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도서 앰블럼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공원녹지 정책의 재정립 방안 = The transformation of urban park and green space policy for sustainability / 연구책임자: 최희선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 2019
청구기호
363.68 -20-3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ii, 216 p. : 삽화, 도표 ; 25 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 2019-04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59803345
제어번호
MONO1202050638
주기사항
참고문헌: p. 191-205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4

제1장 서론 25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5

2. 연구의 추진체계 및 방법 27

가. 연구의 추진체계 27

나. 연구의 주요 추진방법 28

제2장 공원녹지 관련 정책현황 고찰 29

1. 공원녹지 관련 법률 및 정책의 변화 29

2. 도시공원 및 녹지의 조성현황 34

3. 부처별 공원녹지 관련 법률 및 정책 분석 36

가. 국토교통부 36

나. 환경부 42

다. 농림축산식품부 47

라. 산림청 49

마. 부처합동: 생활SOC(Social Overhead Capital)를 중심으로 54

4. 기존 문헌에서의 공원녹지 정책 고찰 57

5. 소결 및 시사점 59

제3장 관련문헌 및 해외사례 분석 61

1. 관련문헌 조사 및 분석 61

가. SDGs와 공원녹지 61

나. LULUCF와 공원녹지 65

다. 미래도시의 변화와 공원녹지 68

라. 공원녹지의 가치와 기능: 생태계서비스를 중심으로 73

2. 해외사례 조사 및 분석 82

가. 영국 82

나. 일본 102

다. 독일 117

라. 호주 131

3. 소결 및 시사점 136

가. 관련문헌을 통해 본 시사점 136

나. 해외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137

다. 시사점 종합 138

제4장 지속가능한 공원녹지 정책 재정립 방안 139

1. 공원녹지 패러다임 전환의 원칙 및 방향 설정 139

가. 공원녹지 패러다임 전환의 원칙 139

나. 공원녹지 패러다임 전환 방향 140

다. 공원녹지 패러다임 전환의 프레임워크 142

2. 도시 공원녹지의 개념 확대 차원 144

가. 용어전환 및 개념적 범위의 확대 144

나. 관련부처 간의 연계 및 협력 149

3. 도시 공원녹지의 질적 개선 차원 160

가. 입지기준의 개선 160

나. 유형의 개선 169

다. 조성기법의 개선 175

4. 도시 공원녹지 조성ㆍ운영 다각화 차원 189

가. 조성 및 운영주체의 다양화 189

나. 비용 및 인센티브 개선 193

5. 도시 공원녹지 관리기반 확보 차원 201

가. 인벤토리 구축 201

나. 관리체계 확보 205

6. 도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공원녹지 정책 재정립 방향 종합 209

제5장 결론 및 제언 210

1. 결론 및 고찰 210

2. 향후 발전방향 및 제언 213

참고문헌 215

Executive Summary 230

판권기 2

〈표 1-1〉 도시공원 포럼 주제 28

〈표 2-1〉 도시공원 쟁점에 대한 시대별 법제도의 개선과 한계 32

〈표 2-2〉 도시공원 결정 개소 현황 34

〈표 2-3〉 도시공원 조성 현황 34

〈표 2-4〉 녹지 현황 34

