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지]

목차

2001 안동댐 2

목차 3

제1장 기초자료 조사 5

1.1. 유역특성 조사 6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6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13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16

1.1.4. 하천수계 조사 19

1.2. 기초수문 조사 20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20

1.2.2. 수위관측소 22

1.2.3. 주요 홍수사상 24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24

1.3. 관련계획 조사 25

1.3.1. 각종 개발계획 25

1.3.2. 관련계획 조사 27

제2장 홍수량 산정 30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32

2.2. 확률강우량 44

2.2.1. 지점확률강우량 44

2.2.2. 강우강도식 50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55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67

2.3. 유효우량 산정 68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74

2.4.1. 매개변수 산정 74

2.5. 홍수량 산정 82

2.5.1. 기본홍수량 산정 82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87

2.5.3. 현재홍수량 산정 87

2.5.4. 홍수량 배분도 88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89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96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98

3.1. 장래 유역변화 100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103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104

2002 임하댐 114

목차 115

제1장 기초자료 조사 117

1.1. 유역특성 조사 118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118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126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130

1.1.4. 하천수계 조사 134

1.2. 기초수문 조사 135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135

1.2.2. 수위관측소 137

1.2.3. 주요 홍수사상 139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139

1.3. 관련계획 조사 141

1.3.1. 각종 개발계획 141

1.3.2. 관련계획 조사 145

제2장 홍수량 산정 148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150

2.2. 확률강우량 178

2.2.1. 지점확률강우량 178

2.2.2. 강우강도식 184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189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223

2.3. 유효우량 산정 224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240

2.4.1. 매개변수 산정 240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259

2.5. 홍수량 산정 260

2.5.1. 기본홍수량 산정 260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277

2.5.3. 현재홍수량 산정 283

2.5.4. 홍수량 배분도 290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291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312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330

3.1. 장래 유역변화 332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335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336

2003 안동댐하류 364

목차 365

제1장 기초자료 조사 367

1.1. 유역특성 조사 368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368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373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376

1.1.4. 하천수계 조사 379

1.2. 기초수문 조사 380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380

1.2.2. 수위관측소 381

1.2.3. 주요 홍수사상 383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383

1.3. 관련계획 조사 384

1.3.1. 각종 개발계획 384

1.3.2. 관련계획 조사 388

제2장 홍수량 산정 390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392

2.2. 확률강우량 403

2.2.1. 지점확률강우량 403

2.2.2. 강우강도식 407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410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415

2.3. 유효우량 산정 416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420

2.4.1. 매개변수 산정 420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425

2.5. 홍수량 산정 425

2.5.1. 기본홍수량 산정 425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430

2.5.3. 현재홍수량 산정 433

2.5.4. 홍수량 배분도 434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435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442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444

3.1. 장래 유역변화 446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449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450

2004 내성천 458

목차 459

제1장 기초자료 조사 461

1.1. 유역특성 조사 462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462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470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473

1.1.4. 하천수계 조사 477

1.2. 기초수문 조사 478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478

1.2.2. 수위관측소 480

1.2.3. 주요 홍수사상 482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482

1.3. 관련계획 조사 483

1.3.1. 각종 개발계획 483

1.3.2. 관련계획 조사 489

제2장 홍수량 산정 492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494

2.2. 확률강우량 509

2.2.1. 지점확률강우량 509

2.2.2. 강우강도식 516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522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540

2.3. 유효우량 산정 542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553

2.4.1. 매개변수 산정 553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565

2.5. 홍수량 산정 567

2.5.1. 기본홍수량 산정 567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577

2.5.3. 현재홍수량 산정 578

2.5.4. 홍수량 배분도 580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581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595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596

3.1. 장래 유역변화 598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601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602

2005 영강 618

목차 619

제1장 기초자료 조사 621

1.1. 유역특성 조사 622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622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627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630

1.1.4. 하천수계 조사 633

1.2. 기초수문 조사 634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634

1.2.2. 수위관측소 635

1.2.3. 주요 홍수사상 637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637

1.3. 관련계획 조사 638

1.3.1. 각종 개발계획 638

1.3.2. 관련계획 조사 642

제2장 홍수량 산정 644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646

2.2. 확률강우량 653

2.2.1. 지점확률강우량 653

2.2.2. 강우강도식 659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663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669

