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프롤로그_경험 속에서 배운 절차의 힘

Chapter 01. 칼퇴근하는 절차 만드는 비법
01. 지금 왜 ‘절차’가 중요한가
02. 절차를 잘 만들면 신뢰도가 높아진다
03. 비용을 낭비하지 않는 방법
04. 사람들의 호감을 받는 절차와 반감을 사는 절차
05. 타인이 정한 목표에 휩쓸리지 않으려면
06. 사전 조사로 알 수 있는 절차 만드는 능력
07. 절차를 잘 만드는 사람은 미술관을 좋아한다

Chapter 02. 일의 속도를 높이는 절차 만드는 비법
08. 절차 만들기는 우선순위를 정하는 기술이다
09. 현명하게 야근을 피하는 방법
10. 필요한 일과 필요 없는 일 구분하는 법
11. 대기 시간으로 알 수 있는 절차 만드는 능력
12. 집중력을 높이는 뇌 활용법
13. 일의 속도를 높이는 방법
14. 융통성 있게 시간을 활용하는 방법

Chapter 03. 프로젝트를 성공시키는 절차 만드는 비법
15. 능력 있는 사람이 일을 빨리 진행하는 이유
16. 효율적인 회의 진행 비법
17. 회의를 잘하는 사람은 사전 협의에도 능하다
18. 약속을 정하는 방식에 따라 인생이 달라진다
19. 프로젝트 진행 능력을 알아보는 방법
20. 프레젠테이션은 간단명료하게

Chapter 04. 정리 능력을 높이는 절차 만드는 비법
21. 책상을 정리하면 정말 머리가 맑아질까?
22. 생각을 정리하는 효과적인 방법
23. 절차를 잘 만드는 사람은 검색도 잘한다
24. 행동과 연결 지어 기억한다
25. A4 봉투를 활용하는 정리의 기술
26. 비즈니스는 명함 관리에서 시작된다

Chapter 05. 아이디어를 이끌어내는 절차 만드는 비법
27. 아이디어 발상의 핵심은 ‘휴식’
28.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네 가지 방법
29. 활용 가능한 아이디어와 활용 불가능한 아이디어
30.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최고의 기술
31. 아이디어는 제약이 있어야 떠오른다
32. 아이디어를 메모해서 다시 보는 습관을 들인다

Chapter 06.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높이는 절차 만드는 비법
33. 보고 . 연락 . 상담을 할 때는 5W1H로
34. 보고 . 연락 . 상담을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
35. 보고 . 연락 . 상담을 잘하는 사람이 성공한다
36. 메일은 최근 메일부터 처리한다
37. 메일은 간결하되 감정을 담아 쓴다

Chapter 07. 절차 만들기! 체계화하기! 익히기 !
38. 체계화하면 절차 설정 능력이 향상된다
39. 커뮤니케이션의 체계화
40. 리더에게 필요한 체계화란?
41. 체계화를 통해 팀을 운영한다
42. 일의 순서를 체크리스트로 정리한다
43. 시간 관리의 체계화 ①
44. 시간 관리의 체계화 ②
45. 지속적으로 동기를 부여하기 위한 체계화

맺음말

이용현황보기

나는 오늘도 칼퇴근! : 일 잘하는 사람만 아는 절차의 비밀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25657 650.1 -17-24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25658 650.1 -17-240 서울관 사회과학자료실(208호) 테마코너
(자료실내 이용)
0002350537 650.1 -17-240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0002350538 650.1 -17-240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일 잘하는 사람만 아는 절차의 비밀
최근 20년 동안 일의 도구가 비약적으로 발전한 덕분에 노동시간이 크게 줄어들었다. 수치상으로만 보면 삶의 여유가 생긴 듯하지만, 오히려 예전보다 더 바빠진 건 왜일까? 아무래도 사람은 일이 편해질수록 그만큼 하고 싶은 일도 많아지는 모양이다. 그리고 결국은 어느 하나도 제대로 해내지 못해서 실제로는 시간적 여유보다 심리적 여유가 없어져 내내 조급한 마음을 안고 살아가는 것은 아닐까.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가 바로 ‘절차’다.
절차라는 말이 매우 진부하게 들릴 수도 있다. 하지만 절차의 힘을 잘 이해하고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삶의 격차는 아주 크다. 특별한 방식이나 도구를 쓰지 않고, 이제까지 고수해온 작업 방식만 조금 바꿔도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존의 상식과는 다른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절차를 잘 만들면 바쁜 와중에도 물리적으로든 정신적으로든 여유가 생긴다. 그러기 위해서 어려운 지식을 암기하거나 훈련할 필요도 없다. 그저 작업 순서나 방식에 약간의 변화를 주기만 하면 된다. 이것이 제대로 된 절차를 만드는 비결이다.