〈표 2-5〉 도시공원 및 녹지의 연도별 변화 35

〈표 2-6〉 도시공원 및 녹지 유형 변화 37

〈표 2-7〉 그린인프라 측면에서의 건축물 조경 40

〈표 2-8〉 「건축법」상 조경 및 공개공지 규정 41

〈표 2-9〉 자연공원 분류 43

〈표 2-10〉 도시생태복원사업 유형 46

〈표 2-11〉 도시농업의 유형 47

〈표 2-12〉 도시숲의 종류 50

〈표 2-13〉 도시숲 예산 51

〈표 2-14〉 수목원 및 정원의 정의 및 세부 유형 52

〈표 2-15〉 정원유형별 기능 53

〈표 2-16〉 정원모델 유형화 53

〈표 2-17〉 기초 생활인프라 범위 및 최저기준 개정(안) 56

〈표 2-18〉 기존 문헌에서의 공원녹지 정책 고찰 주요 내용 57

〈표 3-1〉 SDG 11의 세부 목표 62

〈표 3-2〉 SDG 11의 세부목표와의 연관성 63

〈표 3-3〉 시대변화에 따른 공원의 유형 68

〈표 3-4〉 미래도시의 변화와 공원녹지 정책 시사점 71

〈표 3-5〉 메가트렌드 핵심요소 및 국토지역 영향이슈 72

〈표 3-6〉 생태계서비스 분류 및 정의 73

〈표 3-7〉 IFPRA(2013)의 녹지 편익 80

〈표 3-8〉 Natural England의 그린스페이스 조성 방침 84

〈표 3-9〉 그린 플래그 어워드 평가기준 85

〈표 3-10〉 경관평가의 시대적 흐름 86

〈표 3-11〉 경관특성평가의 원칙 87

〈표 3-12〉 영국 국가 생태계평가의 주요 목표 및 내용 89

〈표 3-13〉 ALGG의 13개 기능 및 지침과의 관련성 93

〈표 3-14〉 런던의 공원녹지 유형 95

〈표 3-15〉 일본의 공원녹지정책 패러다임 전환 103

〈표 3-16〉 녹지에 요구되는 기능 103

〈표 3-17〉 녹의 정책대강 기본방향과 목표 및 구체적 시책 104

〈표 3-18〉 일본의 자연공원 유형(환경성) 105

〈표 3-19〉 일본의 도시공원 및 녹지 유형(국토교통성) 106

〈표 3-20〉 『제4차 사회자본정비중점계획』 중 공원녹지와 관련된 내용 107

〈표 3-21〉 일본 도시공원에 대한 국가, 지방공공단체의 역할 111

〈표 3-22〉 민간사업자 노하우 활용 정비ㆍ관리 수법 111

〈표 3-23〉 요코하마시 녹지보전 시책 114

〈표 3-24〉 요코하마시의 규제 등을 통한 녹화 의무화 시책 115

〈표 3-25〉 요코하마시의 장려금 등을 통한 녹화 지원 시책 116

〈표 3-26〉 도시녹지의 주체별 유형 123

〈표 3-27〉 도시농업과 도시정원 비교 124

〈표 3-28〉 베를린 공원녹지 분류체계 129

〈표 3-29〉 호주 퀸즐랜드주, 녹지공간 전략 132

〈표 4-1〉 생태학적 사회구조에 기반한 미래 전망 140

〈표 4-2〉 미래사회 전망을 고려한 현 정책의 한계와 향후 방향 140

〈표 4-3〉 도시 공원녹지 패러다임 전환의 프레임워크 143

〈표 4-4〉 공원ㆍ녹지의 정의 144

〈표 4-5〉 도시 그린인프라의 생태계서비스 145

〈표 4-6〉 부처별 관련 법률 및 계획과 수단 150

〈표 4-7〉 환경ㆍ생태공간시설(그린인프라) 유형별 관련 법률 및 소관부처 152

〈표 4-8〉 중앙부처의 역할, 공간적 영역 및 직접적 협력부처 159

〈표 4-9〉 국가도시공원과 군립/시립/구립공원과의 제도 비교 159

〈표 4-10〉 도시공원의 설치 및 규모의 기준 160

〈표 4-11〉 공원녹지 수요분석 내용 161

〈표 4-12〉 입지기준 해외사례 162

〈표 4-13〉 미국 포츠머스시 공원 거리기준 162

〈표 4-14〉 공원녹지 입지기준 정책의 개선방향 167

〈표 4-15〉 시대별 우리나라 도시공원의 변화 169

〈표 4-16〉 중국 도시 녹지공원 분류기준 170

〈표 4-17〉 영국 The Urban Green Space Task Force(2002)의 도시 녹지 유형 171

〈표 4-18〉 그린인프라 유형과 현재 관련부처 소관 영역과의 관계(안) 173

〈표 4-19〉 도시공원 법적 설치기준 176

〈표 4-20〉 근린공원의 문제점 177