2.3. 유효우량 산정 670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673

2.4.1. 매개변수 산정 673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677

2.5. 홍수량 산정 678

2.5.1. 기본홍수량 산정 678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681

2.5.3. 현재홍수량 산정 681

2.5.4. 홍수량 배분도 682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683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688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690

3.1. 장래 유역변화 692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695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696

2006 병성천 702

목차 703

제1장 기초자료 조사 705

1.1. 유역특성 조사 706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706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711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714

1.1.4. 하천수계 조사 717

1.2. 기초수문 조사 718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718

1.2.2. 수위관측소 719

1.2.3. 주요 홍수사상 721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721

1.3. 관련계획 조사 722

1.3.1. 각종 개발계획 722

1.3.2. 관련계획 조사 724

제2장 홍수량 산정 726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728

2.2. 확률강우량 734

2.2.1. 지점확률강우량 734

2.2.2. 강우강도식 738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740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743

2.3. 유효우량 산정 744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746

2.4.1. 매개변수 산정 746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749

2.5. 홍수량 산정 750

2.5.1. 기본홍수량 산정 750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752

2.5.3. 현재홍수량 산정 752

2.5.4. 홍수량 배분도 753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754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758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760

3.1. 장래 유역변화 762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767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768

2007 낙동상주 773

목차 774

제1장 기초자료 조사 776

1.1. 유역특성 조사 777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777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780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783

1.1.4. 하천수계 조사 785

1.2. 기초수문 조사 786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786

1.2.2. 수위관측소 786

1.2.3. 주요 홍수사상 788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788

1.3. 관련계획 조사 789

1.3.1. 각종 개발계획 789

1.3.2. 관련계획 조사 791

제2장 홍수량 산정 793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795

2.2. 확률강우량 797

2.2.1. 지점확률강우량 797

2.2.2. 강우강도식 799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800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802

2.3. 유효우량 산정 803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804

2.4.1. 매개변수 산정 804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805

2.5. 홍수량 산정 805

2.5.1. 기본홍수량 산정 805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806

2.5.3. 현재홍수량 산정 806

2.5.4. 홍수량 배분도 806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807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808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809

3.1. 장래 유역변화 811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814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815

2008 위천 818

목차 819

제1장 기초자료 조사 821

1.1. 유역특성 조사 822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822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828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831

1.1.4. 하천수계 조사 834

1.2. 기초수문 조사 835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835

1.2.2. 수위관측소 837

1.2.3. 주요 홍수사상 839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839

1.3. 관련계획 조사 841

1.3.1. 각종 개발계획 841

1.3.2. 관련계획 조사 849

제2장 홍수량 산정 852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854

2.2. 확률강우량 866

2.2.1. 지점확률강우량 866

2.2.2. 강우강도식 874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880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891

2.3. 유효우량 산정 892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898

2.4.1. 매개변수 산정 898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905

2.5. 홍수량 산정 906

2.5.1. 기본홍수량 산정 906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912

2.5.3. 현재홍수량 산정 915

2.5.4. 홍수량 배분도 916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917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924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926

3.1. 장래 유역변화 928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931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932

2009 구미보 943

목차 944

제1장 기초자료 조사 946

1.1. 유역특성 조사 947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947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950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952

1.1.4. 하천수계 조사 954

1.2. 기초수문 조사 955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955

1.2.2. 수위관측소 955

1.2.3. 주요 홍수사상 957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957

1.3. 관련계획 조사 958

1.3.1. 각종 개발계획 958

1.3.2. 관련계획 조사 960

제2장 홍수량 산정 961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963

2.2. 확률강우량 965

2.2.1. 지점확률강우량 965

2.2.2. 강우강도식 966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967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968

2.3. 유효우량 산정 969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969

2.4.1. 매개변수 산정 969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970

2.5. 홍수량 산정 970

2.5.1. 기본홍수량 산정 970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970

2.5.3. 현재홍수량 산정 970

2.5.4. 홍수량 배분도 971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972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973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975

3.1. 장래 유역변화 977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980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981