절차 만드는 비법을 다양한 관점에서 파헤친다!
절차를 만드는 핵심은 시간 관리다. 눈앞에 주어진 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앞일도 내다보며 일하는 데 걸리는 시간, 일을 끝내야 하는 날짜 등을 생각해야 한다. 따라서 일정을 세울 때는 힘의 배분보다 시간 배분을 잘하는 능력이 매우 중요한데, 이러한 능력을 시간 감각이라고 한다. 그리고 시간 감각이 뛰어난 사람은 일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기술이 좋다. 누구나 하고 싶은 일도 많고 다 잘하고 싶어 하지만, 모든 일을 다 할 수 있을 만큼 시간은 무한정 주어지지 않는다. 그러니 우선순위가 높은 일부터 해야 한다.
시간 관리라는 관점에서 보면 정리정돈도 매우 중요하다. 아니 기본이라 할 수 있다. 필요한 물건을 찾느라 허비하는 시간이 얼마나 많은가? 정리가 안 된 환경은 생산성을 떨어뜨린다. 정리가 안 돼 물건을 찾는 데 조금이라도 시간을 보내면 그 짧은 순간들이 쌓이고 쌓여 큰 차이를 만들어낸다. 모든 절차는 정리에서부터 출발한다. 정리에는 심리적 정리와 물리적 정리가 있으나, 심리적 정리를 하기 전에 책상 등 물리적인 공간을 정리하면 정신도 맑아진다. 그러니 당장 할 수 있는 것부터 정리해보자.

일을 잘하려면 뇌를 즐겁게 하자!
무슨 일이든 잘하려면 잘하려는 의욕이 있어야 한다. 절차를 잘 만드는 사람이나 시간을 잘 활용하는 사람, 나아가 성공한 사람들은 스스로 일할 마음이 생기게 하는 법을 잘 알고 있다. 다시 말해 자신의 뇌를 즐겁게 만드는 방법을 안다. 거창한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일을 끝내면 좋아하는 아이스크림을 먹으러 가거나 자기 자신을 칭찬하는 것이다. 특히 예전보다 자신이 성장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활동이 효과적이다. 자신의 성장을 스스로 느끼는 것은 매우 즐거운 일이기 때문이다.
꿈과 목표가 생기는 순간 우리는 설렘을 느낀다. 그때의 감정을 잊어버리지 않도록 매일 그 순간을 떠올려보자. 자신이 어디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진정으로 자신이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생각하면서 처음 꿈꾸기 시작했을 때 느꼈던 설렘을 떠올려보자. 매일 이런 생각을 하면서 그때의 감정을 떠올린다면, 우리의 삶은 설렘으로 가득 차 풍요로워질 것이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절차를 만드는 데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시간 감각이다. 앞으로 시간이 얼마나 필요할지를 감각적으로 내다보는 능력이 중요한 열쇠가 된다. 눈앞에 주어진 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앞일도 내다보며 일하는 데 걸리는 시간, 일을 끝내야 하는 날짜 등을 생각해야 한다. 따라서 일정을 세울 때는 힘의 배분보다 시간 배분을 잘하는 능력이 매우 중요한데, 이러한 능력을 시간 감각이라고 한다. 그리고 시간 감각이 뛰어난 사람은 일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기술이 좋다.
Chapter 02. 일의 속도를 높이는 절차 만드는 비법
“굳이 회의를 열지 않아도 괜찮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봐야 한다. 그리고 회의를 열고자 할 때는 아래 사항들을 검토해보자.
① 회의의 목적은 무엇인가?
② 꼭 회의를 열어야 하는가? 다른 방법으로는 불가능한가?
③ 회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회의 목적과 준비사항, 미리 생각해봐야 할 것들을 사전에 알린다.
④ 회의 시간을 줄이고자 노력한다. (대개 60분 내에 회의를 마치고, 길어도 90분은 넘기지 않도록 한다.)
⑤ 회의를 빠르게 진행하고 의견이 편중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메모지를 활용한다.
Chapter 03. 프로젝트를 성공시키는 절차 만드는 비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