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디지털기술 발전이 초래하는 지속가능성장의 미래예측 연구. 2, 헬스케어 데이터경제의 미래 / 연구책임자: 임현 인기도
발행사항
음성군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0
청구기호
303.49 -21-14
자료실
[서울관] 국가전략정보센터(107호),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도서위치안내(서울관)
형태사항
vii, v, 139 p. : 삽화, 도표 ; 24 cm
총서사항
기관 ; 2020-006
제어번호
MONO12021000016342
주기사항
참고문헌: p. 136-138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1

판권기 2

요약문 3

목차 10

I. 서론 1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표 15

1. 연구의 배경 15

2. 연구의 목표 18

제2절 연구 내용 및 추진 방법 19

II. 헬스케어 데이터경제 환경 분석 22

제1절 데이터경제 정의 및 정책동향 22

1. 데이터경제 개요 22

2. 국내외 데이터경제 정책동향 32

제2절 헬스케어 데이터경제 중요성 및 동향 44

1. 헬스케어 데이터의 중요성 44

2. 국내외 헬스케어 데이터경제 정책동향 48

3. 헬수케어 데이터 시장 전망 및 기업의 헬스케어 데이터 활용 사례 51

제3절 헬스케어 데이터경제 주요 이슈 55

1. 사회적 인식 55

2.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발전 및 제품개발 65

3. 의료산업 71

4. 거버넌스 78

III. '헬스케어 데이터경제의 미래' 예측연구 89

제1절 추진 방안 89

제2절 GMA를 활용한 시나리오 작성 방법 91

1. GMA 기법의 개념 91

2. GMA 기법의 적용 사례 96

제3절 '2030년 헬스케어 데이터경제의 미래' 시나리오 105

1. 핵심 요인 및 변화스펙트럼 파악 106

3. 교차일관성 평가 108

3. 형태분석 수행 108

4. 정책점 시사점 도출 127

IV. 결론 및 시사점 147

참고문헌 150

첨부 153

[첨부 1] 워크숍 참석자 명단 153

〈표 1-1〉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서 ICT의 기여 16

〈표 1-2〉 시나리오 방법론 비교 17

〈표 1-3〉 예측연구 추진내용 및 방법 18

〈표 1-4〉 1차 년도 연구와 2차 년도 연구의 차별성 19

〈표 2-1〉 데이터 관점에서 정보의 계층구조 23

〈표 2-2〉 데이터 자본의 특징 28

〈표 2-3〉 미국 연방정부 데이터 전략의 원칙 43

〈표 2-4〉 미국 연방정부 데이터 전략의 40개 세부전략방향 43

〈표 2-5〉 헬스케어 분야별 AI 제품 및 서비스 개발 기업 68

〈표 2-6〉 기존급여 확인 및 신의료기술평가 후 요양급여비용 보상 형태 83

〈표 3-1〉 "헬스케어 데이터경제의 미래" 관련 주요 이슈 및 세부 이슈 106

〈표 3-2〉 "헬스케어 데이터경제의 미래" 관련 핵심 요인 및 변화스펙트럼 107

〈표 3-3〉 두 가지 유형의 세 도시 사이 거리 110

〈표 3-4〉 전문가의 교차일관성평가 평균값 112

〈표 3-5〉 전문가의 교차일관성평가 평균값의 변화스펙트럼 간 거리 113

〈표 3-6〉 전문가의 교차일관성평가 최빈값 114

〈표 3-7〉 전문가의 교차일관성평가 최빈값의 변화스펙트럼 간 거리 115

〈표 3-8〉 전문가 평가 평균값의 변화 스펙트럼의 좌표 116

〈표 3-9〉 전문가 평가 최빈값의 변화 스펙트럼의 좌표 118

〈표 3-10〉 4가지 조합의 시나리오 120

〈표 3-11〉 '시나리오 A-1' 의 스토리 121

〈표 3-12〉 '시나리오 A-2' 의 스토리 122

〈표 3-13〉 '시나리오 B' 의 스토리 124

〈표 3-14〉 '시나리오 C' 의 스토리 125

〈표 3-15〉 '시나리오 A-1' 에 이해당사자별 주요 이슈 127

〈표 3-16〉 '시나리오 A-2' 에 이해당사자별 주요 이슈 127

〈표 3-17〉 '시나리오 B' 에 이해당사자별 주요 이슈 128

〈표 3-18〉 '시나리오 C' 에 이해당사자별 주요 이슈 129

〈표 3-19〉 '시나리오 A-1' 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130

〈표 3-20〉 '시나리오 A-2' 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134

〈표 3-21〉 '시나리오 B' 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138

〈표 3-22〉 '시나리오 C' 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142

〈표 3-23〉 공통적인 정책적 시사점 146

[그림 1-1] 구조화된 시나리오 도출 프로세스 20

[그림 1-2] 교차일관성분석 매트릭스 예시 21

[그림 2-1] 2010년부터 2025년까지 연간 실시간 글로벌 데이터 크기 22

[그림 2-2] EU와 영국의 데이터경제 가치 23

[그림 2-3] 데이터경제 내의 데이터 유형 24

[그림 2-4] 매크로, 메조, 마이크로 수준의 빅데이터 생태계 27

[그림 2-5] 2015~2022년 전세계 빅데이터 및 비즈니스 분석 매출 29

[그림 2-6] 21세기 경제의 핵심구성요소 및 데이터기반 혁신 30

[그림 2-7] 데이터 혁신의 사이클(OECD(2015) 자료를 바탕으로 재작성) 31

[그림 2-8] 데이터경제의 생태계(IDC(2919) 자료를 바탕으로 재작성) 32

[그림 2-9] "데이터 산업 활성화 전략" 의 비전 및 추진전략 34

[그림 2-10] 영국 국가데이터 전략의 구성 38

[그림 2-11]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 규모(2015-2020) 51

[그럼 2-12] 디지털 기술 발전이 초래하는 헬스케어 분야의 미래 모습 69

[그림 2-13] AI 기술 기반의 보건관련 스타트업과 제약회사 협력 관계도 76

[그림 2-14] 비대면 진료 환경에서 동일한 부위를 촬영한 2개의 영상 77

[그림 2-15] 닥터 엔서 사업 참여 의료기관 80

[그림 2-16] 의료기기 허가 및 보험등재 과정 81

[그림 2-17] 디지털 뉴딜 관련 사업 82

[그림 2-18] 한국판 뉴딜 추진체계 82

[그림 3-1] 개인정보 활용 서비스 분야별 수요 89

[그림 3-2] 다차원척도 기법에 기반을 둔 GMA 분석의 예(변화 스펙트럼) 98

[그림 3-3] 다차원척도 기법에 기반을 둔 GMA 분석의 예(시각화) 99

[그림 3-4] 형태분석을 이용한 u-헬스케어 서비스 모형 설계 104

[그림 3-5] 구조화된 시나리오 도출 프로세스 105

[그림 3-6] 데이터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의 구성 요소 106

[그림 3-7] 세 도시 사이에 거리: 2차원과 1차원 시각화 110

[그림 3-8] 변화 스펙트럼 MDS 분석 결과(전문가 평가 평균값) 117

[그림 3-9] 변화 스펙트럼 MDS 분석 결과(전문가 평가 최빈값) 119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54470 303.49 -21-14 v.2 [서울관] 국가전략정보센터(107호) 이용가능
0002754471 303.49 -21-14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