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문 3
Abstract 14
제1장 서론 30
제1절 연구의 목적 31
제2절 연구의 범위 33
제2장 영화산업의 구조와 영화 콘텐츠 거래 불공정성 현황 36
제1절 영화산업의 구조와 현황 37
1. 영화산업의 구조 37
2. 영화산업의 현황 41
(1) 매출액과 관객 수 및 한국 영화의 점유율 41
(2) 영화 개봉편수와 관람요금 43
(3) 상업영화의 제작비와 투자수익성 45
(4) 영화 온라인 시장 51
(5) 해외매출 52
(6) 독립ㆍ예술영화 제작ㆍ유통의 어려움 52
3. 영화산업의 시장집중도 54
(1) 상영시장 54
(2) 배급시장 59
4. 영화산업의 수직계열화 63
제2절 영화콘텐츠 거래 불공정성 현황 66
1. 제작ㆍ투자 단계에서의 거래 불공정성 66
(1) 과도한 공동제작 지분요구와 비용청구 66
(2) 지적재산권의 영구귀속 요구 68
(3) 영화제작 시스템에 대한 과도한 관여 69
2. 배급 단계에서의 거래 불공정성 70
(1) 지방 배급 대행을 통한 이중 수수료 수취 70
(2) 극장과의 협상력 약화 70
3. 상영 단계에서의 거래 불공정성 72
(1) 자사영화 밀어주기로 인한 공정경쟁 침해 73
(2) 스크린 독과점으로 인한 영화다양성 침해 79
4. 부가판권 단계에서의 거래 불공정성 85
제3장 영화콘텐츠 거래 공정화 관련 현행 정책 및 법률의 내용과 문제점 86
제1절 영화콘텐츠 거래 공정화 관련 현행 정책의 내용 87
1. 영화진흥위원회의 독립영화 및 다양성영화 지원정책 87
(1) 독립영화 제작지원 87
(2) 다양성영화의 유통 및 상영지원 89
2. 한국영화 동반성장 협의회의 발족과 협약 체결 90
(1) 한국영화 동반성장 협의회의 발족(2011년) 90
(2) 한국영화 동반성장 이행협약 선언문 발표(2012) 91
(3) 한국영화 동반성장 이행협약 부속합의문 체결(2013) 94
(4) 영화상영 및 배급시장 공정환경 조성을 위한 협약 체결(2014) 96
제2절 영화콘텐츠 거래 공정화 관련 현행 법률의 내용 97
1.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의 기본체계 97
2. 영화콘텐츠 거래 공정화와 관련 현행 법률의 내용 101
제3절 영화콘텐츠 거래 공정화 관련 현행 정책 및 법률의 문제점 104
1. 동반성장 이행협약 및 공정환경 조성협약의 비구속성 104
2. 영화산업에 대한 공정거래법 적용의 한계와 특수한 산업별 규제의 필요성 106
(1) 공정거래위원회의 차별적 취급 규제에 대한 법원의 취소판결 106
(2) 영화산업에 대한 공정거래법 적용의 한계와 특수한 산업별 규제의 필요성 109
3. 영화의 다양성 보호를 위한 적극적인 정책수단의 부재 110
제4절 영화콘텐츠 거래 공정화 관련 주요 법안 111
1. 대기업의 배급업ㆍ상영업 겸업금지 법안 112
2. 복합상영관의 동일 영화 상영비율 제한 법안 112
3. 복합상영관 내 전용상영관 지정 및 의무상영 법안 114
제4장 영화콘텐츠 거래 공정화 관련 해외사례 115
제1절 미국 116
1. 개관 116
2. 파라마운트 판결(1948) 117
(1) 파라마운트 사건의 배경 117
(2) 파라마운트 사건의 경과 및 파라마운트 판결의 내용 120
(3) 파라마운트 판결의 영향 125
(4) 1980년대 이후 수직적 통합의 재개 126
3. 미국의 영화산업 현황 130
(1) 매출액과 관객 수 130
(2) 영화관과 스크린 수 134
(3) 사업자 현황 136
4. 미국의 투자ㆍ배급 메커니즘, 자본조달 전략과 상영권 계약시 수익배분 방법 141
(1) 메이저 스튜디오의 투자ㆍ배급 메커니즘 141
(2) 독립 제작사의 자본조달 전략 146
(3) 상영권 계약시 수익배분 방법 148
5. 미국의 영화 다양성 증진 정책 152
(1) 연방정부와 주 정부의 다양성 영화 지원정책 153
(2) 민간단체의 다양성 영화 지원 프로그램 159
6. 시사점 161
제2절 일본 166
1. 개관 166
2. 일본의 영화산업 현황 166
(1) 매출액과 관객 수 및 일본 영화의 점유율 166
(2) 영화관과 스크린 수 및 사업자 현황 169
(3) 제작위원회를 통한 영화제작 방식 173
3. 일본의 영화 다양성 증진정책 178
(1) 지역문화의 거점과 다양한 영화관람의 장으로서 지역 영화관의 육성 179
(2) 문화와 관객을 창조하는 지역 영화관의 역할 181
4. 일본의 영화 진흥정책과 영화제작 지원 182
(1) 영화진흥시책 검토회 182
(2) 중소제작자를 위한 자금조달의 다양화 모색 185
