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5
CHAPTER Ⅰ. 서론 13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4
가. 연구의 배경 14
나. 연구의 목적 16
다. 용어의 정의 및 연구의 제한점 17
2. 연구의 내용 18
가. 기존 교사의 역할과 역량 이해 19
나. 역량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 역할과 역량 탐색 19
다. 역량교육 실행을 위한 조건 탐색 19
라. OECD 교육 2030 2주기 추진 현황 분석 및 국제 동향 파악 20
3. 연구 방법 20
가. 문헌분석 20
나. TALIS 2018 자료 분석 21
다. Focus Group Interview(FGI) 조사 및 분석 21
라. 개별 면담 조사 및 분석 24
CHAPTER Ⅱ. 선행연구 분석 27
1. OECD 교육 2030 개관 28
가. 학습개념틀(Learning framework) 28
나. 교수개념틀(Teaching framework) 39
2. 교사의 역할과 역량 46
가. 교사의 역할 46
나. 교사의 역량 52
3. 교사행위자성 및 교사행위자성 개념모형 62
가. 교사행위자성(Teacher agency) 62
나. 교사행위자성 개념모형 63
CHAPTER Ⅲ. 역량교육 실행을 위한 조건 탐색 65
1. 분석의 개요 66
가. 분석 자료 66
나. 분석 모형 67
다. 종속변수 68
라. 독립변수 70
마. 자료의 분석 74
2. 분석결과 74
가. 반복적 영역 변수들에 대한 분석 74
나. 현실적-평가적 영역 변수들에 대한 분석 75
다. 투영적 영역 변수들에 대한 분석 76
라. 종합 분석 77
CHAPTER Ⅳ. 역량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의 역할과 역량 78
1. 역량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의 역할 79
2. 역량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의 역량 117
CHAPTER Ⅴ. 결론 및 논의 140
1. 역량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의 역할 141
2. 역량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의 역량 143
3. 역량교육 실행을 위한 조건 146
4. 논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148
참고문헌 150
Abstract 157
[부록 1-1] FGI 질문지 164
[부록 1-2] 교사 개별 면담 질문지 166
[부록 2] TALIS 2018 교사용 설문지 168
판권기 169
[그림 Ⅰ-1] 연구의 추진도 26
[그림 Ⅱ-1] OECD 학습 나침반 2030 28
[그림 Ⅱ-2] Singapore Teaching Practice 43
[그림 Ⅱ-3] 교사행위자성 개념모형(Pristely et al., 2015: 30) 63
[그림 Ⅲ-1] 교사 행위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을 위한 분석모형 68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759298 | 379.155 -21-6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759299 | 379.155 -21-6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