2010 감천 984

목차 985

제1장 기초자료 조사 987

1.1. 유역특성 조사 988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988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994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997

1.1.4. 하천수계 조사 1000

1.2. 기초수문 조사 1001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1001

1.2.2. 수위관측소 1002

1.2.3. 주요 홍수사상 1004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1004

1.3. 관련계획 조사 1006

1.3.1. 각종 개발계획 1006

1.3.2. 관련계획 조사 1010

제2장 홍수량 산정 1012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1014

2.2. 확률강우량 1027

2.2.1. 지점확률강우량 1027

2.2.2. 강우강도식 1032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1035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1047

2.3. 유효우량 산정 1048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1054

2.4.1. 매개변수 산정 1054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1061

2.5. 홍수량 산정 1063

2.5.1. 기본홍수량 산정 1063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1069

2.5.3. 현재홍수량 산정 1070

2.5.4. 홍수량 배분도 1072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1073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1082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1084

3.1. 장래 유역변화 1086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1089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1090

2011 강정고령보 1101

목차 1102

제1장 기초자료 조사 1104

1.1. 유역특성 조사 1105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1105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1112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1115

1.1.4. 하천수계 조사 1118

1.2. 기초수문 조사 1119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1119

1.2.2. 수위관측소 1120

1.2.3. 주요 홍수사상 1122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1122

1.3. 관련계획 조사 1123

1.3.1. 각종 개발계획 1123

1.3.2. 관련계획 조사 1131

제2장 홍수량 산정 1133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1135

2.2. 확률강우량 1148

2.2.1. 지점확률강우량 1148

2.2.2. 강우강도식 1153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1157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1170

2.3. 유효우량 산정 1171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1178

2.4.1. 매개변수 산정 1178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1185

2.5. 홍수량 산정 1186

2.5.1. 기본홍수량 산정 1186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1193

2.5.3. 현재홍수량 산정 1193

2.5.4. 홍수량 배분도 1194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1195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1203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1205

3.1. 장래 유역변화 1207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1213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1215

전국 하천유역 홍수량 산정 보고서·부록 책 구성 1226

수자원 단위지도 기준 수계별 하천현황 1260

2000 낙동강 1325

목차 1326

제1장 기초자료 조사 1328

1.1. 유역특성 조사 1329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1329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1334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1337

1.1.4. 하천수계 조사 1340

1.2. 기초수문 조사 1341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1341

1.2.2. 수위관측소 1350

1.2.3. 주요 홍수사상 1353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1354

1.3. 관련계획 조사 1356

1.3.1. 각종 개발계획 1356

1.3.2. 관련계획 조사 1394

제2장 홍수량 산정 1415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1417

2.2. 확률강우량 1421

2.2.1. 지점확률강우량 1421

2.2.2. 강우강도식 1441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1459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1478

2.3. 유효우량 산정 1480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1482

2.4.1. 매개변수 산정 1482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1486

2.5. 홍수량 산정 1491

2.5.1. 기본홍수량 산정 1491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1494

2.5.3. 현재홍수량 산정 1494

2.5.4. 홍수량 배분도 1513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1514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1518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1519

3.1. 장래 유역변화 1521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1529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1533

2012 금호강 1540

목차 1541

제1장 기초자료 조사 1543

1.1. 유역특성 조사 1544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1544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1554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1558

1.1.4. 하천수계 조사 1563

1.2. 기초수문 조사 1564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1564

1.2.2. 수위관측소 1566

1.2.3. 주요 홍수사상 1568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1568

1.3. 관련계획 조사 1571

1.3.1. 각종 개발계획 1571

1.3.2. 관련계획 조사 1579

제2장 홍수량 산정 1582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1584

2.2. 확률강우량 1608

2.2.1. 지점확률강우량 1608

2.2.2. 강우강도식 1616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1622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1644

2.3. 유효우량 산정 1645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1658

2.4.1. 매개변수 산정 1658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1678

2.5. 홍수량 산정 1680

2.5.1. 기본홍수량 산정 1680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1698

2.5.3. 현재홍수량 산정 1698

2.5.4. 홍수량 배분도 1715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1716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1738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1752

3.1. 장래 유역변화 1754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1761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1764