(3) 일본영화 제작에 대한 지원 189
5. 시사점 192
제3절 독일 193
1. 개관 193
2. 독일의 영화산업 현황 194
(1) 매출액과 관객 수 및 독일 영화의 점유율 194
(2) 영화관과 스크린 수 및 사업자 현황 199
3. 독일 영화진흥법(FFG)상 영화지원정책 205
(1) 독일 영화진흥원(FFA) 205
(2) 독일 영화진흥법(FFG)상 영화지원정책 208
4. 시사점 215
제4절 프랑스 217
1. 개관 217
2. 프랑스의 영화산업 현황 217
(1) 매출액과 관객 수 및 프랑스 영화의 점유율과 입장권 수입의 배분 217
(2) 영화관과 스크린 수 및 사업자 현황 221
(3) 국가주도형 문화예술정책에 기반한 영화 다양성 정책 225
3. 프랑스 국립 영화-애니메이션 센터(CNC) 226
(1) CNC의 조직 226
(2) CNC의 주요 임무 226
(3) CNC의 자금조달 228
4. 프랑스 영화법상 영화 다양성 증진정책 229
(1) 문화통신부 장관의 영화상영 허가시 필수적 세금납부 요건 230
(2) 영화관 개발 허가에 있어서 영화 다양성의 고려 231
(3) 영화 프로그램 편성 협정에 있어서 거래 공정성과 영화 다양성의 고려 236
5. 시사점 248
제5장 영화콘텐츠 거래공정화를 위한 법제 개선방안 252
제1절 기존 법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및 새로운 대안의 규제원칙 253
1. 기존 법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253
2. 새로운 대안의 규제원칙과 규제방법 261
(1) 새로운 대안의 규제원칙 261
(2) 영화콘텐츠 거래 불공정성에 대한 규제방법 263
제2절 영화콘텐츠 거래공정화를 위한 법제 개선방안 264
1. 영화산업의 불공정거래행위 규제를 위한 금지행위 규정의 마련 264
(1)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에 대한 특별경쟁법적 지위 부여의 필요성 264
(2) 영화산업 불공정거래행위 규제를 위한 금지행위 규정의 설계 267
2. 자율규제와 공동규제에 의한 스크린 독과점 규제방안 마련 270
(1) 스크린 독과점 규제의 필요성 270
(2) 자율규제와 공동규제에 의한 스크린 독과점 규제방안 설계 272
3. 영화 다양성을 위한 공공상영관 확보 및 지원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274
(1) 공공상영관 확보를 통한 예술영화와 독립영화 상영의 필요성 274
(2) 공공상영관 확보를 위한 재원 마련과 법적 근거 마련 275
참고문헌 278
판권기 296
〈그림 1〉 한국 영화산업의 주요 주체 현황 38
〈그림 2〉 2007년-2016년 한국영화 vs. 외국영화 극장 관객 수 추이 42
〈그림 3〉 한국영화의 제작비 규모별 분포 47
〈그림 4〉 연도별 한국영화 투자수익률 추이 48
〈그림 5〉 연도별 전국 극장, 스크린 수 55
〈그림 6〉 연도별 3대 멀티플렉스의 점유율 추이 58
〈그림 7〉 영화 '부산행'의 예매스크린 80
〈그림 8〉 2014년 세계 권역별 영화시장 규모 및 전망 131
〈그림 9〉 2016년 미국 영화의 글로벌 박스오피스 132
〈그림 10〉 2016년 미국 영화의 해외시장에서의 박스오피스 133
〈그림 11〉 2016년 세계 권역별 스크린 수와 북미지역의 스크린 수 135
〈그림 12〉 일본의 영화 관객 수 추이 168
〈그림 13〉 일본의 영화관 수 추이 170
〈그림 14〉 제작위원회방식의 기본체계 175
〈그림 15〉 제작, 배급, 흥행 부문 간 수익배분 176
〈그림 16〉 영상콘텐츠 제작자금 조달 방법 187
〈그림 17〉 미국 할리우드식 배급계약을 담보로 한 융자방법 189
〈그림 18〉 독일과 유럽 다른 국가의 1인당 평균 극장 방문횟수 196
〈그림 19〉 독일에서 멀티플렉스 스크린 수와 일반극장 스크린 수의 성장추이 200
〈그림 20〉 2014년 독일 배급부문의 배급사 규모별 매출액 203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428591 | LM 343.072 -18-14 | 서울관 법률정보센터(206호) | 이용중 | |
0002428592 | LM 343.072 -18-1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법률정보센터(206호) / 서가번호: 2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