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표제: Mother tongue : the story of the English language 참고문헌(p. 438-444)과 색인 수록 전자자료(e-book)로도 이용가능 이용가능한 다른 형태자료:(빌 브라이슨) 언어의 탄생 [전자자료] 바로보기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1 ─ 전 세계의 언어 2 ─ 언어의 시작 3 ─ 언어의 다양성 4 ─ 맨 처음 1000년 5 ─ 단어의 유래 6 ─ 발음 7 ─ 영어의 변종 8 ─ 철자법 9 ─ 좋은 영어와 나쁜 영어 10 ─ 혼돈에서 질서로 11 ─ 구세계와 신세계 12 ─ 세계 언어가 된 영어 13 ─ 이름 14 ─ 욕설 15 ─ 말놀이 16 ─ 영어의 미래
옮긴이의 말 참고 문헌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빌 브라이슨) 언어의 탄생 : 영어의 역사, 그리고 세상 모든 언어에 관하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794893
420.9 -2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794894
420.9 -2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B000010881
420.9 -21-1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전 세계 독자를 사로잡은 이 시대 최고의 이야기꾼 빌 브라이슨을 있게 한 화제작!
구글 번역기가 자동으로 번역을 해주는 시대에도 여전히 ‘영어’ 때문에 괴로워하는 사람이 많다. 영어라는 언어는 맨 처음 어디에서 나타났는지, 또 17세기만 해도 이류 언어 취급을 받았다는 영어가 어떻게 세계의 공용어가 되어 비(非) 영어권 국가의 사람들이 영어를 필수 언어로 배우는지, 덴마크와의 접경지대인 독일 북부의 한 술집에서 사람들이 주고받는 말이 왜 영어의 방언처럼 들리는지 등 영어의 역사뿐만 아니라 시대와 국경을 초월한 보편적인 언어의 속성, 다양한 사람만큼 다양한 언어의 세계가 궁금하다면 지금 바로 이 책을 펼쳐보자. 이번에 출간된 《빌 브라이슨 언어의 탄생》 완역본은 비교적 그의 초기작으로 언어 분야에서는 두 번째 책이다. 이 책은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특유의 위트와 지식으로 버무려 전 세계 독자들을 사로잡은 ‘빌 브라이슨 표’ 글쓰기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린 책이기도 하다. 미국에서 태어나 영국에서 기자로 활동했던 그의 관심사는 단연 영어를 비롯한 언어였다. 같은 영어를 쓰고 있지만 미국과 영국은 일상 대화에서 다르게 표현하는 단어만 해도 4000개가 넘는다고 한다. 로마가 멸망하기 전에 라틴어는 이미 일상 대화에서 죽은 언어가 된 것처럼 언어는 시대를 반영하고, 그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과 함께 온갖 변화를 겪으며 새롭게 생겨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고, 또 살아남기도 한다.
“언어란 과학이 아니라 오히려 유행이며 용법과 철자와 발음의 문제는 마치 옷단의 공그른 선처럼 이리저리 탈선하는 성향이 있다는 점이다. 사람들이 어떤 말을 하는 것은 그것이 더 쉽고 더 이치에 맞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때로는 다른 사람들이 모두 그렇게 말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 많은 단어는 도대체 어디에서 왔을까? 2000여개의 단어를 새롭게 만들어낸 언어 천재 셰익스피어, 40년에 걸쳐 1만 5000여쪽 사전을 완성한 제임스 어거스틴 헨리 머리
책은 선사시대 광활한 지역에서 개별적으로 살아가던 인류가 어떻게 거의 비슷한 시기에 갑자기, 그리고 동시에 언어 능력을 발전시켰을까 하는 호기심에서 시작하여 로마의 멸망으로 영국에서 철수한 45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영국에서 로마인은 367년, 토착민인 켈트인은 최소한 1000년 이상 있었지만 영국에 로마인이 남긴 단어가 기껏해야 5개, 켈트인이 남긴 단어가 20개를 넘지 못했다. 이어 바이킹이 가져온 스칸디나비아어, 노르만인이 가져온 앵글로노르만어라 불린 프랑스어 등이 영국을 지속적으로 난타했지만 결국 살아남은 것은 영어다. 살아남은 영어의 역사를 빌 브라이슨과 쫓다 보면 2000여 개의 단어를 창조한 언어 천재 셰익스피어, 인터넷은커녕 주변에 도서관도 하나 없는 상황에서 4만 3000개의 단어를 정의하고, 11만 4000개의 예문을 덧붙여 1775년에 《영어 사전》을 편찬한 새뮤얼 존슨, 40년에 걸쳐 1만 5000여쪽에 달하는 《옥스퍼드 영어 사전》의 편찬 책임자였던 은행 출신의 독학 언어학자 제임스 어거스틴 헨리 머리 같은 인물들뿐만 아니라 단어를 잘못 해석하여 역사가 바뀌었을 만한 결정적 사건들도 마주하게 된다. 단어의 유래, 발음, 철자법, 영어의 변종, 욕설, 이름에 얽힌 이야기까지 빌 브라이슨이 들려주는 영어에 관한 거의 모든 것!