2013 회천 1789

목차 1790

제1장 기초자료 조사 1792

1.1. 유역특성 조사 1793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1793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1799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1802

1.1.4. 하천수계 조사 1805

1.2. 기초수문 조사 1806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1806

1.2.2. 수위관측소 1807

1.2.3.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1809

1.3. 관련계획 조사 1810

1.3.1. 각종 개발계획 1810

1.3.2. 관련계획 조사 1816

제2장 홍수량 산정 1817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1819

2.2. 확률강우량 1828

2.2.1. 지점확률강우량 1828

2.2.2. 강우강도식 1830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1833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1838

2.3. 유효우량 산정 1840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1844

2.4.1. 매개변수 산정 1844

2.5. 홍수량 산정 1850

2.5.1. 기본홍수량 산정 1850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1855

2.5.3. 현재홍수량 산정 1855

2.5.4. 홍수량 배분도 1857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1858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1866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1866

3.1. 장래 유역변화 1869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1873

2014 창녕합천보 1882

목차 1883

제1장 기초자료 조사 1885

1.1. 유역특성 조사 1886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1886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1891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1894

1.1.4. 하천수계 조사 1897

1.2. 기초수문 조사 1898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1898

1.2.2. 수위관측소 1899

1.2.3.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1901

1.3. 관련계획 조사 1902

1.3.1. 각종 개발계획 1902

1.3.2. 관련계획 조사 1908

제2장 홍수량 산정 1910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1912

2.2. 확률강우량 1917

2.2.1. 지점확률강우량 1917

2.2.2. 강우강도식 1919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1922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1925

2.3. 유효우량 산정 1926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1928

2.4.1. 매개변수 산정 1928

2.5. 홍수량 산정 1931

2.5.1. 기본홍수량 산정 1931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1933

2.5.3. 현재홍수량 산정 1933

2.5.4. 홍수량 배분도 1934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1935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1938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1940

3.1. 장래 유역변화 1942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1947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1948

2021 밀양강 1953

목차 1954

제1장 기초자료 조사 1956

1.1. 유역특성 조사 1957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1957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1965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1969

1.1.4. 하천수계 조사 1973

1.2. 기초수문 조사 1974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1974

1.2.2. 수위관측소 1975

1.2.3. 주요 홍수사상 1977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1977

1.3. 관련계획 조사 1979

1.3.1. 각종 개발계획 1979

1.3.2. 관련계획 조사 1985

제2장 홍수량 산정 1987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1989

2.2. 확률강우량 2010

2.2.1. 지점확률강우량 2010

2.2.2. 강우강도식 2014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2018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2042

2.3. 유효우량 산정 2043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2054

2.4.1. 매개변수 산정 2054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2067

2.5. 홍수량 산정 2069

2.5.1. 기본홍수량 산정 2069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2079

2.5.3. 현재홍수량 산정 2080

2.5.4. 홍수량 배분도 2088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2088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2103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2115

3.1. 장래 유역변화 2117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2122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2123

전국 하천유역 홍수량 산정 보고서·부록 책 구성 2142

수자원 단위지도 기준 수계별 하천현황 2176

2101 형산강 2241

목차 2242

제1장 기초자료 조사 2244

1.1. 유역특성 조사 2245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2245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2252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2255

1.1.4. 하천수계 조사 2259

1.2. 기초수문 조사 2260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2260

1.2.2. 수위관측소 2261

1.2.3. 주요 홍수사상 2263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2263

1.3. 관련계획 조사 2265

1.3.1. 각종 개발계획 2265

1.3.2. 관련계획 조사 2271

제2장 홍수량 산정 2273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2275

2.2. 확률강우량 2285

2.2.1. 지점확률강우량 2285

2.2.2. 강우강도식 2288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2292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2303

2.3. 유효우량 산정 2304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2309

2.4.1. 매개변수 산정 2309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2315

2.5. 홍수량 산정 2317

2.5.1. 기본홍수량 산정 2317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2321

2.5.4. 홍수량 배분도 2326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2327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2336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2337

3.1. 장래 유역변화 2339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2345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2347

2201 태화강 2357

목차 2358

제1장 기초자료 조사 2360

1.1. 유역특성 조사 2361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2361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2371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2375