〈표 4-21〉 공원 조성기법 개선 방안(안) 188

〈표 4-22〉 공원녹지 관련 주체별 현재의 역할 189

〈표 4-23〉 공원녹지 관련 조성주체 및 역할(제안) 192

〈표 4-24〉 「공원녹지법」 도시공원 및 녹지 확보 관련 196

〈표 4-25〉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내 재난관리기금 용도 199

〈표 4-26〉 「미세먼지법」 내 공원 조성 및 녹화 관련 200

〈표 4-27〉 지자체별 인벤토리 구축사업 201

〈표 4-28〉 인벤토리 구축 필요사항 204

〈표 4-29〉 스마트 그린인프라 기반의 주요 방향 207

〈표 5-1〉 향후 과제 제안 목록 214

〈그림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6

〈그림 1-2〉 연구 수행 체계도 27

〈그림 1-3〉 도시공원 포럼 전경 28

〈그림 2-1〉 도시공원 관련 법률의 변화와 시대상황 29

〈그림 2-2〉 도시공원 관련 법률의 변화와 주요 내용 31

〈그림 2-3〉 전국 도시공원 분포(좌) 및 기초지자체별 도시공원 미집행 비율(우) 35

〈그림 2-4〉 「공원녹지법」 주요 내용 37

〈그림 2-5〉 『공원녹지기본계획』과 관련 계획과의 관계 38

〈그림 2-6〉 건축물 조경 활성화를 통한 도시 녹색인프라 구축 개념도 41

〈그림 2-7〉 국립공원과 도립ㆍ군립공원의 5대 목표 및 방향 44

〈그림 2-8〉 도시생태복원사업 시행근거의 배경 45

〈그림 2-9〉 도시농업에 따른 편익 48

〈그림 2-10〉 도시농업 참여자 수 및 면적 48

〈그림 2-11〉 산림청 계획 간의 관계도 49

〈그림 2-12〉 기존 SOC와 생활SOC와의 비교 54

〈그림 2-13〉 생활SOC 비전과 분야 55

〈그림 2-14〉 다양한 법률에 기반하고 있는 도시공원ㆍ녹지 60

〈그림 3-1〉 UN SDG 11과 다른 목표들과의 상호 연관성 64

〈그림 3-2〉 온실가스 배출원과 LULUCF 65

〈그림 3-3〉 토지이용유형에 기반한 1990년부터의 독일 LULUCF 배출 66

〈그림 3-4〉 i-Tree ECO에서의 수종별 CO2 흡수량 차이 67

〈그림 3-5〉 인구감소로 인한 축소도시 및 공가율 증가 69

〈그림 3-6〉 미래 유휴지를 활용한 녹지공간 확대 예 70

〈그림 3-7〉 일본 스마트시티 구상 사례 70

〈그림 3-8〉 생태계 기능과 서비스 간의 관계 매트릭스 74

〈그림 3-9〉 생태계서비스의 수요와 공급의 변화 75

〈그림 3-10〉 그린인프라의 다기능성 프레임워크 76

〈그림 3-11〉 인간의 행복과 생태계서비스와의 관계 77

〈그림 3-12〉 생태계서비스와 도시회복력 78

〈그림 3-13〉 도시공원의 가치 81

〈그림 3-14〉 잉글랜드 국토계획 체계와 NPPF의 공간별 위계 83

〈그림 3-15〉 경관특성평가의 구성요소 및 지도 87

〈그림 3-16〉 영국 국가 생태계평가 구성 및 개념 89

〈그림 3-17〉 (사례) 이슬린턴(Islington) 및 캠던(Camden): 건강을 위한 공원 프로젝트(the Parks For Health Project) 91

〈그림 3-18〉 런던의 ALGG 지역 구분 94

〈그림 3-19〉 런던 국립공원 도시 설계도 95

〈그림 3-20〉 셰필드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의 4대 전략과 우선적 실천사항 98

〈그림 3-21〉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전략과 관련 정책과의 관계 98

〈그림 3-22〉 셰필드시 2018년 도시재생 마스터플랜 중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부문 99

〈그림 3-23〉 셰필드시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실행 프로그램: Grey to Green Project 100

