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지]
목차
2021 밀양강 2
목차 3
제1장 기초자료 조사 5
1.1. 유역특성 조사 6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6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14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18
1.1.4. 하천수계 조사 22
1.2. 기초수문 조사 23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23
1.2.2. 수위관측소 24
1.2.3. 주요 홍수사상 26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26
1.3. 관련계획 조사 28
1.3.1. 각종 개발계획 28
1.3.2. 관련계획 조사 34
제2장 홍수량 산정 36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38
2.2. 확률강우량 59
2.2.1. 지점확률강우량 59
2.2.2. 강우강도식 63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67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91
2.3. 유효우량 산정 92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103
2.4.1. 매개변수 산정 103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116
2.5. 홍수량 산정 118
2.5.1. 기본홍수량 산정 118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128
2.5.3. 현재홍수량 산정 129
2.5.4. 홍수량 배분도[내용없음] 4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137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152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164
3.1. 장래 유역변화 166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171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172
2101 형산강 191
목차 192
제1장 기초자료 조사 194
1.1. 유역특성 조사 195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195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202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205
1.1.4. 하천수계 조사 209
1.2. 기초수문 조사 210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210
1.2.2. 수위관측소 211
1.2.3. 주요 홍수사상 213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213
1.3. 관련계획 조사 215
1.3.1. 각종 개발계획 215
1.3.2. 관련계획 조사 221
제2장 홍수량 산정 223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225
2.2. 확률강우량 235
2.2.1. 지점확률강우량 235
2.2.2. 강우강도식 238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242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253
2.3. 유효우량 산정 254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259
2.4.1. 매개변수 산정 259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265
2.5. 홍수량 산정 267
2.5.1. 기본홍수량 산정 267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271
2.5.4. 홍수량 배분도 276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277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286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287
3.1. 장래 유역변화 289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295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297
2201 태화강 307
목차 308
제1장 기초자료 조사 310
1.1. 유역특성 조사 311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311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321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325
1.1.4. 하천수계 조사 330
1.2. 기초수문 조사 331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331
1.2.2. 수위관측소 332
1.2.3. 주요 홍수사상 334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334
1.3. 관련계획 조사 336
1.3.1. 각종 개발계획 336
1.3.2. 관련계획 조사 340
제2장 홍수량 산정 345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347
2.2. 확률강우량 363
2.2.1. 지점확률강우량 363
2.2.2. 강우강도식 366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369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377
2.3. 유효우량 산정 378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386
2.4.1. 매개변수 산정 386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395
2.5. 홍수량 산정 397
2.5.1. 기본홍수량 산정 397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405
2.5.3. 현재홍수량 산정 405
2.5.4. 홍수량 배분도 412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413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440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441
3.1. 장래 유역변화 443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451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455
2301 회야강 472
목차 473
제1장 기초자료 조사 475
1.1. 유역특성 조사 476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476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484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487
1.1.4. 하천수계 조사 491
1.2. 기초수문 조사 492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492
1.2.2. 수위관측소 493
1.2.3. 주요 홍수사상 495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495
1.3. 관련계획 조사 497
1.3.1. 각종 개발계획 497
1.3.2. 관련계획 조사 499
제2장 홍수량 산정 502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504
2.2. 확률강우량 513
2.2.1. 지점확률강우량 513
2.2.2. 강우강도식 515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517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521
2.3. 유효우량 산정 522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526
2.4.1. 매개변수 산정 526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530
2.5. 홍수량 산정 532
2.5.1. 기본홍수량 산정 532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535
2.5.3. 현재홍수량 산정 536
2.5.4. 홍수량 배분도 538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539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548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550
3.1. 장래 유역변화 552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558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560
2302 수영강 568
목차 569
제1장 기초자료 조사 571
1.1. 유역특성 조사 572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572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580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584
1.1.4. 하천수계 조사 588
1.2. 기초수문 조사 589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589
1.2.2. 수위관측소 589
1.2.2. 주요 홍수사상 591
1.2.3.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591
1.3. 관련계획 조사 592
1.3.1. 각종 개발계획 592
1.3.2. 관련계획 조사 594
제2장 홍수량 산정 596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598
2.2. 확률강우량 613
2.2.1. 지점확률강우량 613
2.2.2. 강우강도식 615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617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625
2.3. 유효우량 산정 626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633
2.4.1. 매개변수 산정 633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641
2.5. 홍수량 산정 641
2.5.1. 기본홍수량 산정 641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649
2.5.3. 현재홍수량 산정 651
2.5.4. 홍수량 배분도 652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653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664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666
3.1. 장래 유역변화 668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676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680
2403 대종천 694
목차 695
제1장 기초자료 조사 697
1.1. 유역특성 조사 698
1.1.1. 유역의 기하학적 특성조사 698
1.1.2. 토양·지질 특성조사 705
1.1.3. 토지이용 특성조사 708
1.1.4. 하천수계 조사 711
1.2. 기초수문 조사 712
1.2.1. 기상 및 우량관측소 712
1.2.2. 수위관측소 712
1.2.3. 주요 홍수사상 714
1.2.4. 댐 및 저수지 등 조사 714
1.3. 관련계획 조사 715
1.3.1. 각종 개발계획 715
1.3.2. 관련계획 조사 719
제2장 홍수량 산정 720
2.1. 유역특성인자 산정 722
2.2. 확률강우량 730
2.2.1. 지점확률강우량 730
2.2.2. 강우강도식 733
2.2.3. 지점평균 확률강우량 산정 735
2.2.4.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및 강우의 시간분포 740
2.3. 유효우량 산정 741
2.4. 매개변수 산정 및 결정 745
2.4.1. 매개변수 산정 745
2.4.2. 매개변수 검증 및 결정 749
2.5. 홍수량 산정 749
2.5.1. 기본홍수량 산정 749
2.5.2. 홍수조절 효과 검토 753
2.5.3. 현재홍수량 산정 753
2.5.4. 홍수량 배분도 754
2.5.5. 기본·현재홍수량 비교 755
2.6. 관련계획 검토 조정 762
제3장 미래 목표홍수량 764
3.1. 장래 유역변화 766
3.2. 주요지점별 미래 목표홍수량 산정 769
첨부 : 지점별 홍수량·매개변수 비교 770
전국 하천유역 홍수량 산정 보고서·부록 책 구성 778
수자원 단위지도 기준 수계별 하천현황 812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669106 | 627.4 -20-2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669107 | 627.4 -20-24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