1.1.4. 하천수계 조사 2380

1.2. 기초수문 조사 2381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2381

1.2.2. 수위관측소 2382

1.2.3. 주요 홍수사상 2384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2384

1.3. 관련계획 조사 2386

1.3.1. 각종 개발계획 2386

1.3.2. 관련계획 조사 2390

제2장 홍수량 산정 2395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2397

2.2. 확률강우량 2413

2.2.1. 지점확률강우량 2413

2.2.2. 강우강도식 2416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2419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2427

2.3. 유효우량 산정 2428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2436

2.4.1. 매개변수 산정 2436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2445

2.5. 홍수량 산정 2447

2.5.1. 기본홍수량 산정 2447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2455

2.5.3. 현재홍수량 산정 2455

2.5.4. 홍수량 배분도 2462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2463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2490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2491

3.1. 장래 유역변화 2493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2501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2505

2401 왕피천 2522

목차 2523

제1장 기초자료 조사 2525

1.1. 유역특성 조사 2526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2526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2534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2538

1.1.4. 하천수계 조사 2542

1.2. 기초수문 조사 2543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2543

1.2.2. 수위관측소 2544

1.2.3. 주요 홍수사상 2546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2546

1.3. 관련계획 조사 2547

1.3.1. 각종 개발계획 2547

1.3.2. 관련계획 조사 2547

제2장 홍수량 산정 2550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2552

2.2. 확률강우량 2568

2.2.1. 지점확률강우량 2568

2.2.2. 강우강도식 2571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2574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2582

2.3. 유효우량 산정 2583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2593

2.4.1. 매개변수 산정 2593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2602

2.5. 홍수량 산정 2603

2.5.1. 기본홍수량 산정 2603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2612

2.5.3. 현재홍수량 산정 2612

2.5.4. 홍수량 배분도 2613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2614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2621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2622

3.1. 장래 유역변화 2624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2629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2630

2402 영덕오십천 2642

목차 2643

제1장 기초자료 조사 2645

1.1. 유역특성 조사 2646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2646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2652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2655

1.1.4. 하천수계 조사 2658

1.2. 기초수문 조사 2659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2659

1.2.2. 수위관측소 2660

1.2.3.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2662

1.3. 관련계획 조사 2663

1.3.1. 각종 개발계획 2663

1.3.2. 관련계획 조사 2665

제2장 홍수량 산정 2666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2668

2.2. 확률강우량 2676

2.2.1. 지점확률강우량 2676

2.2.2. 강우강도식 2678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2681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2685

2.3. 유효우량 산정 2686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2690

2.4.1. 매개변수 산정 2690

2.5. 홍수량 산정 2695

2.5.1. 기본홍수량 산정 2695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2698

2.5.3. 현재홍수량 산정 2698

2.5.4. 홍수량 배분도 2699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2700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2705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2706

3.1. 장래 유역변화 2708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2712

2403 대종천 2719

목차 2720

제1장 기초자료 조사 2722

1.1. 유역특성 조사 2723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2723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2730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2733

1.1.4. 하천수계 조사 2736

1.2. 기초수문 조사 2737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2737

1.2.2. 수위관측소 2737

1.2.3. 주요 홍수사상 2739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2739

1.3. 관련계획 조사 2740

1.3.1. 각종 개발계획 2740

1.3.2. 관련계획 조사 2744

제2장 홍수량 산정 2745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2747

2.2. 확률강우량 2755

2.2.1. 지점확률강우량 2755

2.2.2. 강우강도식 2758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2760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2765

2.3. 유효우량 산정 2766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2770

2.4.1. 매개변수 산정 2770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2774

2.5. 홍수량 산정 2774

2.5.1. 기본홍수량 산정 2774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2778

2.5.3. 현재홍수량 산정 2778

2.5.4. 홍수량 배분도 2779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2780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2787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2789

3.1. 장래 유역변화 2791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2794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2795

1003 충주댐 2803

목차 2804

제1장 기초자료 조사 2806

1.1. 유역특성 조사 2807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2807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2817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2821

