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머리말
중국제조 2025 추진 전략 연혁

《상편》 공업 부국

제1장 제조문명은 강국의 근본
공업의 사명과 가치
공업은 인류발전의 날개
‘정글’에서 문명으로 발전한 공업화
공업혁신과 공업혁명의 본질
미완성된 중국의 공업화
공업발전의 도구적 합리성과 가치적 합리성
정보화, 지능화는 공업발전의 논리적 필연성

제2장 중국 공업경제의 발전추이
구조 전환시기의 중국 공업경제
중국 공업경제의 운용 방향
중국 공업의 중대한 사명
WTO가입 이후의 성과와 우려

제3장 2025: ‘공업대국’에서 ‘공업강국’으로의 부상
새로운 과학기술 혁명시대를 위한 인내심 필요
중국공업은 안정적인 발전단계에 진입
중국공업 발전의 성공사례, 저장(浙江)
중국은 No.1 공업대국인가?

제4장 ‘서방국가의 기술 습득’을 통한 중국의 공업문명 창조
동서양 국가의 공업문명 융합
중국 제조문명을 위한 여건 조성
중국 공업화의 경험과 시사점

중편 《산업 변혁》

제5장 과학기술 혁신은 공업화의 토대
기술혁신과 공업혁명
혁신은 기업 위주로 추진
차별화, 입체화된 혁신 권장
제6장 자원환경이 공업화에 미치는 영향
중국 공업화 과정에서 나타난 자원 문제
국토자원의 효과적인 활용과 경제 성장
발전의 시각으로 본 녹색경제 성장
국민의 환경보호 인식과 공업 발전

제7장 新四化: 공업화의 새로운 길
중국의 미래: 新四化와 동시 발전
정보화: 공업문명 발전의 원동력
중국 공업화와 도시화의 새로운 발전 추세

하편 《강국 전략》

제8장 2025: 중국 공업화의 전략 방향
실물경제는 공업화의 튼튼한 토대
내륙지역 공업화를 통한 경제성장의 가속화
산업구조 조정전략의 방향
현대 산업 시스템을 통한 공업 발전

제9장 중국 공업화가 반드시 넘어야 할 고비
경제전환과 산업고도화 과정에서 나타난 쟁점
신용 메커니즘이 산업발전의 관건

제10장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 방향
신흥산업의 발전 원인
신흥산업과 전통산업의 관계
신흥산업의 전략적 발전 방법

이용현황보기

中国制造 2025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233086 338.47670952 -17-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33087 338.47670952 -17-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268750 338.47670952 -17-1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0002268751 338.47670952 -17-1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중국굴기의 핵심을 엿본다’ <中国制造 2025> 출간

한국정책재단(이사장 임태희)에서는 2017년 새해를 맞아 중국 굴기의 핵심을 다룬 󰡐중국제조 2025󰡑를 번역 출간했다.
중국 국무원은 2015년 5월 선포한‘중국제조 2025’에서‘제조업은 국민경제의 주체일 뿐만 아니라 나라 건설의 근본이며, 나라 부흥의 도구이며, 강성국가의 토대’라며 제조업 육성을 중국 굴기의 핵심으로 선언했다.

‘중국제조 2025’는 중국 경제의 체질을 바꾸어 2025년에 중국을 경제 강국 대열에 합류시키고 새 중국 건국 100년째(2049년)를 가까이 하는 2045년에는 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제조 강국으로 자리 잡게 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담고 있다. 또한 향후 중국의 살길이 공업혁명, 즉 제조업에 있다고 규정하고 이 당위성을 설득력 있게 웅변하였으며 그 실천방안을 꼼꼼하게 제시했다. 이 과정에서 당당함과 논리 정연함이 빛을 발한다.

대한민국은 불안정한 정치 상황과 급변하는 세계 경제 질서 등으로 인해 위기에 직면해 있다. 대한민국이 안팎의 여러 도전을 극복하고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을지, 아니면 약소국으로 전락하고 말지 귀로에 서 있는 것이다. <중국 제조 2025>는 우리 대한민국이 여러 위기와 난제들을 잘 이겨내고 경제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해답을 던져주고 있다. 책은 그 해답이 ‘제조업 혁명’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임태희 한국정책재단 이사장은 “경제 전략 수립과 제조업에 종사하는 수많은 경영자와 관련자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중국 산업의 미래와 핵심 전략을 담고 있는 ‘중국 제조 2025’를 출간하게 되었다고 말하고 이 책이 대한민국의 경제발전과 제조업 강국의 실현에 밑거름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