품에 중층적인 풍부함을 주는 것이 디킨스의 기교이다. 그중 가장 뚜렷한 것이 우의적.상징적 수법인데, 이를테면 앞서 말한 안개는 이윽고 더욱 짙은 안개가 되고, 비가 되고, 진눈깨비가 되어 전체적인 분위기를 무겁게 감싸고 좀먹은 영국의 병폐를 상징한다. 그토록 오랜 세월을 끌며 소송을 벌였건만 소송당사자 양측 모두 바라던 결과를 손에 쥐지는 못한다. 그 엉뚱하고 허무한 결말에 읽는 이는 실소를 금치 못할 것이다.
더 나은 여성의 삶을 위하여 빅토리아 시대 영국의 바람직한 여성관은 그저 순종과 겸손, 근면으로 집안 살림을 잘 이끌어나가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것은 남성중심사회에서 여성이 살아가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며 당연히 그 이면에는 수많은 여성의 좌절과 희생이 뒤따랐다. 에스더는 의붓어머니에게서 “넌 차라리 태어나지 않는 편이 좋았다”는 말을 듣고 크게 충격을 받아, 앞으로 자신이 짊어진 죄를 갚기 위해 친절을 익히고 사람들에게 사랑받도록 노력하겠다고 결심한다. 그 뒤 에스더는 칭찬받는 데 자신의 존재 이유를 두고 지나치리만큼 집착한다. 이것은 그 무렵 여성들의 보편적인 삶의 모습과 다르지 않았으며, 한 가정 혹은 집안에 얽매인 삶은 여성의 창조적 능력을 억눌러 말살할 뿐이다. 이처럼 디킨스는 에스더의 이야기를 통해 그 무렵의 여성관을 비판하며 돌이켜보는 계기를 마련했다. 그러나 디킨스는 이처럼 고리타분한 여성상을 지적하는 것만으로 그치지는 않는다. 결혼까지도 그저 운명에 맡기는 듯한 태도를 보였으나 결국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에 이르는 모습에서 디킨스는 옛 속박의 굴레를 벗어 던진 새로운 여성상의 모습을 내비치고 있다.
책속에서
[P.78] “오, 정말이지 이상해요! 이 쓸데없는 엉터리 장기 시합은 정말 이상해요. 어제 저 차분한 법정에서의 재판 과정이 여유롭게 진행되는 것을 보고 장기판 위의 말들은 얼마나 비참한 기분일까 생각했더니 머리뿐 아니라 마음도 아파오더군요. 머리가 아픈 건 만약 사람이 바보도 악한도 아니라면 어째서 그런 일이 일어날까 생각했기 때문이고, 마음이 아픈 건 인간은 바보며 악한이 틀림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랍니다. 하지만 에이더…… 에이더라고 불러도 괜찮죠?”
[P. 224] “얘!” 내가 빙그레 웃으며 말했습니다. “아빠는 분명 가족을 걱정하시는 거야.” “그렇겠지. 아빠의 가족은 모두 훌륭하니까.” 캐디가 대꾸했습니다. “하지만 아빠에게 가족이 어떤 위로가 되지? 아빠의 가족은 영수증, 쓰레기, 잡동사니, 시끄러운 소음, 계단에서 굴러 떨어지는 소란, 혼란, 비참함뿐인데. 아빠의 활기찬 가정은 한 주가 시작할 때부터 끝날 때까지 대 세탁일 같아 —
[P. 246] 하지만 깨끗하게 빨아지는 것은 아무것도 없지!”
잔다이스 씨는 힘이 닿는 한 착한 일을 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었기에 이런 사람들과 교제하게 된 것이지만, 우리에게 솔직하게 말했던 대로, 이 사람들에게는 바람직하지 않은 면이 무척 많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런 사람들 사이에서는 박애가 발작과도 같이 일어난다고 잔다이스 씨는 말했습니다. 목청 높여 대의명분을 주창하는 사람이나 싸구려 평판을 노리는 투기꾼들이 자선을 제복으로 입고 입으로는 열렬히 떠들어대면서 실행에 옮기지는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들은 높은 사람들에게는 굽실거리고 자기네끼리는 서로 추종한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힘없는 사람들이 쓰러져 버린 다음에 호들갑스럽게 우쭐대면서 그들을 일으켜 주기보다는 쓰러지기 전에 묵묵히 손을 내밀어 주려고 애쓰는 사람들에게 이런 사람들은 참을 수 없는 존재라고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