〈그림 3-24〉 일본의 도시공원 면적의 추이와 공원녹지 집행률 102

〈그림 3-25〉 일본의 녹지체계 105

〈그림 3-26〉 일본 도시공원에 대한 국가, 지방공공단체의 역할 110

〈그림 3-27〉 도쿄도의 도시계획시설(도로) 및 주변 마을만들기와 연계 추진(예시) 113

〈그림 3-28〉 도쿄도의 합리적인 지역경계 변경(예시) 113

〈그림 3-29〉 독일의 위계별 공간계획과 공원녹지 관련 체계 119

〈그림 3-30〉 독일 토지이용면적 변화 추세 122

〈그림 3-31〉 독일 내 도시공원 접근성(2013년 기준) 122

〈그림 3-32〉 새로운 형태의 공원녹지 유형 124

〈그림 3-33〉 독일, 베를린 공원인증 표시 128

〈그림 3-34〉 독일 공원녹지계획 설계기준을 주관하는 조경협회 130

〈그림 3-35〉 호주, 『ShapingSEQ』의 계획 프레임워크 134

〈그림 3-36〉 데이터 사용체계 134

〈그림 3-37〉 Water Sensitive Cities Scenario Tool에서의 세부 모듈 135

〈그림 3-38〉 데이터 표출 형태 135

〈그림 4-1〉 공원녹지 정책 패러다임 전환의 원칙 139

〈그림 4-2〉 도시공원 관련 일반인 설문조사 결과 142

〈그림 4-3〉 그린인프라 유형 및 맵핑 146

〈그림 4-4〉 지역별 그린인프라 유형별 비율 147

〈그림 4-5〉 수원시 공원녹지 소외지역의 변화(좌:2014년, 우: 2018년) 147

〈그림 4-6〉 그린인프라 기반의 지속가능성 확보 개념도 149

〈그림 4-7〉 통합된 전략계획 시스템(토지이용계획)의 추진과정 157

〈그림 4-8〉 『도시기본계획』과 『환경보전계획』을 통한 공간구조 설정과 공원녹지계획 간의 연계 방안(안) 158

〈그림 4-9〉 영국 브리스톨 그린스페이스 전략 161

〈그림 4-10〉 유럽 주요도시의 10분 내 접근가능한 공원녹지 면적(인구규모 가중) 163

〈그림 4-11〉 뉴욕시 10분 내 접근가능한 공원녹지 면적 및 공원 조성계획 지역 163

〈그림 4-12〉 미국 유진시의 형평성 지도 164

〈그림 4-13〉 그린인프라와 정신건강 및 병원입원률과의 관계 165

〈그림 4-14〉 건강취약성과 인구밀집도를 고려한 공원입지 선정사례 165

〈그림 4-15〉 주거지-국토환경성평가 1등급 지역과 호흡기질환 발병률간의 상관성 166

〈그림 4-16〉 도시공원 영향권역 168

〈그림 4-17〉 미집행 도시공원의 훼손 사례 172

〈그림 4-18〉 그린인프라 유형이 적용된 도시모형(안) 174

〈그림 4-19〉 그린스페이스에 대한 3가지 단계별 공간전략 178

〈그림 4-20〉 독일 뮌스터의 그린스페이스 전략 179

〈그림 4-21〉 글로벌 자연재난 발생추이와 그린인프라 기반의 방재 사례 181

〈그림 4-22〉 그린인프라 유형에 근거한 다기능성 및 수요 충족 수준 평가 181

〈그림 4-23〉 울산 대공원의 개발 전ㆍ후 토지이용 변화 182

〈그림 4-24〉 2001-2017년도 울산광역시 중구와 남구의 (a) 도시공원 면적과 공원 수 변화, (b) 월동조류 개체 수 및 종 수의 변화, (c) 조류다양성(종 풍부도 지수)의 변화 183

〈그림 4-25〉 도시생태축을 고려한 공원의 입지 및 조성방향 184

〈그림 4-26〉 연령별 공원 방문 목적 185

〈그림 4-27〉 건축물을 중심으로 한 녹지공간 확보 사례 186

〈그림 4-28〉 근린공원의 노후화율(좌: 현재, 우: 2030년 전망) 187

〈그림 4-29〉 리모델링이 필요한 어린이공원 현황(좌: 부산, 우: 대구) 187

〈그림 4-30〉 공원 조성에 가장 적극적이어야 할 주체 189

〈그림 4-31〉 공원부지의 민간개발 사례(좌: 토지이용계획도, 우: 주민 반대시위 모습) 190

〈그림 4-32〉 일본 에도가와구 공공시설 입양제도 사례 191

〈그림 4-33〉 공원분야의 예산 변화(좌: 일본, 우: 영국) 194

〈그림 4-34〉 공원분야의 예산 다양화(좌: 일본, 우: 영국) 194

〈그림 4-35〉 지정권자에 따른 도시공원 분류 195

〈그림 4-36〉 재난관리기금 적립현황(좌: 광역지자체, 우: 기초지자체) 200

〈그림 4-37〉 LA 카운티 공원 인벤토리 내 리스트 구성 및 공원 필요성 평가 202

〈그림 4-38〉 필라델피아 공원평가 시스템 203

〈그림 4-39〉 녹지유형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 기능 DB 구축 및 맵핑 203

〈그림 4-40〉 I-Tree Landscape 204

〈그림 4-41〉 대구 국채보상공원 스마트서비스 내용 205

〈그림 4-42〉 스마트트리 플랫폼 구성 206

〈그림 4-43〉 도시공원 스마트 관리체계 사례(좌: 토리노, 우: 런던) 206

〈그림 4-44〉 스마트 그린인프라 서비스 방향성 및 운영관리 방안(안) 207

〈그림 4-45〉 스마트 그린인프라 통합플랫폼 기반의 생애주기 맞춤형 서비스 및 관리체계 208

〈그림 4-46〉 도시공원 정책의 재정립 방향 209

〈그림 5-1〉 도시공원 정책의 재정립을 위한 그린인프라 유형을 고려한 추진방향 212

〈그림 5-2〉 도시-환경계획 통합관리 체계에 근거한 그린인프라 계획 수립체계 213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682543 363.68 -20-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682544 363.68 -20-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함께보면 좋은 자료 Close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