“영어의 발음에서 확실한 게 하나 있다면, 그건 바로 확실한 게 거의 없다시피 하다는 것이다. 세계의 어떤 언어를 뒤져봐도 영어처럼 철자는 같은데 발음은 전혀 딴판인 경우는 없다.”
영어뿐만 아니라 어떤 언어가 되었든 모국어가 아닌 외국어를 정복하기란 쉽지 않다. 5만 자에 달하는 상형문자인 한자에 비해 영어 철자법은 단순하고 일반적인 패턴을 따르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변덕을 부리는 알파벳의 철자법에 관해서는 그 이유를 모르는 경우도 많다. 일례로 ‘forty’는 17세기 말까지만 해도 많은 사람이 ‘u’를 넣어 ‘fourty’로 썼는데, 어느 순간 슬그머니 빠져버렸다. 반면 마크 트웨인은 영어 단어의 불규칙성보다는 “laugh라는 단어를 쓰려면 펜이 모두 열네 번이나 움직여야 한다”라며 단어를 쓰는 데 드는 노동량을 이유로 철자법의 간소화를 열렬히 지지하기도 했다. 빌 브라이슨은 단어, 철자법, 발음 같은 기본 요소부터 방대한 단어의 정의를 담아낸 사전 편찬자들의 이야기, 1500년 전이나 지금이나 모욕적인 욕설의 특성, 그리고 한때 사람들에게 앉아서 하는 오락 중 가장 인기가 높았던 십자말풀이 같은 말놀이에 이르기까지 언어와 관련된 거의 모든 것을 낱낱이 해부하고 있다. 책은 영어에 대한 두려움, 괴로움은 잠시 내려놓고 이제껏 몰랐던 영어의 역사와 세계 언어의 공통적인 특징을 자연스럽게 익히며 광활한 언어의 바다를 유영하는 즐거움을 선사한다.
책속에서
[P. 47]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에스파냐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 (그리고 프로방스어와 카탈루냐어 같은 몇 가지 소규모 언어와 방언) 등은 본질적으로 라틴어의 현대판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라틴어가 계속 라틴어로 남기를 포기하고 이처럼 다른 언어들로 변하기 시작한 시기를 정확히 따져보자면, 813년이 분기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샤를마뉴 대제가 자신의 영토 전역에서 하는 모든 설교에 기존 라틴어 대신 통속 라틴어를 쓰도록 명령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무렇게나 선을 하나 쓱 긋고 저기까지만 라틴어고, 여기서부터는 이탈리아어나 프랑스어라고 말할 수는 없다. 13세기 말까지만 해도 단테는 자신의 피렌체 모국어가 바로 라틴어라고 생각했다. _ (2장 언어의 시작)
[P. 55] 다양한 언어 공동체는 서로 다른 언어를 고안했을 뿐만 아니라, 그런 언어들과 나란히 가는 서로 다른 문화적 경향도 고안했다. 지중해 지역의 언어 사용자들은 말할 때 자기 얼굴을 상대방에게 아주 가까이 대기를 좋아한다. 칵테일파티 같은 곳에서 남유럽 사람과 북유럽 사람이 이야기를 나눌 경우, 대화 내내 북유럽 사람은 상대방과 떨어지려고 몸을 슬금슬금 뒤로 빼고 남유럽 사람은 더 가까이하려고 점점 앞으로 다가서는 광경을 흔히 볼 수 있다. 물론 양쪽 모두 그런 사실을 전혀 깨닫지는 못하지만 말이다. 이런 말하기의 풍습에는 우리 생각보다 많은 것이 담겨 있다. _ (3장 언어의 다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