1.1.4. 하천수계 조사 2825

1.2. 기초수문 조사 2826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2826

1.2.2. 수위관측소 2829

1.2.3. 주요홍수사상 2831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2831

1.3. 관련계획 조사 2834

1.3.1. 관련계획 조사 2834

제2장 홍수량 산정 2837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2839

2.2. 확률강우량 2858

2.2.1. 확률강우량 2858

2.2.2. 강우강도식 2874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2888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2898

2.3. 유효우량 산정 2900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2908

2.4.1. 매개변수 산정 2908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2916

2.5. 홍수량 산정 2918

2.5.1. 기본홍수량 산정 2918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2926

2.5.3. 현재홍수량 산정 2927

2.5.4. 홍수량 배분도 2928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2929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2940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2941

3.1. 장래 유역변화 2943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2949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2951

1004 달천 2964

목차 2965

제1장 기초자료 조사 2967

1.1. 유역특성 조사 2968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2968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2976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2979

1.1.4. 하천수계 조사 2983

1.2. 기초수문 조사 2984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2984

1.2.2. 수위관측소 2985

1.2.3. 주요홍수사상 2987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2987

1.3. 관련계획 조사 2994

1.3.1. 관련계획 조사 2994

제2장 홍수량 산정 2998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3000

2.2. 확률강우량 3020

2.2.1. 확률강우량 3020

2.2.2. 강우강도식 3026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3031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3039

2.3. 유효우량 산정 3040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3048

2.4.1. 매개변수 산정 3048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3056

2.5. 홍수량 산정 3058

2.5.1. 기본홍수량 산정 3058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3067

2.5.3. 현재홍수량 산정 3068

2.5.4. 홍수량 배분도 3068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3070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3081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3082

3.1. 장래 유역변화 3084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3090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3092

3005 초강 3105

목차 3106

제1장 기초자료 조사 3108

1.1. 유역특성 조사 3109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3109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3113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3116

1.1.4. 하천수계 조사 3119

1.2. 기초수문 조사 3120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3120

1.2.2. 수위관측소 3120

1.2.3. 주요 홍수사상 3122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3122

1.3. 관련계획 조사 3122

1.3.1. 관련계획 조사 3123

제2장 홍수량 산정 3125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3127

2.2. 확률강우량 3135

2.2.1. 지점확률강우량 3135

2.2.2. 강우강도식 3136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3139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3143

2.3. 유효우량 산정 3000 3144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3147

2.4.1. 매개변수 산정 3147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3150

2.5. 홍수량 산정 3152

2.5.1. 기본홍수량 산정 3152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3155

2.5.3. 현재홍수량 산정 3155

2.5.4.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3156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3162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3163

3.1. 장래유역변화 3165

3.2. 주요지점별 미래목표홍수량 산정 3165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3169

3007 보청천 3176

목차 3177

제1장 기초자료 조사 3179

1.1. 유역특성 조사 3180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3180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3184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3187

1.1.4. 하천수계 조사 3190

1.2. 기초수문 조사 3191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3191

1.2.2. 수위관측소 3193

1.2.3. 주요 홍수사상 3193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3194

1.3. 관련계획 조사 3196

1.3.1. 각종 개발계획 3196

1.3.2. 관련계획 조사 3199

제2장 홍수량 산정 3202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3204

2.2. 확률강우량 3210

2.2.1. 지점확률강우량 3210

2.2.2. 강우강도식 3214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3217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3220

2.3. 유효우량 산정 3221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3223

2.4.1. 매개변수 산정 3223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3227

2.5. 홍수량 산정 3229

2.5.1. 기본홍수량 산정 3229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3231

2.5.3. 현재홍수량 산정 3233

2.5.4. 홍수량 배분도 3234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3235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3242

3.1. 장래유역변화 3244

3.2. 주요지점별 미래목표홍수량 산정 3244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3248

전국 하천유역 홍수량 산정 보고서·부록 책 구성 3254

수자원 단위지도 기준 수계별 하천현황 3288

이용현황보기

전국 하천유역 홍수량 산정 보고서·부록 : 경상북도. 1-3권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669090 627.4 -20-20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669091 627.4 -20-20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669092 627.4 -20-20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669093 627.4 -20-20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669094 627.4 -20-20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669095 627.4 -20-20 v.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