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part 1 국익을 무시한 오만한 통치자들
3천 년 동안 이어진 바보들의 행진

part 2 아둔함의 원형, 트로이 목마
무지와 어리석음의 상징, 트로이 목마

part 3 개혁보다는 타락을 택한 르네상스시대의 교황들
하나님도 돌아앉은 여섯 교황의 탐욕
권력정치의 화신 식스토 4세 1471~1484
타락한 아들을 감싸고 돈 인노첸시오 8세 1484~1492
돈과 여자, 타락으로 날을 지새운 알렉산데르 6세 1492~1503
전쟁에 미친 울리오 2세 1503~1513
면죄부를 판매한 레오 10세 1513~1521
부관참시까지 당한 클레멘스 7세 1523~1534

part 4 미국 역사상 가장 길었던 베트남 전쟁
인도차이나를 둘러싼 갈등 1945~1965
스스로 만든 도그마의 덫에 빠진 미국1946~1968
시종일관 미국의 보호를 받은 디엠 정부 1954~1960

part 5 처절한 패배의 씨앗, 세 대통령의 독선
계속되는 실패와 케네디의 선택 1960~1963
전쟁의 광기에 휩싸인 존슨1964~1968
아집과 독선으로 끌어온 전쟁 1969~1973

이용현황보기

독선과 아집의 역사 : 다른 모든 과학은 진보하는데 왜? 정치만은 옛날 그대로일까?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574091 909.08 -19-1 서울관 1층 중앙홀 기획주제(도서관내 이용)
0002574092 909.08 -19-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중
0002579145 909.08 -19-1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0002579146 909.08 -19-1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독선과 아집의 역사』는 아집과 독선으로 지나친 권력욕을 불태우다 스스로 무덤을 파고만 숱한 통치 사례를 세계 역사의 주요 사건을 토대로 생생히 보여주는 책이다.
"다른 모든 과학은 진보하고 있는데도 정치만은 옛날 그대로이다. 지금도 3,4 천년 전과 거의 차이가 없다"라고 미국의 제 2대 대통령 존 애덤스는 말했다. 이 책은 권력에 눈이 먼 통치자들이 한 나라를 어떻게 망하게 했는가를 살핀 책이다. 아둔함의 원형 트로이의 목마, 면죄부를 판매한 레오 10세 등 르네상스 시대의 교황들과 미국을 잃어버린 대영제국의 독선을 통해서 '民'의 뜻을 거역하는 위정자들은 결국 파멸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기원전 930년경 솔로몬왕의 아들로 태어나 이스라엘 민족을 갈가리 찢은 레호보암을 비롯해 역사의 시계를 멈추려 했던 프랑스 샤를 10세 등 권력에 눈이 먼 오만한 통치자들을 살피고 이같이 이어온 3천 년 아집의 역사를 기술했다.
이 외에도 트로이의 왕자 파리스가 스파르타의 왕비 헬레네를 유괴한 것이 발단이 된 트로이 전쟁에서 국익에 반하는 정책을 추구한 트로이 목마사건, 개혁보다 타락을 선택한 르네상스 시대 교황들, 대통령이 무려 다섯 번이 바뀔 동안 베트남에서 악전고투를 계속했던 미국 정부의 독선까지 정치인들의 뿌리 깊은 독선의 역사를 자세히 살폈다.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인류역사를 살펴보면 시간과 장소를 뛰어넘어 우리의 눈길을 분명하게 잡아끄는 현상이 있다.
[P. 15] 인류역사를 살펴보면 시간과 장소를 뛰어넘어 우리의 눈길을 분명하게 잡아끄는 현상이 있다. 각국 정부가 국익에 반하는 정책을 추구하는 모습이다. 인류는 모든 영역에서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지만, 통치술만은 다른 영역에 비해 별다른 발전 없이 정체된 느낌을 준다. 지혜란 경험을 토대로 판단하는 능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지만, 통치의 영역에서는 그러한 지혜와 상식과 유용한 정보 따위가 정당한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꺾여 버리곤 한다.
[P. 19] 아집과 독선은 개인의 타고난 성격이기 때문에 통치에 대해서도 그 이상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는 반론을 제기하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통치상의 독선은 개인의 독선보다 많은 사람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치므로 정부는 이성에 따라서 행동해야 할 분명한 의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