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I. 서론 9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9
2. 연구의 내용, 범위 및 방법 12
II. 인공지능 인재양성 생태계 탐색 15
1. 인공지능 인재양성 교육 현황 분석 15
가. 분석 개요 15
나. 대학별 교육운영 현황 분석 결과 18
다. 전문가 현장 의견 분석 결과 25
2. 인공지능 인재 모습과 유형 구분 36
가. 분석 개요 36
나. 분석 결과 38
다. 시사점 50
3. 인공지능 인재 유형별 생태계 분석 53
가. 분석 개요 53
나. 인재상 및 핵심역량 56
다. 인공지능 인재양성 양적 현황 61
라. 인공지능 인재양성을 위한 교과목 분석 66
마. 산학협력 현황 68
4. 소결 75
가. 인공지능 인재양성 교육 현황 분석 75
나. 인공지능 인재 모습과 유형 구분 76
다. 인공지능 인재 유형별 생태계 분석 77
III. 인공지능 인재양성 글로벌 동향 79
1. AI 생태계 조성을 위한 해외 국가 전략 79
가. 국가별 주요 정책 동향 79
나. 국가별 AI 인재양성 전략 82
다. 소결 84
2. AI 인재양성을 위한 대학 교육과정 운영 현황 86
가. 미국 87
나. 중국 94
다. 영국 99
라. 소결 103
IV. 인공지능 인재양성 발전전략 106
1. 국가 차원 전략 106
가. 인재유형과 수준에 따른 부처 간 역할 분담 106
나. 국가 수준 인공지능 인재양성 계획 수립 및 시행 107
다. '인공지능 인재양성 지표' 개발 및 계획 수립에 활용 108
라. 인공지능 분야 산학협력 지원 110
마. 인공지능 분야 교육과정 및 교과목의 공동 개발 112
바. 지방대학에 대한 인공지능 교수 요원 지원 113
2. 대학 차원 전략 115
가. 보편적 인공지능교육을 위한 공유 대학 115
나. 인공지능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학습 플랫폼 구축 116
다. 대학 간 인공지능 분야 학·석사 연계 교육과정(공유대학) 운영 118
참고문헌 120
부록 124
1. 제1회 인공지능 인재양성 전문가 포럼 자료 124
2. 제2회 인공지능 인재양성 전문가 포럼 자료 191
3. 인공지능 인재양성 현황 조사 설문지 237
4. 인공지능 인재 유형별 생태계 분석 대상 249
[그림 I-1] AI 인재 수준 및 유형 도출을 위한 연구 프레임 13
[그림 I-2] 연구 내용 및 방법 14
[그림 II-1] 인공지능 전공 교육과정의 구성 20
[그림 II-2] AI기술(알고리즘을 만드는 기술)의 큰 흐름 25
[그림 II-3] 현대 사회 신기술 인력 양성의 어려움 26
[그림 II-4] 국내외 인공지능 인력 부족에 대한 인식 27
[그림 II-5] AI 인재 수준 및 유형 도출을 위한 연구 프레임 37
[그림 II-6] AI 단계별 역량 체계도(안) 49
[그림 II-7] AI 인재 수준 및 유형(안) 52
[그림 II-8] AI 관련 학과의 핵심역량 키워드 군집 분석 결과 59
[그림 II-9] AI 관련 학과/학부 설립연도 추이 61
[그림 II-10] 지역에 따른 AI 인재수준별 2022학년도 학과/학부 개설 현황 63
[그림 II-11] 지역에 따른 AI 인재수준별 2022학년도 학과/학부 모집인원 현황 64
[그림 II-12] 지역에 따른 AI 인재수준별 2021학년도 학과/학부 모집인원 현황 시각화 65
[그림 II-13] 인재수준별 산학협력 기업 유형 69
[그림 II-14] 인재수준별 산학협력 내용 71
[그림 II-15] 인재수준별 산학협력 희망 기업 유형 72
[그림 II-16] 인재수준별 산학협력 희망 내용 74
[그림 III-1] Electrical Science and Engineering 전공 로드맵 88
[그림 III-2] Electrical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 전공 로드맵 88
[그림 III-3]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전공 로드맵 89
[그림 III-4] 카네기 멜론대 머신러닝 학과 교육과정 91
[그림 III-5] 10년 간 AI 관련 컴퓨터과학 교과목 증가 추이 93
[그림 III-6] 칭화대 컴퓨터공학과 교육과정(AI-X) 96
[그림 III-7] 칭화대 AI 산학협력 생태계 97
[그림 III-8] 베이징대 컴퓨터공학부 교육과정 98
[그림 IV-1] 공유 대학의 수준과 모델 115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810377 | 371.33463 -21-7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810378 | 371.33463 -21-7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