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전시를 열며(Opening the Exhibition, 展览前言, 企画展開催にあたり) / 송인호(Song In-ho, 宋寅豪)

일러두기

목차

프롤로그 9

시대가 요구하는 역할을 고민하다(Pondering Their Duty in Their Time, 深思时代所赋子的任务, 時代が求める役割を模索し) 13

백세청풍(百世淸風), 필운대(弼雲臺)에서 저동(苧洞)으로(Flowers which Bloomed in Pilundae Spreading to Jeo-dong) 15

새로운 지식인들의 요람, 쌍회정(雙檜亭)(Modern Intellectuals Gather at Ssanghoejeong) 26

독립전쟁론의 발상지, 상동교회(Sangdong Methodist Church, the Birthplace of the Struggle for Independence) 38

서간도에 올린 무장독립운동의 깃발(The Flag of the Armed Struggle for Independence Raised in West Gando, 在西间岛挂起的武装独立运动之旗帜, 西間島に掲げた武装独立運動の旗) 55

과거로 돌아가는 길을 버리다(The Six Brothers Leave Everything Behind) 57

꿈과 눈물의 터전, 서간도(Against the Piercing Winds in West Gando) 64

아! 신흥무관학교(Sinheung Military Academy - A Cradle of Independence Fighters) 68

이회영, 자유의 길을 찾아서(Lee Hoe-yeong - The Path to Freedom, 李会荣, 探索自由之路, 李会榮, 自由の道を求めて) 77

제국(帝國)에서 민국(民國)으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시작(From Empire to Republic, the Beginning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OK) 79

이회영에게 잘 어울리는 사상, 아나키즘(Anarchism, an Ideology Suited to Lee Hoe-yeong) 86

빛나는 의열투쟁, 아쉬운 훙커우공원 의거(The Armed Struggle for Independence) 92

베이징(北京)의 후통(胡同), 톈진(天津)의 토방(土房)에서(Hardship in Hutong Alleys in Beijing and Mud Huts in Tianjin) 98

형제들의 삶과 죽음 114

자유의 나라에 살기 위하여(To Live in a Land of Freedom, 梦寐以求的自由之国, 自由の国に生きるために) 123

이회영과 이시영, 닮은 꼴? 다른 꼴?(Lee Si-yeong as Finance Minister for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OK) 125

이시영의 눈물, 홀로 돌아온 조국(Alone Back in the Homeland) 136

이시영이 국민에게 고한 것은?(Lee Si-yeong Opens up to the Public) 148

에필로그 151

논고(Articles, 論考) 153

이회영의 가문과 독립운동 / 한홍구 154

왜 이회영인가? 154

이회영의 가문 155

이회영 일가의 재산과 이유원 156

손가락질 받던 재산를 정승처럼 쓰다 158

이회영의 활동 158

독립운동의 큰 흐름 속에서 바라본 이회영 160

조선 최고의 부호 이석영, 굶어죽다 163

이은숙과 『서간도시종기』 164

재중국 한국인 아나키스트들의 민족해방운동 / 이호룡 166

머리말 166

1. 아나키즘 수용 167

2. 1920년대 이후의 아나키스트운동 168

3. 1930년대 중반 이후의 민족전선운동 174

맺음말 175

또 다른 해외 독립운동 중심기지, 우당의 북경 옛집 확인 탐사기 / 김광만 176

우당 가족의 북경 시대 176

북경 거소는 상해임시정부와는 다른 독립운동 본부였다. 177

지금까지 불확실한 거주지로 알려지게 된 경위와 근거 자료의 문제점 177

정확한 거주지 확인을 위한 접근 방법 178

당시 북경의 사정과 우당의 주요 주거지 확인 178

판권기 188

이용현황보기

민국의 길 자유의 길 : 우당 6형제의 독립운동 = Independence movement of 6 brothers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372558 951.63092 -18-2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372559 951.63092 -18-20 서울관 1층 중앙홀 지정도서
(자료실내 이용)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올해는 우당 이회영의 탄생150주년 되는해다. 이회영은 서울에서 '삼한갑족'으로 꼽히는 전통 문벌출신으로서 그 끝자락에서 나라의 쇄신에 노력했고, 나라가 식민지로 전락하자 나라로부터 받은 모든것을 바쳐 그 회복에 헌신하다 마침내 목숨까지 바쳤다. 우당과 그를 포함한 6형제의 이야기를 담은 전시도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